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Caldecott 수상 작품의 교육철학적 경향 분석 연구

Caldecott 수상 작품의 교육철학적 경향 분석 연구 (1회 대출)

자료유형
학위논문
개인저자
박윤희
서명 / 저자사항
Caldecott 수상 작품의 교육철학적 경향 분석 연구 / 박윤희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형태사항
vi, 195 p. : 도표 ; 26 cm
기타형태 저록
Caldecott 수상 작품의 교육철학적 경향 분석 연구   (DCOLL211009)000000251343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2021. 8
학과코드
0510   6M2   1033  
일반주기
지도교수: 어도선  
서지주기
참고문헌: p. 95-111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교육철학, 내용분석, Caldecott 상,,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92508
005 20230713173439
007 ta
008 210629s2021 ulkd 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2 ▼c 1033
100 1 ▼a 박윤희
245 1 0 ▼a Caldecott 수상 작품의 교육철학적 경향 분석 연구 / ▼d 박윤희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1
300 ▼a vi, 195 p. : ▼b 도표 ; ▼c 26 cm
500 ▼a 지도교수: 어도선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영어교육전공, ▼d 2021. 8
504 ▼a 참고문헌: p. 95-111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교육철학 ▼a 내용분석 ▼a Caldecott 상
776 0 ▼t Caldecott 수상 작품의 교육철학적 경향 분석 연구 ▼w (DCOLL211009)000000251343
900 1 0 ▼a 어도선, ▼g 魚道善, ▼d 1961-, ▼e 지도교수 ▼0 AUTH(211009)33870
945 ▼a KLPA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Caldecott 수상 작품의 교육철학적 경향 분석 연구 (114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M2 1033 등록번호 1630810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M2 1033 등록번호 1630810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초록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칼데콧 수상작의 교육철학적 흐름 및 경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938년부터 2021년까지 수상한 작품 총 84편을 문학적으로 분석한 후 각 작품에 내재된 교육철학에 따라 분류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수상작 중 가장 높은 비중으로 작품에 내재된 교육철학은 포스트모더니즘이었으며,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철학 내에서는 다문화주의, 생태주의, 페미니즘, 포스트모더니즘적 구조 및 형식의 순서로 등장 빈도가 나타났다. 본질주의, 진보주의, 실존주의, 항존주의 교육철학이  순서대로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철학의 뒤를 이었다. 교육철학에 따른 수상작 분류를 시대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수상 초기에는 본질주의, 생태주의, 진보주의, 페미니즘, 항존주의, 다문화주의의 순서로, 중기에는 본질주의, 다문화주의, 페미니즘, 진보주의, 생태주의, 실존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적 구조 및 형식, 항존주의의 순서로, 후기에는 본질주의, 다문화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적 구조 및 형식, 생태주의와 페미니즘, 실존주의, 진보주의의 순서로 교육철학이 수상작에 등장하고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이루어질 칼데콧 수상작의 보다 효과적인 교육적 활용을 위한 자료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6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7
1. 그림책 읽기 및 활용이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7
1.1 언어적 영향 7
1.2 정서적 영향 9
1.3 사회문화적 영향 11
2. 현대교육철학 13
2.1 진보주의 교육철학 13
2.2 본질주의 교육철학 15
2.3 항존주의 교육철학 16
2.4 실존주의 교육철학 18
2.5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철학 19

III. 연구 방법 25
1. 문학적 분석 기준 25
1.1 장르 분석 기준 26
1.2 주제나 내용 분석 기준 27
1.3 등장인물 분석 기준 28
1.4 배경 분석 기준 29
2. 교육철학별 선정 기준 29
2.1 진보주의 교육철학 작품 선정 기준 29
2.2 본질주의 교육철학 작품 선정 기준 30
2.3 항존주의 교육철학 작품 선정 기준 31
2.4 실존주의 교육철학 작품 선정 기준 32
2.5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철학 작품 선정 기준 33
2.5.1 다문화주의 교육철학 작품 선정 기준 34
2.5.2 생태주의 교육철학 작품 선정 기준 34
2.5.3 페미니즘 교육철학 작품 선정 기준 35
2.5.4 이외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철학 작품 선정 기준 35

IV. 연구 결과 및 분석 37
1. 연구 결과 37
1.1 진보주의 교육철학이 담긴 수상작 37
1.2 본질주의 교육철학이 담긴 수상작 39
1.3 항존주의 교육철학이 담긴 수상작 45
1.4 실존주의 교육철학이 담긴 수상작 46
1.5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철학이 담긴 수상작 48
1.5.1 다문화주의 교육철학이 담긴 수상작 48
1.5.2 생태주의 교육철학이 담긴 수상작 51
1.5.3 페미니즘 교육철학이 담긴 수상작 54
1.5.4 이외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철학이 담긴 수상작 56
1.6 두 가지 교육철학이 담긴 수상작 58
1.7 세 가지 교육철학이 담긴 수상작 63
2. 결과 분석 65
2.1 교육철학별 분석 65
2.2 시대별 교육철학 경향 분석 76

V. 결론 및 제언 86

참고문헌 95

부록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