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전달력이 좋은 유튜브 강의법과 2차 수익모델 기부 받는 유튜브 이야기

전달력이 좋은 유튜브 강의법과 2차 수익모델 기부 받는 유튜브 이야기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강사
Title Statement
전달력이 좋은 유튜브 강의법과 2차 수익모델 기부 받는 유튜브 이야기 / 박강사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비피기술거래,   2021  
Physical Medium
97 p. ; 26 cm
ISBN
979116182485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97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90712
005 20210831124126
007 ta
008 210830s2021 ulk b 000c kor
020 ▼a 9791161824857 ▼g 13300
035 ▼a (KERIS)BIB000015839667
040 ▼a 211032 ▼d 211032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1.3 ▼a 658.872 ▼2 23
085 ▼a 371.3 ▼2 DDCK
090 ▼a 371.3 ▼b 2021z7
100 0 ▼a 박강사
245 1 0 ▼a 전달력이 좋은 유튜브 강의법과 2차 수익모델 기부 받는 유튜브 이야기 / ▼d 박강사 지음
260 ▼a 서울 : ▼b 비피기술거래, ▼c 2021
300 ▼a 97 p. ; ▼c 26 cm
504 ▼a 참고문헌: p. 97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 2021z7 Accession No. 11185263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유튜브 강의를 통해 2차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기부 모델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이제는 유튜브가 그냥 동영상이 아니라
하나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 매체와 언어의 기능까지
다 통합하는 수단이 되어 버렸다

하지만 세상은 넓기에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떠들어대는 지금도
여전히 좋은 강의와 그 전달법에 대해서
목말라 하는 사람들이 많음을 느낀다
그런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이 책을 저술하였다

또한 유튜브 강의를 통해 2차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기부 모델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박강사(지은이)

서울대학교 졸업 전 메가스터디 강사 전 노량진 이그잼 과목 대표강사 강의계의 신 현재 다수의 기업 강의와 유튜브 강의 강연자로 활동 중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1

Part I. 기부 모델에 기반한 유튜브 3

I. 들어가기 4
1. 담백한 유튜브를 만들기 위해서 4
2. 내가 가진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오래가게 한다 4
3. 유튜브가 확립되면 좋은 점 5

II. 모금 모델 기부 모델 7
1. 의미 7
2. 성격 7
3. 모금 모델을 거명하는 이유 8
4. 모금 모델의 이론적 토대 8
5. 세부 세칙 10
6. 생각해 봄직한 생각 11
7. 확대 모델 11

III. 성직자 모델(=종교 모델) 14
1. 들어가기 14
2. 성직자 모델 14
IV. 기부 모델 주저될 때 드라이브를 걸게 하는 힘의 이론 17
1. 들어가기 17
2. 이론들의 제시 17

V. 유사 개념 비교 개념 20
1. 구걸 모델 20
2. 정부의 재난보조금 등 공적부조 모델 20
3. 부모자식간의 증여 모델 20
4. 그가 화면에서 뚫고 나오다니 21

VI. 유튜브로 자신의 미디어 지평 확장 23
1. 확장의 근원력 23
2. 제작자로서의 카멜레온 같은 모습을 지향 23
3. 지금까지 해결되지 않은 것들의 해결 24
4. 사람들의 고민을 덜어주는 역할의 의의 25
5. 이제는 지식이 가지는 의미 25

VII. 기존 지식과 책들의 홍수 속에 강의도 하고 책도 내는 법 29
1. 의미 29
2. 할 수 있는 주제 29
3. 기존 지식(특히 잘된 책)을 다르게 트랜스포메이션 하는 법 30
4. 기존 자료나 책을 읽으면서 ‘야, 이건 좋다’ 하고 느끼는 경우 30

VIII. 예시: 내 아들딸 의치대 보내기 모델 31
1. 의미 31
2. 설립 모토 31
3. 내용구성 31

IX. 단상 33


Part II. 삶의 지혜를 주는 채널 39

I. 채널의 의미와 활동범위 40
1. 지적인 즐거움 깨달음의 즐거움을 준다 40
2. 지식적 스트레스 제로 40

II. 삶의 지혜를 주기 위한 강의준비 41
1. 꺼리준비법 41
2. 연속메모법의 기본 설명 41
3. 공부의 단계를 실현하기에 연속 메모법은 좋다 42
4. 공부의 흔적을 남겨라 42
5. 남기지 않을 노트와 종이는 쓰지 말라 43
6. 다른 비유나 표현 44
7. 낙서 필기를 해나가면서 물아일체가 되는 것이다 44
8. 메모 하나를 해도 요건 효과적 사고를 가지고 메모하는 게 좋다 45
9. 모르는 게 나오는 게 싫어서 책읽기가 두렵다는 사람들에게 45
10. 본문은 소중한 영역, 사이드는 잡처리 영역 이라는 사고 45
11. 적을 때 좋은 메모가 있고 나중에 봐서 좋은 메모가 있다 46
12. 점령군 정복군의 비유: 메모를 남기는 것의 비유 46
13. 책에 나의 흔적을 남겨 놓는 작업이 중요하다 47
14. 할 수 있는 만큼 조금이라도 구체적으로 메모하라 47
15. 책을 제대로 더럽히자 47
16. 책의 본문에는 가급적 손대지 마라 48
17. 처음부터 다 아는 천재는 없다 48
18. 할 수 있는 만큼 조금이라도 구체적으로 메모하라 49
19. 별도 표시한 부분도 나중에 보면 허탈할 수 있다 49
20. 강의를 위한 준비 리딩과 일반 지식 리딩은 이렇게 다르다 49
21. 강의 준비를 하지 않고도 강의를 잘할 수 있는가 50

III. 모른다 개념 52
1. 기본의미 52
2. 강의 준비할 때 모르는 게 많이 나오면 즐겁다 52
3. 모른다 개념의 의의 52
4. 모른다의 각론적 방향성 54
5. 어려운 게 아니라 쉬운 것을 잘 풀어주는 것도 중요하다 54
6. 구체적 실행: 책 많이 사보기 55
7. 구체적 실행: 모른다를 잘 풀어내주는 강의 멘트와 추임새 55

IV. 가까운 외계 57
1. 가까운 외계의 개념 57
2. 시선을 끄는 제목도 가까운 외계의 원리에 입각 57
3. 가까운 외계가 가져오는 효과 58

V. 가까운 외계 - 이분법적 사고 만들어 주기 59
1. 의미 59
2. 이분법적 강의의 예시 60
3. 실례 61
4. 이분법적 사고 강의의 준비 62
5. 이분법 사고에 기반을 두고 강의시 최초 명제 제시 62

VI. 강의 지식은 비교가 중요 64
1. 비교가 중요하다는 기본의미 64
2. 책을 주고 객관식시험을 내는 방식도 비교가 핵심이다 64
3. 4개가 있는 것의 비교접근 방식 65

VII. 강의의 액팅 준비 순서: 퀴즈준비 67
1. 퀴즈를 준비해야 좋다 67
2. 퀴즈를 준비해야 좋다: 단답형적 명제로 준비해야 좋다 67
3. 퀴즈준비, OX로 만들어버리면 진지성이 확 올라간다 68

VIII. 글과 강의의 심리적 본질 비교 69
1. 심리와의 비교의 기본, 즉 차이점과 유사점 개괄 69
2. 글과 말의 본질 비교 69
3. 마음을 바꿀 준비가 된 사람들이 심리 상담을 온다 69
IX. 삶의 지혜를 주기 위한 유튜브의 말 표현과 전달력 측면 70
1. 머리나 지식이나 아카이브가 깔끔하게 강의용으로 재편 70
2. 이미지를 만들어 주는 게 좋은 강의, 좋은 책 70
3. ‘이것은 적으세요.’ 정도의 멘트는 좋다 71

X. 특수한 강의 기법: 백지 활용 73
1. 유튜브는 아니지만 73
2. 백지를 활용한 강의기법의 의미 73
3. 백지를 활용한 강의기법의 좋은 점 73

XI. DB식 사고 75
1. DB식 사고의 의미 75
2. DB식 사고의 요건 요소 80
3. DB식 사고로 생기고 잔존하는 DB의 형태와 내용 83
4. DB식 사고와 관련이 되는 것들의 의미 분석 84
5. 인생과 모든 환경을 다 DB식으로 구성 88
6. DB식 사고가 확립되면 과거의 어설픈 DB도 빛을 발한다 90
7. DB식 사고에(플러스) 몰입을 하게 하는 몇 가지 포인트 90
8. DB는 어떤 내용을 넣는가에 따라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91
9. DB화를 추구하며 강의기초컨텐츠를 보면 효율적으로 흡수된다 93

부록 9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