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관용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Loan 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임지룡, 林枝龍, 1954-, 저 김령환, 金領煥, 1981-, 저 김억조, 1971-, 저 김정아, 저 劉芳, 저 송현주, 저 王楠楠, 저 임태성, 林泰星, 1980-, 저 崔风慧, 저
Title Statement
관용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 임지룡 [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2021  
Physical Medium
vii, 275 p. : 삽화 ; 23 cm
Series Statement
한국문화사 인지언어학 시리즈
ISBN
9788968171949
General Note
공저자: 김령환, 김억조, 김정아, 리우팡, 송현주, 왕난난, 임태성, 췌이펑훼이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89952
005 20210823111210
007 ta
008 210820s2021 ulka b 001c kor
020 ▼a 9788968171949 ▼g 93700
035 ▼a (KERIS)BIB000015799532
040 ▼a 245008 ▼c 211009 ▼d 211009
082 0 4 ▼a 410.1/835 ▼2 23
085 ▼a 410.1835 ▼2 DDCK
090 ▼a 410.1835 ▼b 2021
245 0 0 ▼a 관용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 ▼d 임지룡 [외]
246 1 1 ▼a Exploring idiomatic expressions through cognitive linguistics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1
300 ▼a vii, 275 p. : ▼b 삽화 ; ▼c 23 cm
490 1 0 ▼a 한국문화사 인지언어학 시리즈
500 ▼a 공저자: 김령환, 김억조, 김정아, 리우팡, 송현주, 왕난난, 임태성, 췌이펑훼이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임지룡, ▼g 林枝龍, ▼d 1954-, ▼e▼0 AUTH(211009)80895
700 1 ▼a 김령환, ▼g 金領煥, ▼d 1981-, ▼e▼0 AUTH(211009)131996
700 1 ▼a 김억조, ▼d 1971-, ▼e▼0 AUTH(211009)59598
700 1 ▼a 김정아, ▼e
700 1 ▼a 劉芳, ▼e
700 1 ▼a 송현주, ▼e
700 1 ▼a 王楠楠, ▼e
700 1 ▼a 임태성, ▼g 林泰星, ▼d 1980-, ▼e▼0 AUTH(211009)41122
700 1 ▼a 崔风慧, ▼e
830 0 ▼a 한국문화사 인지언어학 시리즈
900 1 0 ▼a 리우팡, ▼e
900 1 0 ▼a 왕난난, ▼e
900 1 0 ▼a 췌이펑훼이, ▼e
900 1 0 ▼a 劉芳,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0.1835 2021 Accession No. 11185240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관용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은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언어에 나타난 관용표현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인지언어학에서 관용표현에 대한 탐구는 개념적 은유와 환유, 범주화, 다의어, 동기화, 구문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성화되지 못한 영역이다. 그렇지만 이 범주의 탐구에 대한 공감대가 점차 넓어지고 탐구의 방향과 기제가 비교적 잘 설정되고 개발됨으로써 “옛길에 새 걸음으로 발맞추리라!”라는 기치 아래 괄목할 만한 성과가 기대된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우리는 다음과 같은 9가지 주제를 탐구하였다. 먼저 ‘관용표현과 인지언어학’에 대해 개관하였다. 언어학 및 대조언어학적 탐색으로 ‘이동동사 관용표현’,‘시간 관용표현’,‘중국어 동빈구조 관용표현’,‘중국어 남녀 은유 속담’,‘한ㆍ중 숫자 관용표현’을 살펴보았다. 국어교육 및 한국어교육적 탐색으로 ‘관용표현의 국어교육 방안’,‘‘눈’ 관용표현의 한국어 교육 방안’,‘동물명 관용표현의 한국어 교육 방안’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이 책을 준비하면서 인지언어학이라는 거인의 어깨 위에서 관용표현에 대한 탐구를 수행할 수 있음에 큰 보람을 느꼈으며 이에 감사드린다. 이 책의 정신과 방법론이 우리 학계에 작은 보탬이라도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머리말 중에서

머리말 (저자서평)

󰡔관용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은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언어에 나타난 관용표현을 논의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 책은 국어학, 중국어학, (한)국어교육, 대조언어학 영역에서 관용표현을 바라본 것으로, 󰡔문법교육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비유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어휘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의미관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동기화의 인지언어학적 탐색󰡕에 이어서 출간하는 ‘경북대학교 인지언어학 및 국어교육 연구실’의 여섯 번째 책이다.
1980년대에 출범한 인지언어학은 ‘언어’를 몸과 마음을 가진 ‘사람’과 ‘사회 문화적 배경’과의 상관성 속에서 설명하고 해석하는 관점이다. 인지언어학의 시선으로 우리는 관용표현을 언어 자체의 문제에서 사회 문화적인 배경을 기반으로 언어를 부려 쓰는 사람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개념화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는 전통적 관점에서 놓쳤거나 잘못 해석한 사항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게 해 주었으며, 말뭉치언어학 및 심리언어학과 제휴하여 탐구의 양적, 질적 성과를 도출하게 되었다.
인지언어학에서 관용표현에 대한 탐구는 개념적 은유와 환유, 범주화, 다의어, 동기화, 구문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성화되지 못한 영역이다. 그렇지만, “옛길에 새 걸음으로 발맞추리라!”라는 기치 아래 관용표현 탐구에 대한 공감대가 점차 넓어지고 탐구의 방향과 기제가 비교적 잘 설정되고 개발됨으로써 괄목할 만한 성과가 기대된다.
이러한 바람에 힘입어 우리는 지난 한 해 동안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관용표현’에 대해 탐색하였고, 그 결실을 이 책에 담았다. 이 책은 모두 9개 장으로 구성된다. 관용표현과 인지언어학(임지룡), 이동동사 관용표현(김령환), 시간 관용표현(임태성), 중국어 동빈구조 관용표현(왕난난), 중국어 남녀 은유 속담(리우팡), 한ㆍ중 숫자 관용표현(췌이펑훼이), 관용표현의 국어교육 방안(송현주), ‘눈’ 관용표현의 한국어 교육 방안(김억조), 동물명 관용표현의 한국어 교육 방안(김정아)을 탐구한 것이다.
이 책을 출간하기까지 많은 분들의 도움을 받았다. 지난 12년간 23차에 걸친 ‘인지언어학 및 국어교육 연구실’의 논문 발표회에서 많은 가르침을 주신 권익수 교수님, 김동환 교수님, 김진해 교수님, 나익주 교수님, 박정운 교수님, 요시모토 하지메 교수님, 윤병천 교수님, 윤희수 교수님, 이성하 교수님, 고 이정화 교수님, 임성출 교수님, 최경봉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또한, 어려운 시기에 흔쾌히 출판을 결심해 주신 한국문화사와 성근 원고를 좋은 책으로 만들어 주신 김세화님의 정성과 노고에 깊이 감사드린다.
우리는 이 책을 준비하면서 인지언어학이라는 거인의 어깨 위에서 언어학, (한)국어교육학, 대조언어학적 탐구를 수행할 수 있음에 큰 보람을 느꼈으며 이에 감사드린다. 이 책의 정신과 방법론이 우리 학계에 작은 보탬이라도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2021년 1월 30일
임 지 룡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임지룡(지은이)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명예교수, 맨체스터대학 언어학과 객원교수 역임, 담화인지언어학회·한국어 의미학회·한국어문학회·문학과 언어학회·국어교육학회·우리말 교육현장학회 회장 역임, (현)한글학회 부회장 저서 『국어 대립어의 의미 상관체계』(1989), 『국어 의미론』(1992), 『인지의미론』(1997/2017), 『국어지식탐구』(공저, 1999), 『학교문법과 문법교육』(공저, 2005), 『말하는 몸』(2006),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09), 『문법교육의 인지언어학적 탐색』(공저, 2014), 『한국어 의미 특성의 인지언어학적 연구』(2017), 『한국어 의미론』(2018), 『한국어 의미 탐구의 현황과 과제』(공저, 2019), 『인지언어학 탐구의 현황과 과제』(공저, 2019), 『관용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공저, 2021) 외 다수 (공)역서 『어휘의미론』(1989), 『심리언어학』(1993), 『언어의 의미』(2002), 『언어학개론』(2003), 『인지언어학 기초』(2008), 『의미 관계와 어휘사전』(2008), 『인지문법론』(2009), 『의미론의 이해』(2010), 『인지언어학 개론』(2010), 『언어·마음·문화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1), 『어휘의미론의 연구 방법』(2013), 『의미론의 길잡이』(2013), 『비유 언어』(2015), 『의미론』(2017), 『인지언어학 핸드북』(2018), 『은유 백과사전』(2020) 외 다수

김억조(지은이)

동국대학교(경주) 인문콘텐츠학부 교수

리우팡(劉芳)(지은이)

2000.9~2004.7 중국 옌타이대학교(煙臺大學) 한국어학과 학사 2005.9~2008.7 중국해양대학교(中國海洋大學) 대학원 한국어학과 석사 2013.3~2016.2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박사 2008.7~현재 중국 웨이팡대학교(潍坊學院) 외국어대학 한국어학과 교수

김령환(지은이)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 강사

송현주(지은이)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경북대학교 언어정보연구센터 연구원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한중일 언어를 통해 본 삼국의 사회와 문화』(2018), 『한국어로 보는 한국문화』(2019) 공저

임태성(지은이)

영신고등학교 졸업 후, 계명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현재는 경북대학교한국어문화원 연구원과 경북대학교, 계명대학교 외래교수직을 맡고 있다. 공저로는 「의미관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7), 「어휘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6), 「비유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5), 「문법교육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4) 등이 있으며 공역으로는 「인지언어학과 제2언어 학습」(2015)이 있다.

왕난난(지은이)

중국 안산사범대학교(鞍山師范學院) 중어중문전공 교수

췌이펑훼이(지은이)

중국 허난성(河南省) 출생 중국 정주(?州)대학교 대외한어(?外??)과 졸업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졸업 (문학석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졸업 (문학박사) 대구고등학교 중국어 교사 (2013) 대구지역 공립 중등학교 교사 임용시험 심사위원 (2016) 현) 대구광역시교육연수원 글로벌교육부 중국어 교사 (2014~) 현) 대구외국어영재교육원 중국어 프로젝트 담당교사 (2016~) 논문 「한·중 완곡어 구성 방식의 대조 연구」 (2009) 「?공간 은유의 구조에 대한 한ㆍ중 비교 연구: 어휘소 ‘마음(心)’을 중심으로」 (2012) 「색채 은유에 대한 한·중 비교 연구: ‘마음(心)’을 중심으로」 (2015) 공저 『비유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2015)

김정아(지은이)

말라야국립대학교 아시아·유럽언어학과 객원교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장 관용표현과 인지언어학 임지룡
제2장 이동동사 관용표현 김령환
제3장 시간 관용표현 임태성
제4장 중국어 동빈구조 관용표현 왕난난
제5장 중국어 남녀 은유 속담 리우팡
제6장 한ㆍ중 숫자 관용표현 췌이펑훼이
제7장 관용표현의 국어교육 방안 송현주
제8장 ‘눈’ 관용표현의 한국어 교육 방안 김억조
제9장 동물명 관용표현의 한국어 교육 방안 김정아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