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94990 | |
005 | 20211005135307 | |
007 | ta | |
008 | 211001s2021 ulka b 001c kor | |
020 | ▼a 9791162263549 ▼g 937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410 ▼2 23 |
085 | ▼a 410 ▼2 DDCK | |
090 | ▼a 410 ▼b 2021z4 | |
100 | 1 | ▼a 김미령 |
245 | 1 0 | ▼a 언어와 언어학 / ▼d 김미령 지음 |
246 | 1 1 | ▼a Language and linguistics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21 | |
300 | ▼a xi, 346 p. : ▼b 삽화 ; ▼c 25 cm | |
500 | ▼a 부록: 실전모의고사 제1~4회 | |
504 | ▼a 참고문헌(p. [333]-338)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0 2021z4 | 등록번호 1118536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0 2021z4 | 등록번호 51105237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와 언어학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지식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풀어쓴 책이다. 언어와 언어학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을 위한 교양서로, 대학에서 언어학을 처음 수강하는 학생들을 위한 기초 입문서로, 한국어 교육, 영어 교육, 언어공학, 언어병리학 등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위한 필독서로 활용할 수 있다.
“언어는 우리의 삶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언어학은 언어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세상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언어와 언어학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지식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풀어쓴 책이다. 언어와 언어학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을 위한 교양서로, 대학에서 언어학을 처음 수강하는 학생들을 위한 기초 입문서로, 한국어 교육, 영어 교육, 언어공학, 언어병리학 등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위한 필독서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책의 특징
● 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언어 습득, 심리언어학 및 신경언어학을 각 장별로 다룬다.
● 인류언어학, 사회언어학, 전산언어학, 코퍼스언어학, 응용언어학, 언어병리학 등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다.
● 언어교육자, 언어치료사와 청능사, 언어공학자, 언어학자 등 언어학을 공부함으로써 종사할 수 있는 직업을 알아본다.
● 핵심 용어를 복습할 수 있도록 개념복습 문제를 제공한다.
● 개념 이해를 점검할 수 있도록 연습문제를 제공한다.
● 대학교 언어학 시험이나 자격증 시험 등에 대비할 수 있도록 실전 모의고사를 제공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미령(지은이)
숭실사이버대학교 교수 미국 미시간대학교 언어학 박사 (음성학/음운론/영어교육/스토리텔링 전공) 이메일:kmrg@mail.kcu.ac 주요 논문 및 저서 The contribution of consonantal and vocalic information to the perception of Korean initial stops(coauthored with P. Beddor and J. Horrocks). Journal of Phonetics, 30(1), 77-100. “Tense” and “lax” stops in Korean(coauthored with S. Duanmu). Journal of East Asian Linguistics, 13, 59-104. TELL IT OUT LOUD: 해외실전영어 외 다수

목차
제1장 언어학:언어의 연구 제2장 음성학:말소리의 연구 제3장 음운론:말소리의 체계 제4장 형태론:단어 구조 제5장 통사론:문장 구조 제6장 의미론:언어적 의미 제7장 화용론:발화 의미 제8장 언어 습득 제9장 심리언어학 및 신경언어학 제10장 언어학 연계 분야와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