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93847 | |
005 | 20210929095710 | |
007 | ta | |
008 | 210928s2021 ulka 000c kor | |
020 | ▼a 9791137248410 ▼g 03130 | |
035 | ▼a (KERIS)BIB000015925114 | |
040 | ▼a 221010 ▼c 221010 ▼d 211040 ▼d 211009 | |
082 | 0 4 | ▼a 302.23071 ▼2 23 |
085 | ▼a 302.23071 ▼2 DDCK | |
090 | ▼a 302.23071 ▼b 2021 | |
245 | 2 0 | ▼a (한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제 / ▼d 장현묵 [외] |
246 | 1 1 | ▼a Media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260 | ▼a 서울 : ▼b 부크크, ▼c 2021 | |
300 | ▼a 99 p. : ▼b 천연색삽화 ; ▼c 26 cm | |
500 | ▼a 공저자: 김희정, 주치청, 손위한, 왕화흔, 설영영, 오유진, 송유하, 송지현, 정호, 강희경 | |
500 | ▼a 본표제는 표지표제임 | |
700 | 1 | ▼a 장현묵, ▼e 저 |
700 | 1 | ▼a 김희정, ▼e 저 |
700 | 1 | ▼a 주치청, ▼e 저 |
700 | 1 | ▼a 손위한, ▼e 저 |
700 | 1 | ▼a 왕화흔, ▼e 저 |
700 | 1 | ▼a 설영영, ▼e 저 |
700 | 1 | ▼a 오유진, ▼e 저 |
700 | 1 | ▼a 송유하, ▼e 저 |
700 | 1 | ▼a 송지현, ▼e 저 |
700 | 1 | ▼a 정호, ▼e 저 |
700 | 1 | ▼a 강희경,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3071 2021 | Accession No. 11185356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미디어 리터러시가 21세기 핵심 역량의 하나로 선정되면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많은 분야에서 빠질 수 없는 화두가 되었습니다. 최근에 리터러시의 개념이 단순히 글을 읽고 쓰는 문자 해득력을 넘어 사회문화적 생활 능력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확장되면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범위도 더욱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제 미디어 리터러시는 빠르게 변화하고 개별화되는 사회 환경에 적응하고 효율적으로 정보를 향유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역량이 된 것입니다. 이러한 인식 하에 여러 지자체에서는 지역 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 책은 지역 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양적 활성화를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한국어교육학 전공 박사과정생들의 전공 지식과 교육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지역 내 교육 기관에서 실행 가능한 외국인(외국인 유학생, 여성결혼이민자, 다문화청소년, 외국인 노동자 등)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을 수록하였습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장현묵(지은이)
세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초빙 교수 세종대학교 한국어교육학 박사
김희정(지은이)
김희정 세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학 전공 박사과정
주치청(지은이)
주치청 세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학 전공 박사과정
손위한(지은이)
손위한 세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학 전공 박사과정
왕화흔(지은이)
왕화흔 세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학 전공 박사과정
설영영(지은이)
설영영 세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학 전공 박사과정
오유진(지은이)
오유진 세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학 전공 박사과정
송유하(지은이)
송유하 세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학 전공 박사과정
송지현(지은이)
송지현 세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학 전공 박사과정
정호(지은이)
정호 세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학 전공 박사과정
강희경(지은이)
강희경 세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학 전공 박사과정

Table of Contents
1.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 1) 미디어란 2) 미디어의 변화 3) 미디어 리터러시란 4)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2.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1) 뉴스와 뉴스 사이 2) 유튜브를 활용한 무엇을, 어떻게, 왜? 3) 선주민과 이주민이 함께 하는 소통, 공감, 참여 프로젝트 4) 광고적 참견 시점 5)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다소모 문학 모꼬지 6)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일상 공유 프로젝트 - 브이로그 만들기 7) 한국어 어휘 학습을 위한 영상 단어장 제작 프로그램 8) 유학생을 위한 한국 생활 가이드 동영상 프로그램 9)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 생활 온라인 가이드 10) 외국인을 위한 함께 타요! 서울 대중교통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