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관계수업 : 포스트 코로나 교실소통왕 만들기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현섭 김성경, 저 오정화, 저
서명 / 저자사항
관계수업 : 포스트 코로나 교실소통왕 만들기 / 김현섭, 김성경, 오정화 지음
발행사항
군포 :   수업디자인연구소,   2021  
형태사항
356 p. : 천연색삽화, 도표 ; 26 cm
ISBN
9791195810093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87343
005 20210726111317
007 ta
008 210722s2021 ggkad b 000c kor
020 ▼a 9791195810093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1.3 ▼2 23
085 ▼a 371.3 ▼2 DDCK
090 ▼a 371.3 ▼b 2021z4
100 1 ▼a 김현섭 ▼0 AUTH(211009)44291
245 1 0 ▼a 관계수업 : ▼b 포스트 코로나 교실소통왕 만들기 / ▼d 김현섭, ▼e 김성경, ▼e 오정화 지음
260 ▼a 군포 : ▼b 수업디자인연구소, ▼c 2021
300 ▼a 356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6 cm
700 1 ▼a 김성경, ▼e
700 1 ▼a 오정화,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3 2021z4 등록번호 1118515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코로나 19 이후 특히 온라인 수업 기간이 예상보다 길어지게 되면서 학습 효율성 및 학습격차 문제, 기초 학력 문제, 디지털 기기 과의존 현상, 사이버 폭력 문제 등 생활 지도 문제, 인성교육 문제 등등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인성교육과 관련하여 사회성 문제가 더욱 부각되었다. 하루종일 온라인 수업, 온라인 게임 및 활동 등을 하다 보니 학생들의 개인주의 문화가 더욱 심화되었고, 사회적 거리 두기라는 방역 수칙을 강조하다 보니 대면 수업에서도 사회적 상호작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질적인 사회에서 사회적 상호작용하는 것이 미래 핵심 역량 중의 하나인데, 현실적으로 이러한 공동체적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기회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들의 사회성을 증진하고, 공동체 역량을 실질적으로 강화하기 위해서는 관계기술이 매우 필요하다.

관계기술(Social Skill)이란 공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대인협력기술을 의미한다.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결코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다.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하면서 살아간다. 그런데 관계기술을 익히고 실천하게 되면 다른 사람들과의 소통도 잘 이루어진다. 소통이 잘 이루어져야 사람은 행복해질 수 있다. 일의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개인만의 노력으로도 어느 정도 이룰 수 있지만 다른 사람과의 좋은 관계를 세우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개인만의 노력으로 얻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일의 성취를 경험해도 사람은 불행해진다.

소통이란 ‘의견이나 의사가 다른 사람에게 잘 통하는 것’이다. 그런데 실생활에서는 소통 대신 불통(不通)을 자주 경험한다. 불통이란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견해를 이해하거나 받아들이지 못한다는 것이다. 불통이 되면 인생의 아픔(痛)이 된다. 불통은 오해와 갈등의 시발점이 되고, 그 결과 서로에게 아픔을 주고받는 관계가 될 수 있다.

교실에서도 교사와 학생, 학생 상호 간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오해와 갈등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사람으로서 본격적인 사회생활은 교실을 통해 이루어진다. 애정과 혈연을 기반으로 한 가정생활과 달리 학습과 교우 관계를 기반으로 한 학교생활은 자칫 평화보다는 폭력, 소통보다는 불통을 경험하기 쉽다. 그러므로 교사가 자기 교실은 소통 교실로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고민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 책은 소통 교실을 만들기 위한 방안과 학생들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관계기술을 다루고 있다. 지금까지 관계기술 연구들은 주로 학교폭력 예방교육, 특수교육, 협동학습 분야에서 주로 이루어졌는데, 여기에서는 별도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보편적인 인성 교육, 사회성 교육, 평화교육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론 뿐 아니라 실천 영역도 강화하여 수업이나 학급 운영 차원에서 관계기술을 다양하게 접목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이 책이 인성교육, 사회성교육, 평화교육을 위한 교사들의 실질적인 지침서가 되길 진심으로 바란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아이들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필독서!
교실 소통왕을 위한 관계기술 이론과 실제 총 정리!
티쳐빌원격연수원 “관계기술, 교실소통전문가 만들기” 30시간 원격연수 서비스 중!

#왜 관계기술인가?, #칭찬하기, #격려하기, #경청하기, #공감하기, #긍정적으로 말하기, #배려하기, #다름을 인정하기, #감정 조절하기, #갈등 해결하기, #감사하기, #성찰하기, #목표세우기, #규칙세우기, #관계기술센터, #관계기술, #협동학습, #인성교육, #평화교육, #사회성교육

-“교사는 아이들을 만나는 직업이기에, 가족과 생활하는 생활인이기에 늘 소통의 문제는 현실의 문제였다. 이번 내용을 통해 다시 한번 나의 욕구 성향을 살펴보고 내 주변의 사람들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욕구 유형에 따른 아이들의 성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관계기술 방법들을 이해하는 기회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학생 및 학부모, 교사 상호간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요즘은 외동 아이들이 많이 있다보니 아이들이 친구들 간에 소통하고 관계 맺기를 어려워하는 것 같다. 이 내용이 아이들의 관계 맺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현섭(지은이)

수업혁신과 학교혁신 운동을 통해 교사들의 수업성장과 미래학교를 통한 학생들의 성장을 꿈꾸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교사 연수, 수업코칭, 교과서 및 교수학습자료 개발, 학교컨설팅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미래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와 컨설팅을 수행하면서 관련 자료들을 개발했습니다. 현재 수업디자인연구소 소장, (사) 교육디자인네트워크 대표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미래형 교육과정을 디자인하다”, “질문이 살아있는 수업”, “미래를 여는 온오프라인수업”, “관계수업”, “사회적 기술”, “협동학습”, “에듀파베르”, “수업 성장”, “수업을 바꾸다”, “수업공동체”, “철학이 살아있는 수업기술”, “욕구코칭” 등이 있습니다. Blog : eduhope88.tistory.com Homepage : www.sooupjump.org

오정화(지은이)

오랫동안 수업혁신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현재 수업디자인연구소 부소장으로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교사와 학생과의 관계 세우기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 아이들을 즐겁게 가르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에듀파베르”, “사회적 기술”, “질문이 살아있는 도덕수업” 등이 있고, 한국교육개발원 주관 평화감수성 수업자료집, 충남교육청 주관 인권감수성 수업자료집 및 중고교 노동인권수업 자료집 개발 등에 참여하였습니다. E-mail : 5004esde@hanmail.ne

김성경(지은이)

육아모임, 공동육아, 방과후 학교, 대안학교 등에서 20여년간 지내며 사람의 마음과 관계에 대해 치열한 고민과 공부를 해 왔습니다. 지금은 부모교육디자인연구소 및 욕구코칭연구소 소장, 기윤실 청년상담센터 위드 공동소장으로서 교사와 학부모, 아이들을 대상으로 자기 이해와 관계 속 소통법에 대해 강의, 상담, 집필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저서로 “욕구코칭”, “도대체 왜 그러냐고!”, “소통왕, 학부모를 부탁해” 등이 있습니다. E-mail : chogirl88@hanmail.net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부. 왜 관계기술인가?
1장. 혼자 노는 아이들, 거칠게 행동하는 아이들
2장. 인성교육, 평화교육, 그리고 역량교육에서 바라본 관계기술
3장. 관계기술을 익히기 위한 원리와 단계

제2부. 관계기술의 실제
4장. 칭찬하기
5장. 격려하기
6장. 경청하기
7장. 공감하기
8장. 긍정적으로 말하기
9장. 배려하기
10장. 다름을 인정하기
11장. 감정 조절하기
12장. 갈등 해결하기
13장. 감사하기
14장. 성찰하기

제3부. 관계기술을 통한 평화 교실 만들기
15장. 평화교실을 위한 목표 세우기
16장. 평화교실을 위한 규칙 세우기
17장. 관계기술센터 운영
18장. 평화교실을 위한 교사의 역할

관련분야 신착자료

강진령 (2023)
Cohen, David K.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