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92509 | |
005 | 20230531093924 | |
007 | ta | |
008 | 210628s2021 ulka bmAC 000c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5 | 0 | ▼a 0510 ▼2 KDCP |
090 | ▼a 0510 ▼b 6M2 ▼c 1034 | |
100 | 1 | ▼a 이지수 |
245 | 1 0 | ▼a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문학 분석 : ▼b Cinderella와 Ella Enchanted를 중심으로 / ▼d 이지수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1 | |
300 | ▼a 61장 : ▼b 천연색삽화 ; ▼c 26 cm | |
500 | ▼a 지도교수: 최석무 | |
502 | 0 |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영어교육전공, ▼d 2021. 8 |
504 | ▼a 참고문헌: p. 56-61 | |
530 |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 |
653 | ▼a Cinderella ▼a Ella Enchanted ▼a 크리티컬 리터러시 | |
776 | 0 | ▼t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문학 분석 ▼w (DCOLL211009)000000251342 |
900 | 1 0 | ▼a 최석무, ▼g 崔錫戊, ▼d 1968-, ▼e 지도교수 ▼0 AUTH(211009)150372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M2 1034 | 등록번호 16308109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M2 1034 | 등록번호 1630810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초록
영어 교육에 있어 목표 언어와 문화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문학 작품은 유용한 학습 매체이다. 특히 전래동화는 오랜 시간 세대를 거쳐 전달된 이야기로 비교적 쉬운 언어로 구성되었으며, 누구에게나 친숙한 내용이라는 점에서 교육적 이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오랜 시간 구전된 전래동화에는 당대의 이데올로기나 지배 계급의 가치관이 반영되어 있어, 어린 학생들이 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할 경우 동화 속 편견을 그대로 내재화할 위험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문학작품을 학습할 때에 크리티컬 리터러시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텍스트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하여 Perrault의 전래동화 Cinderella와 이를 현대적 관점에서 변용한 대안작품인 Levine의 소설 Ella Enchanted를 비교하였다. 성 역할, 계급과 소외된 계층, 외양의 관점에서 원작 동화에 나타난 편견을 알아보고, 개작본이 이를 어떻게 개선하였으며 또한 이 과정에서 새롭게 나타난 편견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성 역할, 계급 및 소외된 계층 그리고 외양과 관련하여 다양한 편견이 전래동화에 내재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현대적으로 변용한 대안작품에서는 과거의 편견을 개선하려는 시도를 살펴볼 수 있었으나, 대안작품의 배경이 된 당대의 고정관념으로부터 탈피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텍스트의 권위에 도전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읽어내는 크리티컬 리터러시의 의미와 중요성을 되새겨 볼 수 있었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6 Ⅱ. 이론적 배경 8 1. 크리티컬 페다고지 8 2. 크리티컬 리터러시 11 3. 영어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의 중요성 14 Ⅲ. 연구 방법 17 1. 연구 대상 17 2. 연구 방법 18 Ⅳ. 연구 결과 20 1. 성 역할 20 1) Charles Perrault의 Cinderella 21 2) Gail Carson Levine의 Ella Enchanted 25 2. 계급과 소외된 계층 33 1) Charles Perrault의 Cinderella 34 2) Gail Carson Levine의 Ella Enchanted 39 3. 외양 43 1) Charles Perrault의 Cinderella 44 2) Gail Carson Levine의 Ella Enchanted 47 Ⅴ. 결론 52 참고문헌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