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감사의 말씀
제1부 교육과정통합의 개념 체계, 원리, 절차, 환경 구성
제1장 교육과정통합의 개념
1. 교육과정통합의 의미
2. 교육과정통합의 필요성
3. 교육과정통합의 유형
4. 교육과정통합의 방식
제2장 국가 수준의 통합교과
1. 초등학교의 통합교과
2. 고등학교의 통합교과
제3장 학교에서의 교육과정통합
1. 학교에서의 교육과정통합의 의미
2. 학교에서의 교육과정통합의 필요성/가치
3. 학교에서의 교과 간 연계교육의 의미와 필요성
4. 학교에서의 교육과정통합 지침
5. 학교에서의 교육과정통합 영역
6. 학교에서의 교육과정통합 절차
7. 학교에서의 교육과정통합 평가
제4장 교육과정통합의 운영 환경
1. 교육과정통합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학교의 문화
3. 학교의 조직
4. 학교의 시간, 공간, 재정
5. 지역사회
제1부 참고문헌
제2부 교육과정통합의 이론적 기반과 쟁점
제5장 교육과정통합 목표로서의 인격통합과 전인
1. 문제의 제기
2. 교과통합의 목표: 인격통합
3. 교과통합의 목표: 전인의 개발
4. 교과통합의 방식: 교육과정 유형에 따른 차이
5. 결론
제6장 교육과정통합 유형으로서 지식형식의 통합
1. 서론
2. 교육과정통합의 개념분석
3. 교육과정통합의 목표
4. Hirst 교육과정통합의 유형과 정당성Ⅰ
5. Hirst 교육과정통합의 유형과 정당성Ⅱ
6. 결론
제7장 교육과정통합의 목표와 수단의 조직 방식
1. 교육과정통합의 목표
2. 교육과정통합의 수단
3. 교육과정통합의 목표와 수단의 조직 방식 관계
4. 결론
제8장 학교 차원의 교육과정통합 모형
1. 문제 제기
2. 통합교육과정의 설계 모형 탐색
3. 통합교육과정의 개발 실태 분석
4. 결론
제9장 학교 차원의 교과통합적 운영 방안과 과제
1. 서론
2. 교과통합적 운영의 의미와 가치
3. 교과통합적 운영의 전개 방안
4. 교과통합적 운영의 과제
5. 결론
제10장 교육과정통합 유형으로서의 프로젝트 학습
1. 프로젝트 학습의 역사
2. 프로젝트 학습의 의미
3. 프로젝트 학습의 교육적 가치
4. 프로젝트 학습의 절차
5. 프로젝트 학습의 과제와 전망
제2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