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부정적인 것에 가깝다.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시나리오 기반 글쓰기 수업’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 중학교 1학년에게 적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 기반 글쓰기 수업을 설계하고, (2)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시나리오 기반 글쓰기 수업을 적용했을 때의 효과를 분석하고, (3) 수업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는 세 가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시나리오 기반 글쓰기 수업은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시나리오 과제를 설계하여 글쓰기가 당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임을 경험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자유학기 주제선택프로그램으로 ‘논리원정대’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수업에서는 총 두 차례의 시나리오 기반 글쓰기 수업을 하도록 설계하였는데, 특히 주장하는 글쓰기를 하도록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1차 시나리오 과제는 “자신의 주장과 근거를 토대로 다른 사람을 설득하는 글을 쓸 수 있다.”라는 과제 목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학교 2013>이라는 드라마를 동기유발 영상으로 선정하였고, 학생들이 영상 속 학급 구성원의 입장에서 A4 1/2 페이지 분량의 ‘발표문’을 작성하도록 설계하였다.
2차 시나리오 과제는 “자신의 주장과 근거를 토대로 건의하는 글을 쓸 수 있다.”라는 과제 목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4등>이라는 영화를 동기유발 영상으로 선정하였고, 학생들이 영상 속 주인공의 되어 A4 1페이지 분량의 ‘건의문’을 작성하도록 설계하였다.
이후 수업을 실행하였다. 본 수업은 총 70명의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수강하였으며, 이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6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업 과정은 다음과 같다. 수업 전 쓰기 효능감을 측정한 후, 논리와 논증, 글쓰기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후 1차 글쓰기 과제의 동기부여 영상인 <학교 2013>을 시청한 후, 글쓰기 과제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드라마 속 인물의 회장직을 박탈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본인의 논리를 마련하고 공유하도록 하였다. 이후 개요를 작성하고, 발표문을 쓴 후 고쳐쓰기 과정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다른 친구들의 글을 읽으며 서로 댓글을 달아주는 활동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하여 1차 수업소감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글쓰기 과제도 유사한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동기부여 영상 <4등>을 시청한 후, 글쓰기 과제를 확인하였다. 이후 본인이 생각하기에 스포츠계 폭력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하여 다른 친구들와 의견을 공유하였다. 다음으로 개요 작성, 건의문 작성, 고쳐쓰기 과정을 거친 후, 다른 친구들의 글을 읽으며 서로 댓글을 다는 활동을 하였다. 수업을 마무리하면서 2차 수업소감문을 작성하고 수업 후 쓰기 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의 쓰기 효능감 변화, 수업소감문, 심층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수업의 효과와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수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글쓰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였다. 두 번째, 글쓰기 방법을 학습하였다. 세 번째, 논리적 사고를 연습하였다. 네 번째, 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의식이 제고되었다. 마지막으로, 동료와의 적극적인 교류가 일어났다.
수업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글쓰기 방법을 상세히 안내한다. 두 번째, 글쓰기 연습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한다. 세 번째, 온라인 수업 시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진행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 기반 글쓰기 수업과 그 효과 및 개선방안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추후 글쓰기 수업을 설계하고 진행할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고, 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는 데 바탕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