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90278 | |
005 | 20210824133443 | |
007 | ta | |
008 | 210824s2021 ulka b 001c kor | |
020 | ▼a 9791185521978 ▼g 94300 | |
020 | 1 | ▼a 9791185521060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02.23 ▼2 23 |
085 | ▼a 302.23 ▼2 DDCK | |
090 | ▼a 302.23 ▼b 2014z16 ▼c 20 | |
100 | 1 | ▼a 강상현, ▼g 姜尙炫, ▼d 1957- ▼0 AUTH(211009)8947 |
245 | 1 0 | ▼a 커뮤니케이션과 사회 변동 : ▼b 미디어 기술이 과연 세상을 바꾸는가 / ▼d 강상현 지음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Culture Look, ▼c 2021 | |
300 | ▼a 563 p. : ▼b 삽화 ; ▼c 23 cm | |
490 | 1 0 | ▼a 컬처룩 미디어 총서 ; ▼v 020 |
500 | ▼a 부록: 미디어 기술과 인간 커뮤니케이션 진화의 역사 | |
504 | ▼a 참고문헌(p. 539-552)과 색인수록 | |
830 | 0 | ▼a 컬처룩 미디어 총서 ; ▼v 020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14z16 20 | 등록번호 11185250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14z16 20 | 등록번호 11187405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화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다양한 관점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있는 [커뮤니케이션과 사회 변동]의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가 등장한 이후 미디어가 세상을 바꾼다고 주장해 온 전통적인 ‘정보사회론’을 중심으로 그 전후의 관점은 물론, 그에 비판적인 여러 관점을 함께 다룬다.
1980년대 초에 풍미했던 주류 정보사회론의 계량적 근거가 되었던 1960년대부터의 정보경제론적 관점을 비롯해, 주류 정보사회론의 이론적 토대가 되었던 1970년대의 후기산업사회론을 알아본다. 1980년대 주류 정보사회론자들의 여러 주장을 살펴본 이후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새로운 미디어의 폭넓은 확산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1990년대 이후의 네트워크사회론, 사이버사회론, 유비쿼터스사회론(초연결사회론), 정보양식론, 지능정보사회론 등을 다룬다.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동에 대한 인식의 확장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이후 현재까지 새로운 미디어 기술은 그 이전보다 확실이 더 빨리 전파되고 확산되고 있다.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사람들 사이의 소통을 위한 기술은 끊임없이 개발되고 또 이용된다. 그에 따라 사람들 사이의 관계도 다양한 형태로 변모한다. 이렇듯 미디어가 세상을 바꾸고 있다. 하지만 그 ‘미디어’는 사람으로부터 독립된 기계나 사물이라기보다는 사람이 만들어 내고 운용하는 매개물이라고 볼 수 있다. 모든 미디어에는 사람들의 의지와 욕망과 기획과 전략이 스며 있다. 그러한 의지와 욕망과 기획과 전략이 드러나는 때도 많지만, 잘 드러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미디어가 정치, 경제, 사회나 문화에 이용될 때, 보편적 이익이나 공익을 지향하는 선의에서 비롯되는 경우도 많지만, 많은 경우 특정 집단의 권력 강화나 경제적 이익 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경우도 적지 않다. 겉보기에는 미디어 기술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특정한 사람들이 미디어를 이용하여 세상을 (자기들 의지대로) 바꾸려고 하고 또 실제 바꾸기도 한다.
이러한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화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다양한 관점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있는 [커뮤니케이션과 사회 변동]의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가 등장한 이후 미디어가 세상을 바꾼다고 주장해 온 전통적인 ‘정보사회론’을 중심으로 그 전후의 관점은 물론, 그에 비판적인 여러 관점을 함께 다룬다.
1980년대 초에 풍미했던 주류 정보사회론의 계량적 근거가 되었던 1960년대부터의 정보경제론적 관점을 비롯해, 주류 정보사회론의 이론적 토대가 되었던 1970년대의 후기산업사회론을 알아본다. 1980년대 주류 정보사회론자들의 여러 주장을 살펴본 이후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새로운 미디어의 폭넓은 확산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1990년대 이후의 네트워크사회론, 사이버사회론, 유비쿼터스사회론(초연결사회론), 정보양식론, 지능정보사회론 등을 다룬다. 이어서 정보사회론에 비판적인 자본주의산업사회론을 비롯해, 정보경제론에 대한 대안적 관점으로서의 산업경제론적 관점,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 기술 변화가 정보 양식의 변화가 아닌 지배 양식의 변화라고 보는 여러 관점도 함께 살펴본다. 간단히 말해서, 정보경제론, 정보사회론, 정보양식론 등은 디지털 미디어가 세상을 바꾼다고 보는 입장이라면, 산업경제론, 자본주의산업사회론, 지배양식론, 플랫폼자본주의론 등은 반대로 세상이 미디어를 바꾼다는 입장의 관점이다. 특히 초판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던 지능정보사회론과 플랫폼자본주의론이 추가되어, 디지털 미디어와 사회 구조를 바라보는 현재적 관점을 더했다.
그동안 우리 사회에서 진행되어 온 ‘정보화’와 ‘디지털화’에 따른 미디어와 사회의 변화에 대한 제한적인 인식의 범위를 확대하고, 인식의 불균형을 바로잡고자 하는 저자의 치밀한 작업은 개정판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아울러 초판 출간 이후 변화된 사항들은 세세하게 업데이트하였다. 이를 통해 미디어 기술을 통한 사회 변화를 보는 관점들의 설명력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한국 사회의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화의 관계에 관한 가설적 전망도 보완되었다. 디지털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화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보여 주는 이 책은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가 등장할수록, 미디어를 통한 사회 변화가 가속화될수록 더욱 주요한 참조점을 제공할 것이다.
● 국내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보급과 이용 및 사회적 영향에 대한 2015년 이후 데이터 최신화
● 미디어 기술과 사회 구조의 변화에 대한 새로운 관점(‘지능정보사회론,’ ‘플랫폼자본주의론’ 등) 추가
● 한국 사회의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화의 관계에 관한 가설적 전망 보완 등
★ 한국방송학회 학술상 저술 부문 수상
★ 세종도서 학술 부문 선정
정보제공 :

목차
1장 서론: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화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확장 2장 미디어 기술과 인간 커뮤니케이션 진화의 역사: 미디어 기술 발전의 사회사적 이해 1. 미디어 기술과 커뮤니케이션 혁명 2. 구두 커뮤니케이션 시대: 인류의 가장 오래된 미디어 ‘말'' 3. 문자 커뮤니케이션 시대: 메시지의 저장과 의미의 보존 4. 인쇄 커뮤니케이션 시대: 메시지의 다량 복제와 다자간 의미 공유 5. 텔레커뮤니케이션 시대: 메시지 전달의 신속성과 원격성 6.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시대: 기존 미디어 기능의 고도화와 디지털 융합 3장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동에 관한 기존 논의 1. 사회 변동에 관한 기존 논의 2. 기술과 사회의 관계: 기술결정론 vs. 사회구성론 3. 매스 미디어와 사회 변동의 관계 4. 새로운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동의 관계 4장 정보경제론 1. 정보생산론 2. 정보소비론 3. 기술경제패러다임론 5장 정보사회론 1 1. 후기산업사회론 2. 주류 정보사회론 3. 통제혁명론 6장 정보사회론 2 1. 네트워크사회론 2. 사이버사회론 3. 유비쿼터스사회론(모바일사회론/초연결사회론) 4. 지능정보사회론 7장 정보양식론 1. 마크 포스터의 정보양식론 2. 포스트모던 이론가들의 지식ㆍ정보관 3. 정보양식론적 관점의 특징과 한계 8장 자본주의산업사회론 1. ‘정보 사회’ 이행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 2. 자본주의산업사회론의 등장 3. 도구주의적 관점과 구조주의적 관점 4. 초국적 정보자본주의론 5. 플랫폼자본주의론 9장 산업경제론 1. 산업경제론의 기본 입장 2. 산업주의적 관점 3. 조절 학파 이론 4. 산업경제론적 관점에서의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동 10장 지배양식론 1 1. 지배양식론의 기본 입장: 미디어 기술과 지배력/지배 관계 2. 감시사회론 11장 지배양식론 2 1. 로버트 포트너의 세포사회론 2. 디지털정보격차론 3. 사회적 고립과 미디어 기술: 고립인가, 결속인가? 4. 공론권 구조변동론의 부활? 12장 한국 사회의 디지털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동 1. 한국 사회의 미디어 디지털화 추이와 디지털 미디어 현황 2. 미디어 디지털화와 디지털 미디어의 사회적 영향 3. 한국 사회 미디어 디지털화와 사회 변동의 이론적 함의 4. 변화하는 것과 변화하지 않는 것에 대한 분별 13장 결론: 소통 기술의 과잉과 소통 부재의 한국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