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89369 | |
005 | 20230106091036 | |
007 | ta | |
008 | 210812s2021 ggk 000c kor | |
020 | ▼a 9788967359249 ▼g 03810 | |
035 | ▼a (KERIS)BIB000015891765 | |
040 | ▼a 211048 ▼c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895.785008 ▼2 23 |
085 | ▼a 897.87008 ▼2 DDCK | |
090 | ▼a 897.87008 ▼b 2021z6 | |
245 | 0 0 | ▼a 나의 복숭아 : ▼b 꺼내놓는 비밀들 / ▼d 김신회 [외] |
260 | ▼a 파주 : ▼b 글항아리, ▼c 2021 | |
300 | ▼a 199 p. ; ▼c 19 cm | |
500 | ▼a 공저자: 남궁인, 임진아, 이두루, 최지은, 서한나, 이소영, 김사월, 금정연 | |
700 | 1 | ▼a 김신회, ▼d 1978-, ▼e 저 ▼0 AUTH(211009)34996 |
700 | 1 | ▼a 남궁인, ▼d 1983-, ▼e 저 ▼0 AUTH(211009)27876 |
700 | 1 | ▼a 임진아, ▼d 1986-, ▼e 저 ▼0 AUTH(211009)136144 |
700 | 1 | ▼a 이두루, ▼e 저 |
700 | 1 | ▼a 최지은, ▼e 저 |
700 | 1 | ▼a 서한나, ▼d 1992-, ▼e 저 |
700 | 1 | ▼a 이소영, ▼e 저 |
700 | 1 | ▼a 김사월, ▼e 저 ▼0 AUTH(211009)148918 |
700 | 1 | ▼a 금정연, ▼e 저 ▼0 AUTH(211009)86528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87008 2021z6 | Accession No. 11185213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87008 2021z6 | Accession No. 1118522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97.87008 2021z6 | Accession No. 1513578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87008 2021z6 | Accession No. 11185213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87008 2021z6 | Accession No. 1118522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97.87008 2021z6 | Accession No. 1513578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사람들은 어떤 비밀을 품고 살아갈까? 이 책은 ‘멋있는 사람들은 모두 운전을 잘할까’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멋있어 보이는 사람은 왠지 운전도 잘하고 어려움 없이 차를 몰고 다닐 것 같지만, 실제로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어떤 면에서 뛰어나다고 해서 모두가 운전을 잘하리란 법은 없으니까.
그러다가 이 기획은 운전이라는 제한된 주제에서 나아가 누구에게나 각자 ‘아킬레스건’이 있을 거라는 생각으로 발전했다. 이 치명적인 약점은 남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은, 그래서 아마 평소에 웬만하면 드러내지 않았을 모습일 테지만 사실 이러한 ‘나’야말로 가장 나에 가까운 모습이고 어쩌면 바로 그 점이 내 안에서 나를 지탱해온 것이 아닐까.
나의 부족한 면, 나의 단점, 나의 비밀. 그렇지만 알고 보면 복덩이. 알맞은 빛깔을 내며 여름을 상징하는 탐스러운 과일인 복숭아는 한편으로 쉽게 무르는 성질이 있다는 점에서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와 정확하게 맞아떨어진다. 제목이 『나의 복숭아』가 된 이유다.
취약점이자 복덩이, 각자의 ‘복숭아’에 대한 이야기
“누구에게나 숨기고 싶은 부끄러운 면이 있지 않을까.
어디에도 말한 적 없는 나를 기꺼이 꺼내본다.”
슬며시 꺼내놓는 9인 9색의 비밀들
“기왕 이렇게 된 거 부끄러운 이야기를 하자면……”
복숭아의 무른 점, 나의 취약점
나는 ‘그 일’을 못한다. 정말 대단히 못한다. 아예 할 수 없는 수준으로 못한다.
그 일은 내게 세상에 노력으로 되지 않는 일이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_남궁인 (응급의학과 전문의, 『만약은 없다』 저자)
나는 식물세밀화가에 대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 이들을 만날 때마다
그들의 기대를 충족시켜줘야 할지 와장창 깨버려야 할지 고민이다.
_이소영 (식물세밀화가, 『식물 산책』 저자)
나의 복숭아는 날씨와 야구와 밤과 자신감과 책이지만,
동시에 날씨와 야구와 밤과 자신감과 책에 대한 나의 기억이라고.
그것은 내가 가진 얼마 안 되는 빛나는 것이지만 그 때문에 종종 공을 놓치기도 한다고.
_금정연 (서평가, 『아무튼, 택시』 저자)
사람들은 어떤 비밀을 품고 살아갈까? 이 책은 ‘멋있는 사람들은 모두 운전을 잘할까’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멋있어 보이는 사람은 왠지 운전도 잘하고 어려움 없이 차를 몰고 다닐 것 같지만, 실제로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어떤 면에서 뛰어나다고 해서 모두가 운전을 잘하리란 법은 없으니까. 그러다가 이 기획은 운전이라는 제한된 주제에서 나아가 누구에게나 각자 ‘아킬레스건’이 있을 거라는 생각으로 발전했다. 이 치명적인 약점은 남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은, 그래서 아마 평소에 웬만하면 드러내지 않았을 모습일 테지만 사실 이러한 ‘나’야말로 가장 나에 가까운 모습이고 어쩌면 바로 그 점이 내 안에서 나를 지탱해온 것이 아닐까. 나의 부족한 면, 나의 단점, 나의 비밀. 그렇지만 알고 보면 복덩이. 알맞은 빛깔을 내며 여름을 상징하는 탐스러운 과일인 복숭아는 한편으로 쉽게 무르는 성질이 있다는 점에서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와 정확하게 맞아떨어진다. 제목이 『나의 복숭아』가 된 이유다.
멀리서 바라볼 때 단점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을 것 같은 사람에게도 분명 하나쯤 숨기고 싶은 이야기라거나 못하는 일이라거나 치명적인 단점, 남에게 털어놓고 싶지 않은 비밀이 있을 것이다. 그렇게 각자의 분야에서 꾸준히, 활발하게, 최선을 다하는 이들 9명을 떠올렸다. 성실한 에세이스트 김신회, 대체로 뭐든지 잘하는 의사 남궁인, 읽고 쓰고 그리는 삽화가이자 에세이스트 임진아, 출판사 봄알람을 운영하며 책 만드는 이두루, 여성과 대중문화에 귀 기울여 써야 할 글을 쓰는 작가 최지은, 오늘날 가장 기대되는 젊은 작가 서한나, 세밀하지 않은 식물세밀화가 이소영, 시적인 노랫말을 쓰는 싱어송라이터 김사월, 서평을 쓰지 않는 서평가 금정연. 이들에게는 어떠한 공통점도 없어 보인다. 마음속에 복숭아를 하나씩 품고 산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 책을 통해 어디에서도 꺼내지 않았던 비밀을 조심스레 꺼내놓기로 한다. 그들의 이야기가 궁금해지는 이유는 결국 내 이야기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탄생한 아홉 빛깔의 복숭아는 각자의 색을 뿜어낸다.
너무 솔직한 모습에 배꼽을 잡게 하는 이들이 있다.
응급의학과 전문의이자 작가 남궁인은 ‘뭐든 대체로 잘하는 사람’이다. 그런 그를 무력하게 만드는 결정적인 약점이 있으니, 바로 노래다. 재미있는 건 꽤 오랜 시간 그가 노래를 포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글은 음치인 자기 자신과의 사투이자 그의 노래를 참아주고 때로는 용기를 잃지 않게 격려해주었던 사람들에게 바치는 세레나데다.
내 인생에 앞으로 몇 번의 노래방이 남아 있을까. 환갑을 넘긴 이후에는 그다지 의미가 없을 것 같으니, 대략 열 번쯤 남은 것 같다. 그래서 나는 종종 열 번의 노래방을 견디면 이번 생에서 더 이상의 굴욕은 없을 것 같은 기분이 든다. _남궁인 「도-레-미-미-미」
SNS에 #괴과자를 검색하면 나오는 30여 개(매일 늘어나고 있다)의 게시물에 주목하라. 빼빼로 깔라만시 상큼요거트맛, 포테토칩 육개장사발면맛 등 요상한 과자의 사진이 나올 것이다. 범인은 바로 『괜찮지 않습니다』 『엄마는 되지 않기로 했습니다』 등을 쓴 최지은 작가다. 반전은 그가 실제 장바구니에 담는 과자는 자갈치라는 것. 남다른 과자 사랑이 어린 시절의 결핍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한다면 믿을 수 있을까?
마트 매대 사이를 어슬렁거리다 갑자기 사진을 찍어대는 중년 여자가 남들 눈에 어떻게 보일지는 잘 모르겠다. (…) 성인 여성이 과자를 잔뜩 사는 일은 왜 부끄러울까? 아니, 어쩌면 나만 그런가? 과자는 몸에 나쁜 것이니 먹으면 안 된다는 얘기를 끊임없이 들으며 자랐기 때문인지 나는 과자를 살 때마다 투명인간이 되고 싶었다. _최지은 「과자 이야기」
식물세밀화가 이소영은 사람들이 식물세밀화가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나이 지긋한 분이 돋보기안경을 쓰고 산과 들이 보이는 시골 마을 주택 작업실에서 여유롭게 그림을 그릴 것 같은―에 정면으로 맞선다. 그는 세밀하지 않다. 휴대전화와 지갑을 잘 잃어버리고 주차장을 빙빙 돌며 차 키를 이리저리 눌러보는 일도 여러 번. 식물세밀화를 어떻게 그리는 거냐는 사람들의 반응에 그는 이렇게 답한다. “할 수 없어요. 이게 나예요.”
사람들의 이러한 반응이 신기해서 지인에게 “너한테도 식물세밀화 그리는 사람에 대한 이미지 같은 게 있어?” 물어봤다. “식물 한다고 하면, 아무래도 식물처럼 조용하고 착할 것 같고…… 게다가 세밀화를 그린다고 하면 아주 섬세하고 깐깐하고 철두철미한 성격일 것 같긴 하지.” “내가 그래?” “아니.” _이소영 「식물을 닮아가는 중」
자신에 대해 정확하게 들여다보고 직면하는 이들이 있다.
꾸준히 글을 써온 성실한 에세이스트 김신회는 사랑을 좋아하고 늘 사랑을 하고 싶어하지만 사랑을 모르는 사람이다. 덕질, 일, 연애, 친구로 이어진 사랑을 찾아 헤매다 풋콩이를 가족으로 만나기까지, 사랑을 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여정을 따라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사랑을 모른다고 하지만, 사실은 그 누구보다 진심으로 사랑을 하고 있다는 것도.
내 안에 사랑이 없다는 좌절감. 그로 인해 느껴지는 허전함과 싸우는 일. 그게 나의 가장 큰 취약점이었다. 사랑을 모르면 모르는 채로 살아가도 될 텐데. 뭔지도 모르는 사랑을 갈구하면서, 그러느라 더 사랑에 매달리면서. _김신회, 「사랑을 모르는 사람」
페미니즘 출판사 봄알람을 운영하며 베스트셀러 『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 『김지은입니다』 등을 펴낸 출판편집자 이두루의 글은 독특하다. 그에게 없는 ‘이 능력’은 오늘날 보통의 현대인이라면 너무도 익숙한, 이 능력을 수치화한다는 것이 의아한 ‘영상 독해 능력’(영해력)이다. “텔레비전이란 곧장 꺼지는 것이니, 광고는 대체 무슨 의미인가” 궁금해했던 어린 시절을 보낸, 여전히 노트와 펜이 편한 그가 낮은 영해력의 원인을 분석해가는 과정은 흥미롭다.
이걸 노트에 수기로 짜고 있는 나와 미래의 거리는 얼마나 더 멀 것인가. 우선은 낙관적으로 생존해보기로 한다. 나만큼 영상이 편치 않은 7~9등급의 사람들이 세상에 23퍼센트나 있으니까. _이두루, 「영해영역 7등급」
삽화가이자 에세이스트인 임진아의 삶은 멀리서 바라보면 이상적이고 완벽하다. 매일 아침 새로 내린 커피와 빵, 혼자 조용히 보내는 시간과 늘 함께인 개 키키. 그러나 이 시간을 그저 부러워할 수만은 없다. 긴장과 땀을 달고 살았던 그가 자신을 푹신한 자리에 두기 위해 얼마나 많은 땀을 흘렸는지, 그리고 지금도 얼마나 많은 땀을 흘리고 있는지 안다면.
어른이 되어 나로 시작해도 되는 삶을 만났을 때 내가 나에게 가장 먼저 해준 일은, 그것들을 피해서 나를 가장 푹신한 곳에 앉히는 일이었다. _임진아, 「좋지만 싫다」
마음 깊숙한 곳에 품어왔던 오래된 이야기를 꺼낸 이들이 있다.
말맛 있게 쓴다고 평가받으며 오늘날 가장 기대되는 작가로 손꼽히는 서한나, 그는 오늘도 요가원에 간다. 요가원에 가서 김수면양말과 발가락양말 자매와 요가 중년들의 수다를 만난다. 몸을 움직이러 간 곳에서조차 여전히 머리로만 살지만, 다시 요가원의 문을 두드린다. 기분을 지키려는 노력은 계속된다.
운동하기 전보다 운동하고 난 뒤의 내가 더 마음에 들고 기분이 좋다. 기분은 몸에서 오고 기분은 결국 모든 것이니까. _서한나, 「나는 잠시 사랑하기로 한다」
메모 같으면서도 시적인 노랫말을 쓰고 부르는 싱어송라이터 김사월에게 불안은 벗어나고 싶은 감정인 동시에 오늘날의 김사월을 만든 원동력이다. “흐느적거리며 다행히 아직까지는 부러지지 않은” 스스로를 조금은 좋아해보기로 한다.
불안을 원료 삼아 나아가고 무언가를 이루어내면 그것이 내 몫이 아니라는 생각에 다시 생각이 많아지는, 너무나 벗어나고 싶었던 불안이 지금의 나를 만들어준 원동력이라는 걸 알기에 나의 불안이 외롭고 서럽게 느껴졌다. _김사월, 「창백한 푸른 점」
서평을 쓰지 않는 서평가 금정연의 날들은 날씨, 야구, 밤, (체념에 가까운) 자신감, 책과 늘 함께다. 그는 날씨에 따라 살기를, 밤새우기를, 체념에 가까운 자신감으로 스스로를 괴롭히는 것을 그만하고 싶지만, 그것들은 모여 언젠가부터 그를 기억에 쓰고 기억에 살게 한다.
혼자 있을 때나 사람들 사이에 있을 때나 상관없이 곧잘 옛날 생각에 빠진다. 길을 걷다 함정에 빠지듯 쑥, 빠지고 만다. 자꾸만 옛날 생각에 빠지는 건 기억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날씨와 야구와 밤과 자신감과 책과 온갖 것들에 대한 기억이…… _금정연, 「기억에 눈이 부셔서」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신회(지은이)
에세이스트. 거한 아침 식사 없이 하루를 시작하는 법을 모르고, 혼자 먹는 점심을 가장 좋아한다. 아무거나 잘 먹지만 맛있는 게 뭔지는 아는 사람. 《보노보노처럼 살다니 다행이야》, 《아무튼, 여름》, 《가벼운 책임》 등을 썼다.
금정연(지은이)
서평가로 불리지만 서평이 아닌 글을 더 많이 쓴다. 요즘 가장 많이 쓰는 것은 일기이다. 한동안 소설과 소원한 관계였지만, 최근 화해를 결심하고 책상 위에 읽어야 할 소설로 이루어진 작은 탑을 쌓고 있다. 지금 눈앞에 보이는 책은 J. G. 발라드와 P. K. 딕과 스트루가츠키 형제와 하라 료의 작품들, 그리고 배리 기포드의 『스타호텔 584호실』(최필원 옮김, 그책, 2010)이다.
이소영(지은이)
식물학 일러스트레이터이자 원예학 연구자로,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원예생명공학과 석사 과정을 수료했고 국립수목원에서 식물학 일러스트를 그렸습니다. 현재 국내외 식물 연구 기관, 식물학자들과 협업해 기록이 충분하지 않은 식물, 주변에 있으나 존재가 알려지지 않은 식물을 그림으로 기록합니다. 지은 책으로 『식물과 나』 『식물의 책』 『식물 산책』 등 여러 권이 있습니다.
김사월(지은이)
메모를 하고, 노래를 부르고, 커피와 술을 마시고, 늦게까지 깨어 있는 사람. 포크 듀오 김사월X김해원 「비밀」로 데뷔하며 제13회 한국대중음악상에서 ‘최우수포크음반상’과 ‘올해의신인상’을 수상했다. 솔로 1집 앨범 「수잔」과 2집 앨범 「로맨스」로 최우수포크음반상을 연이어 수상했다. 아름다운 노랫말로 리스너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싱어송라이터 김사월이 『사랑하는 미움들』로 예민하고 섬세한 감수성을 가진 독자의 마음에 신호를 보낸다.
남궁인(지은이)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이대목동병원 응급의학과 임상조교수로 일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만약은 없다》, 《지독한 하루》, 《제법 안온한 날들》 들이 있습니다.
임진아(지은이)
읽고 그리는 삽화가. 생활하며 쓰는 에세이스트. 만화와 닮은 생각을 글과 그림으로 기록한다. 종이 위에 표현하는 일을, 책이 되는 일을 좋아한다. 임진아 페이퍼라는 이름으로 작은 책자와 부드러운 지류를 선보인다. 『빵 고르듯 살고 싶다』『아직, 도쿄』『오늘의 단어』 등을 쓰고, 『어린이라는 세계』『올리브색이 없으면 민트색도 괜찮아』 등에 삽화와 표지를 그렸다. 인스타그램 @imjina_paper 홈페이지 www.imyang.net
최지은(지은이)
재미있는 이야기와 멋진 사람들의 세계에 다가가고 싶어 한동안 대중문화 기자로 일했다. 『괜찮지 않습니다』와 『엄마는 되지 않기로 했습니다』라는 책을 썼다. 앞으로 인생이 어떻게 흘러갈지는 알 수 없지만, 여성의 이야기를 읽고 듣고 쓰고 전하는 일만은 계속하고 싶다. 본의 아니게 진심이 되는 편이다.
이두루(지은이)
경 읽기와 책 구경을 취미 삼았다가 그만 출판편집자가 되었다. 현실 이슈를 다룬 텍스트가 여성의 삶에 즉각적으로 개입하는 힘을 믿는다. 페미니즘 출판사 봄알람을 운영하며 베스트셀러 『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 『김지은입니다』 등을 펴냈다.
서한나(지은이)
BOSHU는 대전에서 활동하는 페미니스트 문화기획자 그룹이다. 2014년 지역 청년 잡지로 시작해 2016년부터 페미니즘 관점으로 잡지를 발행했으며 2018년부터는 오프라인으로 활동을 넓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직접 만들고 있다. 글쓰기 강연 “부감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본 뒤 글쓰기”, 페미니스트문화기획자 학교 “우리가 좋아하는 기획이 있지”, 우먼온리DJ파티 “우리가 좋아하는 리듬이 있지” 등 페미니즘 관점의 문화예술기획을 시도해왔다. 여성축구팀 “FC우먼스플레잉”, 여성 주짓수팀 “OVERSET”을 창단하며 지역 여성청년의 커뮤니티를 만들기 시작했다. 2019년부터 비혼 여성 커뮤니티 ‘비혼 후 갬’을 운영하며 대전에 사는 비혼 여성들이 서로를 만날 수 있도록 돕는다. 지방에서 여성청년이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정치세력화를 시도하는 동시에 지금까지 해온 대로 문화예술을 통한 연대를 꾸준히 꿈꾼다. 친구들과 함께 쓴 『피리 부는 여자들』 『한겨레』에 ‘서울 말고’ 칼럼을 연재 중이다. 글을 쓰다 보면 친구를 만날 수 있을 것 같다. 친구에게 보여준다고 생각하면 글이 잘 써지기도 한다. 엄마에게 보여준다고 생각하면 아무것도 안 써진다. 애인과 엄마, 그리고 친구가 주제이자 숙제다.

Table of Contents
사랑을 모르는 사람 ㆍ 김신회 도-레-미-미-미 ㆍ 남궁인 좋지만 싫다 ㆍ 임진아 영해영역 7등급 ㆍ 이두루 과자 이야기 ㆍ 최지은 나는 잠시 사랑하기로 한다 ㆍ 서한나 식물을 닮아가는 중 ㆍ 이소영 창백한 푸른 점 ㆍ 김사월 기억에 눈이 부셔서 ㆍ 금정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