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86688 | |
005 | 20210721132921 | |
007 | ta | |
008 | 210719s2021 ulk b 001c kor | |
020 | ▼a 9791167420107 ▼g 937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495.70143 ▼2 23 |
085 | ▼a 497.0143 ▼2 DDCK | |
090 | ▼a 497.0143 ▼b 2021 | |
100 | 1 | ▼a 윤평현, ▼d 1950- ▼0 AUTH(211009)97967 |
245 | 2 0 | ▼a (새로 펴낸) 국어의미론 강의 / ▼d 윤평현 |
260 | ▼a 서울 : ▼b 역락, ▼c 2021 | |
300 | ▼a 405 p.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p. [387]-396)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143 2021 | 등록번호 111851307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7-18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새로 펴낸 국어의미론'(2020)은 학부의 상급 학년과 대학원 석사과정 학생들에 맞추어 집필하였기 때문에 학부 과정의 교재로서는 전체 분량과 내용에서 힘에 겨울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 펴낸 국어의미론 강의'는 학부 과정의 범위를 넘어선 것은 과감하게 제외시켜서 책의 규모를 줄였다.
순전히 국어의미론을 공부하는 학부의 학생들에 맞추어서 다시 펴낸 것이다. 특히 국어학도가 아닌 사람도 차분히 읽으면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쓰는데 관심을 두었다. 따라서 이 책은 국어국문학과, 국어교육과 학생뿐만 아니라 언어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는 2013년에 『국어의미론 강의』라는 이름의 국어의미론 기본서를 발간했는데, 10년 가까운 동안 전국의 많은 대학생들이 이 책으로 공부하고 언어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도 이 책을 찾아 주었다. 그러나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는 국내외의 연구 동향을 반영할 새로운 연구서와 기본서가 필요했다. 그래서 저자는 2020년에 『새로 펴낸 국어의미론』을 출간하였고, 다시 이를 저본底本으로 『새로 펴낸 국어의미론 강의』를 펴내게 되었다.
『새로 펴낸 국어의미론』(2020)은 학부의 상급 학년과 대학원 석사과정 학생들에 맞추어 집필하였기 때문에 학부 과정의 교재로서는 전체 분량과 내용에서 힘에 겨울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 펴낸 국어의미론 강의』는 학부 과정의 범위를 넘어선 것은 과감하게 제외시켜서 책의 규모를 줄였다. 순전히 국어의미론을 공부하는 학부의 학생들에 맞추어서 다시 펴낸 것이다. 특히 국어학도가 아닌 사람도 차분히 읽으면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쓰는데 관심을 두었다. 따라서 이 책은 국어국문학과, 국어교육과 학생뿐만 아니라 언어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 책은 4부 1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세 장은 분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14주에 마칠 수 있으며, 따라서 시험 기간까지 포함하면 한 학기에 모두 끝낼 수 있을 것이다.
학습자가 의미 이론이나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한 설명과 함께 필요에 따라 영어를 비롯한 다른 언어의 예도 제시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윤평현(지은이)
전남대학교 명예교수, 문학박사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역임 중국 푸단대학复旦大學 초빙교수 역임 국어국문학회 대표이사, 한국어의미학회 회장 역임 저서 『현대국어 접속어미 연구』(2005), 『국어의미론』(2008), 『국어학의 이해』(공저, 2008), 『국어의미론 강의』(2013), 『국어의미론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 1․2․3』(공편, 2016), 『새로 펴낸 국어의미론』(2020) 외 다수 논문 「국어 소형문의 발화행위」, 「<혼불>의 상징어 고찰」, 「국어 접속어미에 의한 가정표현 고찰」, 「한국어 접속어미의 의미」, 「의미이론과 한국어 교육」 외 다수

목차
제1부 총론 제1장 의미론의 형성 1. 의미론의 위상 17 2. 의미 연구의 흐름 18 2.1. 역사의미론_19 2.2. 구조의미론_20 2.3. 생성의미론_22 2.4. 화용론_23 2.5. 형식의미론_24 2.6. 인지의미론_25 3. 의미론의 연구 영역 26 3.1. 언어학적 의미론_26 3.2. 의미의 층위_27 3.3. 의미론의 연구 분야_27 제2장 언어의 기능과 의미 1. 언어의 기능 29 1.1. 기술적 기능_29 1.2. 비기술적 기능: 표현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_30 2. 의미의 정의 31 2.1. 지시설_32 2.2. 개념설_34 2.3. 용법설_37 2.4. 진리조건설_37 2.5. 의의관계설_38 2.6. 개념화설_39 3. 의미의 유형 41 3.1. 개념적 의미_42 3.2. 내포적 의미_43 3.3. 사회적 의미_44 3.4. 감정적 의미_45 3.5. 반사적 의미_45 3.6. 연어적 의미_45 3.7. 주제적 의미_47 제2부 어휘의미론 제3장 의미장 1. 의미장의 개념 51 1.1. 의미장의 정의_51 1.2. 의미장과 의미 규정_52 1.3. 개념장과 어휘장_52 2. 장이론의 이론적 배경과 전개 53 2.1. 장이론의 이론적 배경_53 2.2. 장이론의 전개_54 3. 계열적 장이론 55 3.1. 트리어의 장이론_55 3.2. 바이스게르버의 장이론_59 4. 통합적 장이론 63 4.1. 의미장 구성_63 4.2. 의미장 구성의 중심_64 4.3. 은유_66 5. 어휘장과 문화 67 5.1. 언어상대성 가설_67 5.2. 어휘장의 빈자리_70 제4장 성분분석 1. 의미성분 73 1.1. 의미성분과 성분분석_73 1.2. 성분분석 이론의 성립 배경_74 1.3. 성분분석의 과정_78 1.4. 의미성분의 유형_85 1.5. 의미성분의 형식적 표상_88 1.6. 성분분석의 효용과 한계_91 2. 의미원소 94 2.1. 생성의미론의 어휘분해_95 2.2. 개념의미론의 의미원소_97 2.3. 자연 의미 상위언어의 의미원소_98 제5장 국어 어휘의 의미관계 1. 동의관계 101 1.1. 동의관계의 규정_101 1.2. 동의어 생성_106 1.3. 동의어의 경쟁_110 2. 반의관계 113 2.1. 반의관계의 규정_113 2.2. 반의어의 유형_116 2.3. 반의관계의 복합성과 비전형성_124 2.4. 비양립관계_127 3. 하의관계 130 3.1. 하의관계의 규정_130 3.2. 상의어와 하의어_131 3.3. 하의관계의 특성_133 4. 부분관계 134 4.1. 부분관계의 규정_134 4.2. 부분어와 전체어_135 4.3. 부분관계의 특성_136 제6장 국어 어휘의 의미 변이 1. 의미 변이 139 2. 단의어와 다면어 141 2.1. 단의어_141 2.2. 다면어_142 3. 다의어 149 3.1. 다의어의 규정_149 3.2. 다의어의 생성_152 4. 동음이의어 156 4.1. 동음이의어의 규정_156 4.2. 동음이의어의 유형_158 4.3. 동음이의어의 생성_160 4.4.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구별_164 제7장 국어 어휘의 비유 의미 1. 비유와 의미 169 1.1. 비유의 본질_169 1.2. 유사성과 인접성_170 1.3. 비유의 언어학적 접근_171 2. 개념적 은유 172 2.1. 개념적 은유의 정의_172 2.2. 근원영역과 목표영역_173 2.3. 개념의 사상_174 2.4. 개념적 은유의 언어적 표현_175 2.5. 은유의 유형_176 3. 개념적 환유 182 3.1. 개념적 환유의 정의_182 3.2. ‘매체-목표’의 사상_183 3.3. 환유의 특성_184 3.4. 환유의 유형_185 제8장 의미변화 1. 의미변화의 규정 193 2. 의미변화의 원인 194 2.1. 언어적 원인_195 2.2. 역사적 원인_197 2.3. 사회적 원인_199 2.4. 심리적 원인_201 2.5. 외국어의 영향_202 2.6. 새로운 명칭의 필요성_203 3. 의미변화의 분류 203 3.1. 명칭의 변화_204 3.2. 의미의 변화_206 3.3. 복합변화_207 4. 의미변화의 결과 208 4.1. 범위의 변화_208 4.2. 가치의 변화_211 제3부 문장의미론 제9장 문장과 의미 1. 문장의 구조와 의미 215 1.1. 문장성분과 서술어_215 1.2. 논항과 의미역_216 1.3. 서술어의 선택제약_218 1.4. 명제와 양태_220 2. 문장 의미의 해석 원리 221 2.1. 단어의 의미와 통사규칙_221 2.2. 합성성 원리_222 3. 문장의 구조와 정보 224 3.1. 구정보와 신정보_224 3.2. 주제와 설명_227 4. 문장의미의 기본 속성 230 제10장 문장의 동의성 1. 동의성의 규정 235 2. 동의문의 유형 236 2.1. 어휘적 동의문_237 2.2. 구조적 동의문_241 3. 문장의 동의성과 화자의 관점 247 제11장 문장의 중의성과 모호성 1. 중의성의 규정 249 2. 중의성의 유형 250 2.1. 어휘적 중의성_250 2.2. 구조적 중의성_252 2.3. 영향권 중의성_255 3. 중의성의 해소 257 4. 모호성 261 4.1. 모호성의 규정_261 4.2. 모호성의 유형_262 5. 중의성 검사 266 제12장 함의와 전제 1. 함의 269 1.1. 함의의 개념_269 1.2. 일방함의와 상호함의_271 1.3. 함의의 생성_272 2. 전제 279 2.1. 전제의 개념_279 2.2. 전제의 생성_283 2.3. 화용론적 전제_289 제4부 화용론 제13장 화용론의 성격 1. 화용론의 특성과 역사적 배경 295 1.1. 화용론의 특성_295 1.2. 화용론의 역사적 배경_296 2. 화용론의 정의와 의미론과의 관계 298 2.1. 화용론의 정의_298 2.2. 의미론과 화용론_299 3. 화용론의 연구 영역 301 3.1. 화용론의 연구 분야_301 3.2. 쓰레기통 속의 화용론_302 제14장 직시 1. 직시의 규정 305 1.1. 직시의 개념_305 1.2. 직시 표현_306 2. 직시의 중심 307 2.1. 직시의 기준점_307 2.2. 직시의 투사_308 3. ‘이ㆍ그ㆍ저’에 의한 직시 표현 309 3.1. ‘이ㆍ그ㆍ저’의 직시 체계_309 3.2. 2원 체계와 3원 체계_310 3.3. 나 먼저 원리_312 4. 직시의 유형 313 4.1. 인칭 직시_313 4.2. 시간 직시_319 4.3. 장소 직시_324 4.4. 담화 직시_330 4.5. 사회 직시_333 5. 직시 표현의 비직시적 용법: 조응 336 5.1. 조응의 개념_336 5.2. 조응 표현과 선행사_337 제15장 발화행위 1. 발화행위 이론의 출발 341 2. 발화행위와 언표수반효력 342 2.1. 발화행위의 세 측면_342 2.2. 언표수반행위_343 2.3. 언표수반효력_344 2.4. 수행발화_345 3. 언표수반행위의 분류와 적정조건 348 3.1. 언표수반행위의 분류_348 3.2. 적정조건_351 4. 간접발화행위 353 4.1. 간접발화행위의 개념_353 4.2. 문장 형태와 언표수반행위_355 제16장 함축 1. 그라이스 고전 이론 358 1.1. 함축의 개념_358 1.2. 협력 원리와 함축의 생성_359 1.3. 함축의 유형_366 1.4. 대화함축의 특성_370 2. 신그라이스 이론 374 2.1. 혼의 체계_374 2.2. 레빈슨의 체계_375 3. 적합성 이론 378 3.1. 적합성과 적합성 원리_378 3.2. 외축_381 3.3. 함축된 가정과 함축된 결론_384 참고문헌 / 387 찾아보기 / 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