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의사들은 왜 그래?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선영
서명 / 저자사항
의사들은 왜 그래? / 김선영
발행사항
서울 :   스리체어스,   2021  
형태사항
112 p. : 삽화 ; 19 cm
총서사항
북 저널리즘 = Book journalism
ISBN
9791191652093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93140
005 20210923141855
007 ta
008 210917s2021 ulka 000c kor
020 ▼a 9791191652093 ▼g 033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610.695 ▼2 23
085 ▼a 610.695 ▼2 DDCK
090 ▼a 610.695 ▼b 2021
100 1 ▼a 김선영
245 1 0 ▼a 의사들은 왜 그래? / ▼d 김선영
260 ▼a 서울 : ▼b 스리체어스, ▼c 2021
300 ▼a 112 p. : ▼b 삽화 ; ▼c 19 cm
490 1 0 ▼a 북 저널리즘 = ▼a Book journalism
830 0 ▼a 북 저널리즘
830 0 ▼a Book journalism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0.695 2021 등록번호 11185336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신착 청구기호 610.695 2021 등록번호 1310556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0.695 2021 등록번호 11185336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신착 청구기호 610.695 2021 등록번호 1310556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의사가 신뢰받지 못하는 사회에서는 구성원들의 의료 문제 인식과 대응에 차질이 빚어진다. 우리는 이것을 판데믹이라는 중대한 공중 보건 위기에서 확인했다. 바쁜 국민은 의사들을 이해할 여력이 없다. 좌절한 의사는 무엇이 문제인지 계속 말하는 데 지쳤다. 그러나 먼저 설명하고 설득해야 하는 쪽은 여전히 의사다. 궤변인 것 같지만, 모든 의사는 의사가 아니었던 적이 있으니까. 지난 20년간 의료 현장에서 각종 모순을 보고 또 그 모순에 일조해 온 중견 의사로부터 진짜 병원 이야기를 듣는다.

병원을 배경으로 하는 tvN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이 처음 방영됐을 때, 시청자들은 누구보다 인간적이고 헌신적으로 환자를 대하는 주인공들에 열광했지만 동시에 ‘세상에 저런 의사가 어디 있냐’며 냉소를 지었다. 상호 존중하고 신뢰하는 의사와 환자 관계는 왜 비현실적인 판타지로 여겨질까. 의사는 왜 엘리트주의와 특권 의식에 젖은 기득권으로만 비치는 걸까.

피곤에 찌들어 내게는 무심한 듯한 얼굴, 속사포처럼 뱉어내는 알아듣기 힘든 설명, 빨리 내 차례를 끝내고 다음 환자를 보려는 듯한 행동 등 보편적이라 여겨지는 의사들의 태도 때문일 거다. 많은 경우 우리는 병원에서 오감을 통해 인간적 소외감을 경험하고 이것이 쌓여 불신과 불만으로 발현한다. 상황이 이러니 의사들은 왜 저렇게 말하고 행동할까 이해하려는 노력은 시도조차 어렵다.

그럼에도 ‘의사들은 원래 그래’라는 감정적 고착은 도려내야만 한다. 불친절한 의사들의 이면에 불합리한 시스템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 안을 들여다보면 환자들이 경험해 온 소외감의 상당 부분이 병원을 둘러싼 정책과 의료 체계에 기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현실적인 수가 수준, 획일적인 병원 운영 방식, 무계획적인 의료 인력 운용 등이다. 어쩌면 우리가 그토록 불신하는 의사를 양산해 낸 건 그들의 엘리트
주의나 특권 의식이 아닌, 하나같이 낯설고 나와 상관없어 보이는 이 시스템일지도 모른다.

김선영 저자는 현행 의료 제도의 모순과 불합리가 환자와 의사 사이의 관계를 왜곡하는데, 이는 우리 사회에 만연한 모순과도 연결된다고 지적한다. 소위 ‘사람을 갈아 넣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의료 현장에서도 똑같이 나타나고 있음을 꼬집은 거다. 정부는 병원을, 병원은 의료진을, 국민은 다시 정부를 압박하는 이 굴레에서 벗어나야 한다. 의사에 대한 불신 혹은 무관심이 나와 내 가족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끔찍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판데믹은 ‘K방역’이라는 화려함 뒤에 가려졌던 열악한 의료 환경을 직시하게 했다. 불신을 걷어 내고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첫 단계가 상호 이해라는 점에서, 어쩌면 지금이야말로 ‘의사들은 왜 그래’라는 질문을 던질 최적의 시기다.

북저널리즘은 북(book)과 저널리즘(journalism)의 합성어다. 우리가 지금, 깊이 읽어야 할 주제를 다룬다. 단순한 사실 전달을 넘어 새로운 관점과 해석을 제시하고 사유의 운동을 촉진한다. 현실과 밀착한 지식, 지혜로운 정보를 지향한다. bookjournalism.com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선영(지은이)

국내 한 대학 병원에서 근무하는 내과 의사다. 의료 현장에서 환자와 의료인 모두가 소외되고 있는 현실에 관심이 많다. 의료 전문지 《청년의사》에 칼럼을 기고하면서 글쓰기를 시작했고, 암으로 사망한 아버지의 투병 일기를 통해 오늘의 진료 현장을 조망하는 에세이 《잃었지만 잊지 않은 것들》을 썼다. 현재는 《서울신문》에 &lt의(醫)심전심&gt이라는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 _ 프롤로그 ; 집단적 번아웃에 빠진 의사들

2 _ 의사들은 왜 필수 의료를 기피할까?
흔들리는 종합 병원의 중추
동반자나 수호자가 되고 싶었던 기술자
급여와 비급여
전공의 지원율과 출산율
강호를 떠날 필요가 없도록

3 _ 의사들은 왜 불친절할까?
우리에게 허락된 3분
커뮤니케이션 과외받는 의사들
친절과 환자 안전의 상관관계
적응의 부작용
의사의 일

4 _ 의사들은 왜 입원 환자에 소홀할까?
값싼 노동의 이면
전공의 특별법과 PA 간호사
입원 권하는 사회
입원 전담 전문의
돌봄의 위기

5 _ 의사들은 왜 신뢰받지 못할까?
환자와 의사 사이의 권력관계
신뢰가 사라지는 이유
집단적 권위주의와 환자의 알 권리
오픈 노트의 시대
수술실 CCTV

6 _ 에필로그 ; 〈The Doctor〉가 던지는 메시지

7 _ 북저널리즘 인사이드 ; 왜곡된 관계

관련분야 신착자료

亜留間次郎 (2022)
McEwen, Melanie (2023)
임국환 (2022)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