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92138 | |
005 | 20210927111248 | |
007 | ta | |
008 | 210622s2021 ulkad bmAC 000c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92 | |
041 | 0 | ▼a kor ▼b kor ▼b eng |
085 | 0 | ▼a 0510 ▼2 KDCP |
090 | ▼a 0510 ▼b 6H3 ▼c 304 | |
100 | 1 | ▼a 이빛나 |
245 | 1 0 | ▼a 만성질환 노인의 경제적 부담, 물리적, 시간적 제약으로 인한 미충족 의료 요인 / ▼d 이빛나 |
246 | 1 1 | ▼a Unmet Medical Needs due to the Economic, Physical and Time Burden among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c 2021 | |
300 | ▼a 48장 : ▼b 삽화, 도표 ; ▼c 26 cm | |
500 | ▼a 지도교수: 윤석준 | |
502 | 0 |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c 보건정책및병원관리학과, ▼d 2021. 8 |
504 | ▼a 참고문헌: 장 40-46 | |
530 |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 |
653 | ▼a 만성질환 노인 ▼a 보건의료 접근성 ▼a 미충족 의료 | |
776 | 0 | ▼t 만성질환 노인의 경제적 부담, 물리적, 시간적 제약으로 인한 미충족 의료 요인 ▼w (DCOLL211009)000000252201 |
900 | 1 0 | ▼a Lee, Bicna, ▼e 저 |
900 | 1 0 | ▼a 윤석준, ▼e 지도교수 |
900 | 1 0 | ▼a Yoon, Seok-Jun, ▼e 지도교수 |
Electronic Information
No. | Title | Service |
---|---|---|
1 | 만성질환 노인의 경제적 부담, 물리적, 시간적 제약으로 인한 미충족 의료 요인 (132회 열람) |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1/ | Call Number 0510 6H3 304 | Accession No. 13300818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목적: 한국 만성질환 보유 노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만성질환 노인의 보건의료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에서 1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진단받은 만 65세 이상 노인 8,801명을 최종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먼저, 미충족 의료 연구에 사용되는 Andersen의 행동 모델에 따라 소인 요인, 가능 요인, 필요 요인으로 독립변수를 구성하고, 미충족 의료 경험 여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미충족 의료 경험 여부에 따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카이 제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미충족 의료 경험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충족 의료 경험 이유별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미충족 의료 경험이 없는 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은 IBM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 5%에서 양측검정을 수행하였다. 결과: 만성질환 보유 노인 중 6.9%가 미충족 의료를 경험 하였으며, 이 중 69.6%가 경제적 부담, 21.3%가 물리적 제약, 9.0%가 시간적 제약과 관련한 이유로 미충족 의료를 경험했다. 분석 결과, 만성질환 보유 노인은 배우자가 없는 경우와 우울, 기능 제한이 있는 경우 경제적 부담 및 물리적 제약으로 인한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확률이 높았고 학력이 낮을수록 시간적 제약으로 인한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확률이 높았다. 결론: Andersen 모델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만성질환 노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 요인들을 확인하였다. 특히 만성질환 노인이 미충족 의료를 경험한 이유에 따라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만성질환 노인의 미충족 의료 발생 이유에 따라 우선적으로 고려 해야 하는 정책의 접근방식이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Table of Contents
국문 요약 i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3 1. 미충족 의료의 개념 3 2. 미충족 의료의 이론적 모델 5 3. 우리나라 만성질환 노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 선행 연구 7 III. 연구 방법 8 1. 자료 및 연구대상 8 2. 연구 모형 10 3. 변수의 정의 11 4. 분석 방법 14 IV. 연구 결과 15 1. 미충족 의료 경험 여부에 따른 만성질환 노인의 일반적 특성 15 2. 만성질환 노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에 미치는 요인 17 3. 미충족 의료 경험 유형에 따른 만성질환 노인의 일반적 특성 20 4. 만성질환 노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 유형에 따른 요인 25 V. 고찰 30 1. 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 30 2. 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 32 3.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고찰 38 VI. 결론 39 참고 문헌 40 Abstract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