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91976 | |
005 | 20210910143541 | |
007 | ta | |
008 | 210910s2018 ulk b 001c kor | |
020 | ▼a 9791162442555 ▼g 94810 | |
020 | 1 | ▼a 9791156862253 (세트) |
035 | ▼a (KERIS)BIB000014884022 | |
040 | ▼a 222003 ▼c 222003 ▼d 211009 | |
082 | 0 4 | ▼a 895.71209 ▼2 23 |
085 | ▼a 897.1309 ▼2 DDCK | |
090 | ▼a 897.1309 ▼b 2018z5 | |
245 | 0 0 | ▼a 고전문학의 언어와 표현 / ▼d 최재남 [외] |
246 | 0 3 | ▼a 시조의 구성과 표현의 양상, 가사의 언어적 진술, 판소리의 문학적 진술 |
260 | ▼a 서울 : ▼b 역락, ▼c 2018 | |
300 | ▼a 299 p. ; ▼c 24 cm | |
490 | 1 0 | ▼a 이화여자대학교 국어문화원 연구총서 ; ▼v 4 |
500 | ▼a 공저자: 진영희, 양동주, 윤예전, 안세연, 이민규, 박소영, 박혜인, 이수정, 고진영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최재남, ▼g 崔載南, ▼d 1961-, ▼e 저 ▼0 AUTH(211009)126639 |
700 | 1 | ▼a 진영희, ▼e 저 |
700 | 1 | ▼a 양동주, ▼e 저 |
700 | 1 | ▼a 윤예전, ▼e 저 |
700 | 1 | ▼a 안세연, ▼e 저 |
700 | 1 | ▼a 이민규, ▼e 저 |
700 | 1 | ▼a 박소영, ▼e 저 |
700 | 1 | ▼a 박혜인, ▼e 저 |
700 | 1 | ▼a 이수정, ▼e 저 |
700 | 1 | ▼a 고진영, ▼e 저 |
830 | 0 | ▼a 이화여자대학교 국어문화원 연구총서 ; ▼v 4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1309 2018z5 | Accession No. 11185309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화여자대학교 국어문화원 연구총서 4권 <고전문학의 언어와 표현>. '고전시가의 언어와 표현', '시적 구성의 관습성과 형상화의 보편성', '19세기 서사 양식에서 역사인물평의 언어와 표현', '사랑 주제의 판소리와 잡극의 언어와 표현' 등으로 구성되었다.
시조의 구성과 표현의 양상
가사의 언어적 진술
판소리의 문학적 진술
문학은 언어로 이루어진 예술이고 시는 문학의 정수(精髓)라고 할 때, 시의 언어와 표현에 대한 관심은 정수(精髓)를 밝히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시를 시답게 하는 것이 율격적 장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며, 율격적 장치를 염두에 두면서 시적 언어와 문학적 표현을 중심으로 주제 구현이나 양식적 특성과 연계하여 검토하고, 나아가 이를 일상의 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 애초의 목표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창간사 머리말 고전시가의 언어와 표현 || 최재남 1. 서언 2. 시적 구성과 언어와 표현 3. 소결 시적 구성의 관습성과 형상화의 보편성 || 최재남 1. 서론 2. 죽하당 시조의 내용 3. 시가 형성의 몇 원리 4. 결론 [관서별곡]과 [관동별곡]의 언어와 표현 || 진영희 1. 서론 2. 서사 구조의 언어와 표현 3. 결론 [누항사]의 언어와 표현 연구 || 양동주 1. 서론 2. 각 행별 언어 및 표현 분석 3. ‘허위허위-설피설피’ 표현의 성격과 의의 4. 결론 설득적 담화로서의 [만언사]의 언어와 표현 || 윤예전 1. 들어가며 2. [만언사]의 유통과 수용, 그리고 설득의 기반에 대하여 3. [만언사]의 설득적 표현 전략 4. 나가며 잡가 [선유가]의 언어와 표현 || 안세연 1. 들어가며 2. 경기12잡가와 [선유가]의 형성 3. [선유가]의 사랑, 이별의 구현과 노랫말의 구성 4. 나가며 『조선민요선』속 서정성의 언어 및 표현 || 이민규 1. 서론 2. 「서설」에서의 민요관 3. 애욕적 감정을 담은 서정성의 언어 및 표현 4. 이야기성을 포괄한 서정성의 언어 및 표현 5. 나가며 [게우사]와 [남원고사]에 드러난 언어와 표현 || 박소영 1. 들어가며 2. [게우사]와 [남원고사] 주제 의식 및 등장인물 3. [게우사]와 [남원고사] 속 언어와 표현 4. 나가며 19세기 서사 양식에서 역사인물평의 언어와 표현 || 박혜인 1. 서론 2. 인물평의 구성 및 언어 표현 분석 3. 『삼설기』의 서사적 특징과 인물평과의 관계 4. 결론 사랑 주제의 판소리와 잡극의 언어와 표현 || 이수정 1. 서언 2. 판소리와 잡극의 구연형태 3. 『춘향가』와 『서상기』의 언어와 표현 4. 소결 조선조 소동파 [전적벽부]의 수용 || 고진영 1. 서언 2. 소동파 [전적벽부]의 언어 표현 3. 조선조 [전적벽부]의 언어 표현 수용 4. 소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