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유동성위험 주석의 정보유용성

유동성위험 주석의 정보유용성

Material type
학위논문
Personal Author
이상혁
Title Statement
유동성위험 주석의 정보유용성 / 이상혁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Physical Medium
iv, 41장 ; 26 cm
기타형태 저록
유동성위험 주석의 정보유용성   (DCOLL211009)000000251383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2021. 8
학과코드
0510   6YB2   590  
General Note
지도교수: 유용근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장 35-39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정보유용성, 자기자본비용, 유동성위험,,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92786
005 20230627111105
007 ta
008 210621s2021 ulk 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YB2 ▼c 590
100 1 ▼a 이상혁
245 1 0 ▼a 유동성위험 주석의 정보유용성 / ▼d 이상혁
246 1 1 ▼a Information content of liquidity risk disclosure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2021
300 ▼a iv, 41장 ; ▼c 26 cm
500 ▼a 지도교수: 유용근
502 1 ▼a 학위논문(박사)--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경영학과, ▼d 2021. 8
504 ▼a 참고문헌: 장 35-39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정보유용성 ▼a 자기자본비용 ▼a 유동성위험
776 0 ▼t 유동성위험 주석의 정보유용성 ▼w (DCOLL211009)000000251383
900 1 0 ▼a 유용근, ▼g 兪龍根, ▼d 1969-, ▼e 지도교수 ▼0 AUTH(211009)153175
900 1 0 ▼a Lee, Sang-hyuk, ▼e
900 1 0 ▼a Yoo, Yong-keun, ▼e 지도교수
945 ▼a KLPA

Electronic Information

No. Title Service
1
유동성위험 주석의 정보유용성 (61회 열람)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YB2 590 Accession No. 16308127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YB2 590 Accession No. 16308127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107호에 따라 공시되는 항목 중 유동성위험 주석이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지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유동성위험 주석 중 만기분석에 포함된 계약상 현금흐름과 장부금액의 차이를 유동성위험 금액으로 정의하고, 기업의 위험 측정치인 자기자본비용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정보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107호에서는 보고기간 말 현재 금융상품에서 생기어 기업이 노출되는 위험의 특성 및 정도를 재무제표이용자가 평가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공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중 유동성위험과 관련된 만기분석에서 공시하는 계약상 금액은 할인되지 않은, 계약상 가장 이른 만기일에 기초한 금액으로써, 계약상 현금흐름과 장부금액의 차이는 기업의 재무제표에 계상된, 현재 보유하고 있는 부채 외에 발생할 수 있는 현금유출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정보를 투자자들이 인지하고, 재무위험의 증가에 따라 위험프리미엄을 요구한다면 자기자본비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유동성위험 금액과 자기자본비용 간 관계를 분석하여 유동성위험 주석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지 분석한다. 이후, 기업의 재무보고 환경, 구체적으로 정보비대칭의 정도에 따라 유동성위험 주석의 정보유용성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 도입된 2011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표본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유동성위험 금액과 자기자본비용 간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임으로써 유동성위험 주석이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이러한 양(+)의 관계는 정보비대칭 정도가 높은 경우에 나타나고 있어, 기업의 재무보고 환경에 따라 정보유용성이 달라지는 것을 보여준다. 추가분석에서는 정보의 양적 측면과 기업의 부채조달비용 측면에서 정보유용성에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자본시장에 제공된 정보의 양이 적거나 부채조달비용이 높은 기업에서 유동성위험 금액과 자기자본비용 간 양(+)의 관계를 제시한다.
본 논문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유동성위험 주석의 양적 정보에 대한 정보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주로 다루었던 시장위험과 관련된 양적 정보를 통제한 이후에도 유동성위험 주석이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구체적인 위험에 대한 공시와 자기자본비용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는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위험공시의 질적 정보에 대해 분석한 선행연구와 차별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유동성위험 주석이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는 결과를 통해, 주석공시 모범사례 등을 통해 보다 유동성위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liquidity risk disclosure in accordance with K-IFRS 1107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investors.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liquidity risk, measured as the difference in contractual cash flows and carrying amounts in the maturity analysis disclosed in the liquidity risk disclosure, and the cost of capital which is a measure of the firm's risk. According to K-IFRS 1107, it requires disclosure of information that enables users of financial statements to evaluate the nature and extent of risks that arise from financial instruments at the end of the reporting period. The liquidity risk disclosure provides information about contractual cash flows disclosed in the maturity analysis that are not discounted and based on the earliest contractual maturity. So the amount of liquidity risk implies cash outflows that may occur other than financial liabilities currently booked in financial statements. If investors are aware of this information and demand risk premium as financial risk increases, cost of capital is likely to rise.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liquidity risk and the cost of capital to analyze whether liquidity risk disclosure provides useful information. Subsequently, this paper analyzes the information usefulness of liquidity risk disclosure by classifying the samples according to the level of information asymmetry. Using samples listed on the KOSPI market from 2011 to 2018, I fi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liquidity risk and the cost of capital. This result indicates that liquidity risk disclosure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investor. On the other hand, this positive relationship appears when the level of information asymmetry is high, indicating that the information content depends on the firm's financial reporting environment. Further analyses show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nformation content in terms of the quantitative aspects of information and the firm’s cost of debt. Results show that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liquidity risk and the cost of capital for firms with a small amount of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apital market or with high cost of debt. The contribu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to examine the information content of quantitative information about liquidity risk disclosure. Second, through the results that liquidity risk disclosure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investors, this paper provides the policy implication for the regulators that more accurate liquidity risk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 investors through best practices.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선행연구 및 가설 설정	4
  2.1. 선행연구	4
  2.2. 가설 설정 8

Ⅲ. 표본선정 및 연구모형 11
  3.1. 표본선정 11
  3.2. 자기자본비용 측정 방법 12
  3.3. 연구모형	14

Ⅳ. 실증분석 결과 17
  4.1. 기술통계량 17
  4.2. 회귀분석 결과	22
  4.3. 추가분석	26

Ⅴ. 결론 29

Ⅵ. 부록 31

Ⅶ. 참고문헌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