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경제사상 연구 (Loan 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靳诺 劉伟, 저 김승일, 金勝一, 1955-, 역
Title Statement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경제사상 연구 / 진눠, 류웨이 지음 ; 김승일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경지출판사,   2021  
Physical Medium
434 p. ; 23 cm
ISBN
9791190159678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431-134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87884
005 20210803143604
007 ta
008 210730s2021 ulk b 000c kor
020 ▼a 9791190159678 ▼g 03820
035 ▼a (KERIS)REQ000053795709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41 1 ▼a kor ▼h chi
082 0 4 ▼a 335.4345 ▼2 23
085 ▼a 335.4345 ▼2 DDCK
090 ▼a 335.4345 ▼b 2021
100 1 ▼a 靳诺
245 1 0 ▼a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경제사상 연구 / ▼d 진눠, ▼e 류웨이 지음 ; ▼e 김승일 옮김
260 ▼a 서울 : ▼b 경지출판사, ▼c 2021
300 ▼a 434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431-134
700 1 ▼a 劉伟, ▼e
700 1 ▼a 김승일, ▼g 金勝一, ▼d 1955-, ▼e▼0 AUTH(211009)9372
900 1 0 ▼a 진눠, ▼e
900 1 0 ▼a Jin, Nuo, ▼e
900 1 0 ▼a 류웨이, ▼e
900 1 0 ▼a Liu, Wei, ▼e
900 1 0 ▼a 劉伟,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5.4345 2021 Accession No. 11185181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중국인민대학 과학연구처, 중국인민대학 국가발전과 전략연구원, 중국인민대학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사상” 학습연구원 등이 공동으로 기획한 기구에서 중국인민대학 각 전공 별 영역의 전문가들을 모아 편찬했으며, 테마연구를 위해서는 국내 유관 연구기구의 연구원들을 모집했다.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사상”은 심오하고 내용도 풍부하므로 국내 학술계에서는 이 사상을 깊이 있게 연구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이 사상을 연구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낸 성과인 이 총서는 중국인민대학의 초보적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장차 중국인민대학은 중국인민대학 자체가 가지고 있는 전통적인 장점과 학과별 장점, 훌륭한 인재에 의지하여 이 사상을 더욱 깊이 있게 연구하여 더욱 우수한 연구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당대 중국의 마르크스주의와 21세기 마르크스주의를 논술할 것을 기대해 마지않는다.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가 새로운 시대에 진입한 것은 중국의
발전이 새로운 역사적 좌표에 직면했음을 의미한다.

본 총서는 중국인민대학 과학연구처, 중국인민대학 국가발전과 전략연구원, 중국인민대학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사상” 학습연구원 등이 공동으로 기획한 기구에서 중국인민대학 각 전공 별 영역의 전문가들을 모아 편찬했으며, 테마연구를 위해서는 국내 유관 연구기구의 연구원들을 모집했다.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사상”은 심오하고 내용도 풍부하므로 국내 학술계에서는 이 사상을 깊이 있게 연구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이 사상을 연구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낸 성과인 이 총서는 중국인민대학의 초보적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장차 중국인민대학은 중국인민대학 자체가 가지고 있는 전통적인 장점과 학과별 장점, 훌륭한 인재에 의지하여 이 사상을 더욱 깊이 있게 연구하여 더욱 우수한 연구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당대 중국의 마르크스주의와 21세기 마르크스주의를 논술할 것을 기대해 마지않는다.

진눠(靳诺)

중국인민대학 당위서기
2019년 봄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류웨이(지은이)

경제학 박사 현재 중국 인민대학 총장. 국무원 학위위원회 이론 경제학 평가 조 의원, 교육부 경제학교육지도위원회 부주임, 교육부 학과 발전과 전문분야 설치 전문가위원회 부주임. 오랫동안 정치경제학 중 사회주의 경제이론 제도경제학 중의 경제이론 축의 전환 경제학 중의 산업구조 변천 등 영역에 관한 연구에 진력 해왔다. 그러한 과정에서 얻은 많은 연구 성과는 국내외 권위 있는 학술지 등에 발표되었다. 그러한 공로가 인정되어 손즈팡(? 冶方) 경제학 저술상을 두 차례 수상했고, 교육부 인문사회과학 우수성과 일등 등 여러 항목의 국가급 학술성과상을 수여받았다. 그 결과 최초로 교육부의 “세기를 뛰어넘는 인재”로 선발되었고, 2006년에는 교육부의 창장(長江) 학자로 평의(評議)되어 북경대학 교수로 특별 초빙되었다.

김승일(옮긴이)

1955년 생으로 경기도 안성 출신이다. 동국대 사학과를 졸업한 후, 대만(국립대만정치대학 문학석사[1987년])과 일본(국립규슈대학 문학박사[1992년])에서 유학했다. 귀국 후 동아시아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 국민대와 동아대 교수 등을 거쳐 현재 동아시아미래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교학ㆍ저술ㆍ번역ㆍ연구 활동의 중점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세계의 문화ㆍ사회ㆍ경제 등의 교류사 연구를 통하여 동아시아의 정체성(正體性)을 재구성하는 일에 중점을 두어 왔다. 이들 성과는『한민족과 동아시아세계』『[일문] 중국혁명의 기원(中國革命の源)』『[중문] 내 눈 속의 한중관계(我眼中的韓中關係)』등 30여 종의 저술과 「한중일 삼국의 근대화 좌절과 성공의 사상적 배경에 관한 비교연구」 등 200여 편의 논문으로 발표되었으며, 역서로는『모택동선집』『등소평문선』등 200여 종이 있다. 이러한 공로를 중국정부로부터 인정받아 2012년에 ‘중화도서특수공헌상”을 수상했고, 2015년에는 중국국무원 신문판공실 해외이사로 선정되었으며, 2021년에는 홍콩에 본부를 둔 ‘세계문학연합회’ 특별초빙전문가로 위촉되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경제사상” 연구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사상” 연구총서 서언

제1장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경제발전이라는 주제에 대한
응답
1. 역사적 논리 :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경제발전이라는 주제의 새로운 내함
2. 이론적 논리 :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경제발전은 혁신 과 새로운 경제발전 이론의 구축이 필요하다
3. 실천적 논리 : 신 발전 이념의 관철과 현대화 경제체계의 구축

제2장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경제사상의 시대배경
1. 중국경제는 이미 고속성장 단계에서 높은 품질발전의 새로운
단계에 들어섰다.
2. 세계경제는 심각한 조정변혁기에 진입했다.
3. 신시대의 역사적 3대 임무

제3장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경제사상의 이론 기원
1.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정치경제학 발전의 사상 원천
2.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정치경제학 발전
3.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정치경제학에 관한 시진핑의 창조적
발전

제4장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경제사상의 방법론
1. 역사유물론과 인민의 입장
2. 문제지향의 변증법적 사유
3. 안정 속 진보추구 사업의 총 주안점

제5장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경제제도의 본질적 특징
1. 경제사업에 대한 당의 집중적ㆍ통일적 영도의 견지
2. 기본 경제제도를 견지하고 보완해야 한다.
3. “보이지 않는 손”과 “보이는 손”을 잘 이용해야 한다.

제6장 경제발전을 인도하는 뉴노멀을 파악하고 적응하자.
1. 경제발전의 뉴노멀에 적응하자
2. 경제발전의 뉴노멀을 파악하자
3. 경제발전의 뉴노멀을 이끌자

제7장 새로운 발전이념으로 발전행동을 이끌자
1. 신 발전이념 제기의 배경과 필요성
2. 신 발전이념의 역사적 논리와 시대적 혁신성
3. 신 발전이념의 내적 논리와 실천적 지향성
4. 신 발전이념으로 발전행동의 중점 임무를 이끌자

제8장 신 발전이념을 관철하여 현대화 경제체계를 건설하자.
1. 신 발전이념으로 현대화 경제체계 건설을 이끌자.
2. 현대화 경제체계를 건설하려면 6가지 구체적 임무를 실시해야
한다.

제9장 공급 측 구조개혁을 주요 노선으로 하자
1. 공급 측 구조적 개혁의 이론적 논리
2. 공급 측 구조개혁은 신시대 경제사업의 주요 노선
3. 공급 측 구조개혁의 보편적 인식에 대한 오류

제10장 거시경제적 관리의 혁신과 개선
1.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는 신시대에 접어들면서 거시경제 관리의
혁신에 새로운 요구를 제기했다.
2. 위대한 실천은 중국 거시경제 관리의 부단한 혁신을 이끈다
3. 신노정은 거시경제의 관리체계를 더욱 혁신하고 개선할 것을
요구한다.
4. 중국 특색의 거시경제학은 세 방면을 돌파해야 한다

제11장 경제 글로벌화를 촉진하여 인류의 운명공동체를 구축하자.
1. 전면 개방의 새로운 구조와 새로운 체제를 형성하여 더욱 높은 차원의 개방형 경제를 발전시키자.
2. ‘일대일로’ 건설의 제의와 국제협력의 신 플랫폼 구축.
3. 글로벌 거버넌스 체계의 개혁과 건설에 적극 참여하여 인류의
운명공동체 구축을 추진해야 한다.

참고문헌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