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91191 | |
005 | 20210903103733 | |
007 | ta | |
008 | 210902s2021 ggk 001c kor | |
020 | ▼a 9788908062207 ▼g 04800 | |
020 | 1 | ▼a 9788908060005 (Set)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82 | 0 4 | ▼a 335 ▼2 23 |
085 | ▼a 335 ▼2 DDCK | |
090 | ▼a 335 ▼b 2021 | |
100 | 1 | ▼a Engels, Friedrich, ▼d 1820-1895 ▼0 AUTH(211009)22424 |
245 | 1 0 | ▼a 공상에서 과학으로 / ▼d 프리드리히 엥겔스 지음 ; ▼e 박광순 옮김 |
246 | 1 9 | ▼a Die Entwicklung des Sozialismus von der Utopie zur Wissenschaft |
246 | 3 9 | ▼a Entwicklung des Sozialismus von der Utopie zur Wissenschaft |
250 | ▼a 3판 | |
260 | ▼a 파주 : ▼b 범우사, ▼c 2021 | |
300 | ▼a 198 p. ; ▼c 18 cm | |
490 | 1 0 | ▼a 범우문고 = ▼a Bumwoo library ; ▼v 220 - 사회과학 |
500 | ▼a 부록: 영어판 서문(사적 유물론에 대하여, 1892년)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Socialism |
700 | 1 | ▼a 박광순, ▼g 朴光淳, ▼d 1955-, ▼e 역 ▼0 AUTH(211009)31766 |
830 | 0 | ▼a 범우문고 ; ▼v 220 - 사회과학 |
830 | 0 | ▼a Bumwoo library ; ▼v 220 |
900 | 1 0 | ▼a 엥겔스, 프리드리히,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5 2021 | Accession No. 11185274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프리드리히 엥겔스(지은이)
프로이센의 바르멘에서 부유한 공장주의 아들로 태어났다. 김나지움 졸업을 1년 앞두고 중퇴한 후 아버지의 회계 사무소를 거쳐 3년 동안 브레멘의 수출회사에서 일한다. 이 시기에 자유주의나 혁명 관련 서적을 읽으며 헤겔의 변증법을 받아들였다. 1841년부터 1년간 베를린에서 군복무를 하는 동안 베를린 대학의 다양한 강의를 청강했으며, 소장 헤겔학파와 가깝게 지냈다. 1842년 아버지의 방적 공장이 있는 맨체스터로 가는 도중 쾰른에 들러 《라인 신문》에서 일하던 마르크스와 처음 만난다. 방적 공장에서 조수로 일하며 노동자 계급의 현실을 알게 되었고, 이는 후에 자본주의의 모순을 연구해 《1844년 영국 노동 계급의 상황》을 쓰는 계기가 되었다. 1844년 마르크스가 편집하던 《독불 연보》에 〈국민경제학 비판 개요〉와 〈영국의 상태〉 등의 논문을 기고하여 자유주의 경제 이론의 모순을 폭로했고 혁명에 대한 전망을 내놓았다. 이후 마르크스와 《독일 이데올로기》, 《공산당선언》 등을 함께 작업하면서 평생 동안 변함없는 동지가 된다. 1848년 혁명의 와중에 마르크스가 설립한 《신라인 신문》에 글을 썼고, 1849년에는 독일의 바덴과 팔츠에서 혁명 전투에 직접 참여했다. 혁명이 실패한 후 그는 맨체스터로 돌아와 군사와 전쟁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쓰기도 했다. 1883년 마르크스가 사망하자, 엥겔스는 마르크스가 남긴 저작들을 검토하고 새로 번역하는 등의 작업을 맡았다. 이 과정에서 마르크스가 미국 인류학자 모건의 《고대 사회》를 발췌해놓은 것을 보고, 마르크스의 비판적 주석을 참조하며 모건의 연구 결과를 사적 유물론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그 결과물이 《가족, 사적 소유, 국가의 기원》이다. 《자본론》 2, 3권 역시 엥겔스가 고인의 노트를 정리하여 출간한 것이다. 1895년, 런던에서 후두암으로 사망했다.
박광순(옮긴이)
충북 청주 출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학과 졸업. 범우사, 기린원 등에서 편집국장 및 편집주간 역임. 저술 및 전문 번역가로 활동함. 역서로 《헤로도토스 역사》 《역사학 입문》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갈리아 전기》 《수탈된 대지》 《조선 사회 경제사》 《새로운 세계사》 《역사의 연구》 《세계의 기적》 《서구의 몰락》 《나의 생애》(트로츠키) 《게르마니아》 《타키투스의 연대기》 《콜럼버스 항해록》 《사막의 반란》 《카이사르의 내란기》 《인생의 힌트》 《제갈공명 병법》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이 책을 읽는 분에게 7 마르크스의 프랑스어판 서문 16 엥겔스의 독일어 제1판 (1882년판) 서문 22 엥겔스의 독일어 제4판 (1891년판) 서문 27 제1장 공상적 사회주의 29 제2장 변증법적 유물론 57 제3장 자본주의의 발전 74 부록 영어판 서문 (사적 유물론에 대하여) (1892) 114 인명 색인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