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91578 | |
005 | 20210908103817 | |
007 | ta | |
008 | 210907s2015 ggkad b 000c kor | |
020 | ▼a 9788963472362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3951990 | |
040 | ▼a 211059 ▼d 222001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27.51058 ▼2 23 |
085 | ▼a 327.51058 ▼2 DDCK | |
090 | ▼a 327.51058 ▼b 2015 | |
245 | 0 0 | ▼a 중국(中國)의 부상과 중앙아시아(中央亞世亞) = ▼x China's rise & Central Asia / ▼d 신범식 외 13인 저 |
246 | 3 | ▼a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 |
246 | 3 1 | ▼a China's rise and Central Asia |
260 | ▼a 과천 : ▼b 진인진, ▼c 2015 | |
300 | ▼a 380 p. : ▼b 삽화, 도표 ; ▼c 25 cm | |
490 | 1 0 | ▼a 세계 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 ; ▼v 010 |
500 | ▼a 공저자: 양승조, 박병인, 박상남, 예브게니 홍, 성동기, 윤익중, 현승수, 김영식, 김태연, 조영관, 고가영, 정재원, 최소영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36 | ▼a 본 연구는 2014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의 아시아 연구기반 구축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g (#SNUAC-2014-010) | |
700 | 1 | ▼a 신범식, ▼g 辛範植, ▼d 1966-, ▼e 저 ▼0 AUTH(211009)106568 |
700 | 1 | ▼a 양승조, ▼g 楊昇鵰, ▼d 1968-, ▼e 저 ▼0 AUTH(211009)90325 |
700 | 1 | ▼a 박병인, ▼g 朴昺寅, ▼d 1963-, ▼e 저 ▼0 AUTH(211009)88481 |
700 | 1 | ▼a 박상남, ▼g 朴爽楠, ▼d 1963-, ▼e 저 ▼0 AUTH(211009)51514 |
700 | 1 | ▼a Khon, Yevgeniy, ▼e 저 |
700 | 1 | ▼a 성동기, ▼g 成東基, ▼d 1969-, ▼e 저 ▼0 AUTH(211009)80387 |
700 | 1 | ▼a 윤익중, ▼g 尹翼重, ▼d 1967-, ▼e 저 ▼0 AUTH(211009)42861 |
700 | 1 | ▼a 현승수, ▼g 玄承洙, ▼d 1969-, ▼e 저 ▼0 AUTH(211009)100940 |
700 | 1 | ▼a 김영식, ▼e 저 |
700 | 1 | ▼a 김태연, ▼e 저 |
700 | 1 | ▼a 조영관, ▼g 曺永官, ▼d 1968-, ▼e 저 ▼0 AUTH(211009)123871 |
700 | 1 | ▼a 고가영, ▼g 高嘉英, ▼d 1966-, ▼e 저 ▼0 AUTH(211009)93807 |
700 | 1 | ▼a 정재원, ▼g 鄭在原, ▼d 1970-, ▼e 저 ▼0 AUTH(211009)128300 |
700 | 1 | ▼a 최소영, ▼e 저 |
830 | 0 | ▼a 세계 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 ; ▼v 010 |
900 | 1 0 | ▼a 홍, 예브게니,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7.51058 2015 | Accession No. 11185289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세계 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 10권. 중국과 중앙아시아의 국제관계를 조망한 학술연구서로서, 해당지역과 중국의 국제 관계에 대해서 역사적 맥락과 함께 현재의 진전 상황에 대한 전체적인 시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90년대 이후 중앙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이 구 소련 연방으로부터 독립하게 되면서 중앙아시아는 유라시아 국제관계를 좌우하는 요충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1부는 중국의 중앙아시아 정책에 대해서 역사적인 진행과정 및 시진핑 정부에서 새롭게 제기된 안보-경제 공동체 구상 정책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다. 2부는 중국의 부상에 대한 중앙아시아 나라들의 대응을 설명하였다. 3부는 중국-동아시아 관계의 현존하는 쟁점들을 다루었다. 중국을 바라보는 데 있어서 동북아 중심 시각이 일반적인 우리나라의 기존 관행에서 벗어나, 중국의 부상을 유라시아 대륙의 차원 및 전 지구적 차원으로 확대해서 조망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산하 중앙아시아센터의 첫 학술성과인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가 발간되었습니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의 ‘세계 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 10권이기도 합니다.
80년대 이후 진행되어 온 중국의 발전 및 국제 관계 변화에 대한 연구는 주로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습니다. 90년대 이후 중앙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이 구 소련 연방으로부터 독립하게 되면서, 중국의 대 중앙아시아 정책 또한 변화가 있었고 이에 대한 중앙아시아 각국들의 반응 및 전통적인 주변 강국인 인도와 러시아의 대응이 어우러져서 중앙아시아는 유라시아 국제관계를 좌우하는 요충지역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는 중국과 중앙아시아의 국제관계를 조망한 최초의 학술연구서로서, 해당지역과 중국의 국제 관계에 대해서 역사적 맥락과 함께 현재의 진전 상황에 대한 전체적인 시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는 3개의 부로 나뉘어 있는데, 1부는 중국의 중앙아시아 정책에 대해서 역사적인 진행과정 및 시진핑 정부에서 새롭게 제기된 안보-경제 공동체 구상 정책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습니다. 2부는 중국의 부상에 대한 중앙아시아 나라들의 대응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으로 구분해서 설명하였습니다. 3부는 중국-동아시아 관계의 현존하는 쟁점들을 다루었는데, 중국에 대한 해당지역 엘리트들과 대중들의 인식, 중앙아시아-중국의 에너지 협력, 중국인의 중앙아시아 이주, 신장 위구르 지역 문제, 중국의 문화외교 등이 그 내용입니다.
중국을 바라보는 데 있어서 중국과 미-일 관계를 중심으로 한 동북아 중심 시각이 일반적인 우리나라의 기존 관행에서 벗어나, 중국의 부상을 유라시아 대륙의 차원 및 전 지구적 차원으로 확대해서 조망한 첫 작업이라는 것이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가 가지는 의의일 것입니다.
우리나라 발전의 주요한 파트너이자 변수로 부상한 중국에 대한 이해를 한층 깊게 하면서, 국제관계에서 새로운 주요지역으로 떠오르는 중앙아시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본 저작을 국제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전문가들과 교양시민들께 권해드립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신범식(지은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학사와 석사과정을 마치고 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 및 아시아연구소 부소장을 맡고 있다. 국회,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 법무부, 합동참모본부, 북방경제협력위원회 등에서 정책 자문 활동을 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유라시아국제관계, 러시아 외교안보, 환경·에너지 국제정치, 메가아시아 및 비교지역연구 등이다. 주요 저술로 『21세기 유라시아의 도전과 국제관계』(2006),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2022), 『메가아시아의 형성과 동학』(2023) 등이 있다.
박상남(지은이)
한신대학교 글로벌인재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국제정치, 유라시아 지역연구, 한국 대외정책 등이다. 러시아 모스크바국립대학교 철학부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외교통상부 정책자문위원,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자문위원, 한국유라시아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중앙아시아 초원문명의 오늘』(2022), 『미중 전략경쟁시대 한국의 대외전략 51문답』(2022, 공저), 『정체성으로 본 푸틴의 러시아』(2021, 공저), 『현대 중앙아시아』(2010), 『두 개의 권력, 러시아의 미래』(2008, 공저), 『푸틴의 러시아』(2007, 공저) 등이 있다. 박상남 교수는 이 책의 ‘1장 세계질서의 변화와 미국·중국·러시아 관계: ‘신냉전’과 ‘선택적 협력 시대’’를 집필했다.
현승수(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졸업, 도쿄대학 박사(러시아 및 중앙아시아지역 전공). 외교안보연구원 책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국외국어대학 중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로 있다. “체첸 전쟁과 국제 이슬람 무자히딘 운동: 아랍인 야전사령관 카탑의 사례를 중심으로”(2007), “중앙아시아 해방당의 활동 양상과 담론의 유형 분석”(2007) 등의 연구논문과 『コ?カサスを知る60章』(2006, 공저), 『부활하는 러시아의 자원외교』(2008, 공역) 등의 저역서가 있다.
성동기(지은이)
저자 성동기는 부산에서 태어나서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를 졸업하였다. 우즈베키스탄 국립과학아카데미 역사연구소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우즈베키스탄에서 우즈베크어로 학위를 받은 최초의 한국인이다).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연구교수, 부산외국어대학교 중앙아시아어과 겸임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아시아연구소 초빙연구원, Pre-University in IUT(Inha University in Tashkent) 교장, IUT(Inha University in Tashkent) 대외협력실장 등으로 근무한 후 현재는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조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저서로는 『아미르 티무르: 닫힌 중앙아시아를 열고 세계를 소통시키다』, 『21세기 유라시아 도전과 국제관계』(공저), 『우즈베키스탄 불멸의 고려인 영웅 김병화』, 『억지부리는 남자: 호자 나스레딘』(편역), 『우즈베크어-한국어사전』(공저), 『중앙아시아학 입문』(공저) 등이 있으며, 연구논문으로는 ?우즈베키스탄 미르지요예프 정권의 외교정책 분석: 외교정책 변화와 추진의 배경 및 특징을 중심으로?, ?우즈베키스탄 미르지요예프 정권의 권력 강화 방식 분석: 권위주의 권력 공유(Power-Sharing) 이론을 중심으로?, ?우즈베크의 민족정체성 분석: 역사적 연결성과 민족 개념의 정의를 중심으로?, ?독립 이후 나타난 우즈베키스탄 교육제도와 교육환경 분석?, ?우즈베키스탄에 거주하는 타타르인의 민족정체성 분석과 전망?, ?우즈베키스탄 민족국가 건설의 허구성 분석: 정체성 정치(Identity Politics)를 중심으로?, ?재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민족정체성의 현실과 과제?, ?우즈베키스탄의 정권 안정화 정책 분석?, ?우즈베키스탄 씨족(clan)의 순환적 발전행태?, ?독립 후 우즈베키스탄에서 편찬된 새 역사책 분석? 등이 있다.
양승조(지은이)
역사학박사(러시아근대사)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 역임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조교수
박병인(지은이)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 저자
예브게니 홍(지은이)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 저자
윤익중(지은이)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 저자
김영식(지은이)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 저자
김태연(지은이)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 저자
조영관(지은이)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 저자
고가영(지은이)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 저자
정재원(지은이)
<뉴 래디컬 리뷰> 편집위원, 국민대 사회과학대학 러시아-유라시아학과 교수. 지은 책으로 <카프카스 역사와 지정학: 전쟁, 분쟁, 그리고 이념>(이하 공저),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 <현대 러시아의 해부>, <5·18 민주화 운동의 국제적 비교와 시민의식>, <러시아 제국과 소비에트: 이념, 종교, 혁명> 등이 있다.
최소영(지은이)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 저자

Table of Contents
Ⅰ부. 중앙아시아 지역정치와 중국: 역사적 유산과 개황 1장. 러시아, 중국 그리고 근대 중앙아시아: 역사적 회고 양승조 2장. 시진핑 정부의 대중앙아시아 안보?경제 병진전략 탐구 : 상하이협력기구(SCO)와 ‘신 실크로드’ 구상을 중심으로 박병인 3장. 상하이협력기구와 유라시아 국제관계: 야심찬 기대, 제한된 성과 박상남 4장. 중국의 부상과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대응 신범식 Ⅱ부. 중국의 부상에 대한 중앙아시아 각국의 대응 5장. 중국의 중앙아시아 전략과 중국-카자흐스탄의 경제협력 : 현황과 전망 예브게니 홍 6장. 우즈베키스탄의 대중국 정책과 우즈베키스탄-중국관계의 전망 성동기 7장. 키르기스스탄의 외교정책과 대 중국 관계발전: 새로운 도전과 기회 윤익중 8장. 중국과 타지키스탄 관계: 자원과 개발의 맞교환? 현승수 9장. 투르크메니스탄의 경제발전과 대 중국 에너지 프로젝트 김영식 III부. 중국 - 중앙아시아 관계의 주요 쟁점 10장. 카자흐스탄 엘리트와 대중의 대(對)중국 인식 김태연 11장. 중앙아시아와 중국의 에너지 협력의 특징과 유라시아 지역에 대한 영향 조영관 12장. 중국인의 카자흐스탄 이주의 양상과 특성 고가영 13장. 중앙아시아와 중국 신장, 그리고 위구르 문제 : 공영의 기회와 민족 문제의 대두 정재원 14장. 중국의 문화외교와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대응 최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