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학교상담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학교상담 (Loan 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Hess, Robyn Magnuson, Sandy, 저 Beeler, Linda, 저 오인수, 吳仁秀, 1971-, 역
Title Statement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학교상담 / Robyn S. Hess, Sandy Magnuson, Linda Beeler 지음 ; 오인수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16  
Physical Medium
xviii, 372 p. : 삽화, 도표 ; 25 cm
Varied Title
Counseli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chools
ISBN
9788968667213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47]-370)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Educational counseling Counseling in elementary education Counseling in secondary education Action research in education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89569
005 20210818135232
007 ta
008 210817s2016 ulkad b 001c kor
020 ▼a 9788968667213 ▼g 93180
035 ▼a (KERIS)BIB000014060666
040 ▼a 248012 ▼c 24801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371.4/22 ▼2 23
085 ▼a 371.422 ▼2 DDCK
090 ▼a 371.422 ▼b 2016
100 1 ▼a Hess, Robyn
245 1 0 ▼a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학교상담 / ▼d Robyn S. Hess, ▼e Sandy Magnuson, ▼e Linda Beeler 지음 ; ▼e 오인수 옮김
246 1 9 ▼a Counseli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chools
260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6
300 ▼a xviii, 372 p. : ▼b 삽화, 도표 ; ▼c 25 cm
504 ▼a 참고문헌(p. [347]-370)과 색인수록
650 0 ▼a Educational counseling
650 0 ▼a Counseling in elementary education
650 0 ▼a Counseling in secondary education
650 0 ▼a Action research in education
700 1 ▼a Magnuson, Sandy, ▼e
700 1 ▼a Beeler, Linda, ▼e
700 1 ▼a 오인수, ▼g 吳仁秀, ▼d 1971-, ▼e▼0 AUTH(211009)98901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422 2016 Accession No. 11185228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학교 상담자와 학교 심리사가 학교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상담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지식과 실제적 상담기술을 소개한다. 상담적 관점과 심리적 관점을 동시에 포함시킴으로써 학생을 돕는 데 보다 포괄적인 안목을 키울 수 있도록 도우며, 학교에서 학생들을 돕는 여러 전문가들의 협력을 강조한다.

이 책은 학교 상담자와 학교 심리사가 학교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상담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지식과 실제적 상담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상담적 관점과 심리적 관점을 동시에 포함시킴으로써 학생을 돕는 데 보다 포괄적인 안목을 키울 수 있도록 도우며, 학교에서 학생들을 돕는 여러 전문가들의 협력을 강조한다. 이 책은 학교 상담자를 양성하는 과정에서 매우 유용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Robyn S. Hess(지은이)

노던콜로라도대학교 학교심리학과의 학과장이자 교수이다. 1987년에 상담심리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1993년에 학교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Hess 박사는 상담자, 학교 심리학자, 학술위원으로서의 자신의 학구적인 경험을 실제적인 접근 방법을 제공하는 일과 융합시켜 학교 내에서의 상담과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일에 주력하였다. 문화적으로 반응적인 평가와 중재 전략, 아동 및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대처 방식, 고위험군 청소년의 학업 완수 영역에서 국내외적으로 책과 논문을 출간하였다. 지난 6년에 걸친 그녀의 교수과목은 상담 실제의 개론과 아동 정신건강 등을 포함하였다. Hess 박사는 콜로라도 주의 공인 심리학자이자 학교 심리학자이다. 또 미국 전문심리학회에서 수여하고 학교심리학 영역에서 인정하는 자격증을 가지고 있다.

Sandy Magnuson(지은이)

사우스웨스트 미주리주립대학교에서 1983년 초등학교 상담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앨라배마대학교에서 상담자 교육 전공으로 박사학를 받았다. 앨라배마, 텍사스, 콜로라도에 있는 상담자 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수를 하였고, 이후 콜로라도 주 그릴리에 있는 대학교의 초등학교 상담이라는 멋진 세계로 돌아와, 2010년에 은퇴하였다. 상담자 교육자이자 학교 상담자로서의 경력을 거치면서 학교상담 협회와 교육, 슈퍼비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또 전문적 삶을 거치는 상담자들의 발전과 상담자들 슈퍼비전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Magnuson 박사는 전문 학술지에 60편 이상의 논문을 실었다. 콜로라도 주의 공인 전문 상담사이자 공인 학교 상담자이며 미국 부부 및 가족치료학회의 인정된 슈퍼바이저이자 임상 회원이다.

Linda Beeler(지은이)

카펠라대학교 상담자교육학과 학교상담 전공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1년 노던콜로라도대학교에서 상담자 교육과 슈퍼비전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공립학교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상담이 필요한 위기 청소년을 상담하는 일에 전념해 왔고 학교에서의 위기중재상담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 Beeler 박사는 재직 중에 학교 상담자와 훈련 중인 학교 상담자에 대한 슈퍼비전에 몰두하고 있다. 그녀는 공인 임상 슈퍼바이저 자격증을 가지고 있다.

오인수(옮긴이)

2016년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를 역임하였다(2007~2009). 미국 웨스트체스터대학교에서 학교상담(School Counseling)을 공부한 후 서울 아현초등학교의 학교상담실(따뜻한 이야기방)에서 5년간 상담실을 운영하였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에서 상담자교육(Counselor Education)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펜실베이니아 주 센터 카운티의 청소년상담센터인 Northwestern Human Services에서 전문 상담자로 2년간 아동 및 청소년을 상담하였다. 2007년 미국 상담자교육 및 수퍼비전 협회(Association for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에서 상담자교육 분야의 차세대지도자(Emerging Leader in Counselor Education)로 선정되었고, 2010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강의우수교원, 2011년 이화여자대학교 강의우수교원으로 선정되었다. 학교상담과 관련된 저서로는 효과적인 학급경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2002, 공저), 상담으로 풀어가는 교실이야기(2005, 공저), 교실 밖의 아이들(2008, 공저), 학교폭력과 괴롭힘 예방(2015, 공저), 사이버불링의 이해와 대책(2015, 공저)이 있으며, 번역서로는 아동·청소년을 위한 예방적 개입(2013), 괴롭힘 예방(2013, 공역)과 다문화상담(2015)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01 학교상담의 특수성
02 학교, 가정, 지역사회 체제 내에서의 상담
03 아동과 청소년의 발달적 세계관 이해
04 이론 통합과 사례 개념화
05 학교상담에 대한 Adler학파의 접근
06 학교상담에 대한 인지-행동적 접근
07 학교에서의 해결중심 단기치료
08 학교상담에 대한 선택이론과 현실치료접근
09 학교상담에서의 놀이 및 미술 기반 접근
10 학교에서의 집단상담
11 학교에서의 위기 대응과 개입
12 학교 환경에서 법적 및 윤리적 쟁점
13 학교상담 서비스의 책무성
14 자문과 협력을 통한 동맹 형성하기
15 돌봄의 연속성 형성하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강진령 (2023)
Cohen, David K.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