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교육과정통합이론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대현, 金大現, 1957-
서명 / 저자사항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교육과정통합이론 =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curriculum integration / 김대현 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21  
형태사항
334 p. ; 24 cm
ISBN
9788999724343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86767
005 20210719161937
007 ta
008 210719s2021 ulk b 001c kor
020 ▼a 9788999724343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5.0001 ▼2 23
085 ▼a 375.0001 ▼2 DDCK
090 ▼a 375.0001 ▼b 2021
100 1 ▼a 김대현, ▼g 金大現, ▼d 1957- ▼0 AUTH(211009)9019
245 2 0 ▼a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교육과정통합이론 = ▼x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curriculum integration / ▼d 김대현 저
246 3 1 ▼a Theoretical framework for curriculum integration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21
300 ▼a 334 p. ; ▼c 24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0001 2021 등록번호 1118512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대현(지은이)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 부산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박사 부산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장, 교무처장, 사범대학장, 교육대학원장 한국교육과정학회장 교육부와 교육청의 각종 위원회 위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이사 <주요 저서> 교과의 통합적 운영(공저, 문음사, 1997) 국제이해교육과 신식민주의 비평(공저, 학지사, 2012)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감사의 말씀

제1부 교육과정통합의 개념 체계, 원리, 절차, 환경 구성

제1장 교육과정통합의 개념
1. 교육과정통합의 의미
2. 교육과정통합의 필요성
3. 교육과정통합의 유형
4. 교육과정통합의 방식

제2장 국가 수준의 통합교과
1. 초등학교의 통합교과
2. 고등학교의 통합교과

제3장 학교에서의 교육과정통합
1. 학교에서의 교육과정통합의 의미
2. 학교에서의 교육과정통합의 필요성/가치
3. 학교에서의 교과 간 연계교육의 의미와 필요성
4. 학교에서의 교육과정통합 지침
5. 학교에서의 교육과정통합 영역
6. 학교에서의 교육과정통합 절차
7. 학교에서의 교육과정통합 평가

제4장 교육과정통합의 운영 환경
1. 교육과정통합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학교의 문화
3. 학교의 조직
4. 학교의 시간, 공간, 재정
5. 지역사회

제1부 참고문헌

제2부 교육과정통합의 이론적 기반과 쟁점

제5장 교육과정통합 목표로서의 인격통합과 전인
1. 문제의 제기
2. 교과통합의 목표: 인격통합
3. 교과통합의 목표: 전인의 개발
4. 교과통합의 방식: 교육과정 유형에 따른 차이
5. 결론

제6장 교육과정통합 유형으로서 지식형식의 통합
1. 서론
2. 교육과정통합의 개념분석
3. 교육과정통합의 목표
4. Hirst 교육과정통합의 유형과 정당성Ⅰ
5. Hirst 교육과정통합의 유형과 정당성Ⅱ
6. 결론

제7장 교육과정통합의 목표와 수단의 조직 방식
1. 교육과정통합의 목표
2. 교육과정통합의 수단
3. 교육과정통합의 목표와 수단의 조직 방식 관계
4. 결론

제8장 학교 차원의 교육과정통합 모형
1. 문제 제기
2. 통합교육과정의 설계 모형 탐색
3. 통합교육과정의 개발 실태 분석
4. 결론

제9장 학교 차원의 교과통합적 운영 방안과 과제
1. 서론
2. 교과통합적 운영의 의미와 가치
3. 교과통합적 운영의 전개 방안
4. 교과통합적 운영의 과제
5. 결론

제10장 교육과정통합 유형으로서의 프로젝트 학습
1. 프로젝트 학습의 역사
2. 프로젝트 학습의 의미
3. 프로젝트 학습의 교육적 가치
4. 프로젝트 학습의 절차
5. 프로젝트 학습의 과제와 전망

제2부 참고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