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金素月과 朱湘 시 비교연구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장문연, 張文娟, 1984-
서명 / 저자사항
金素月과 朱湘 시 비교연구 / 張文娟 著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2021  
형태사항
266 p. ; 23 cm
총서사항
한국문화사 국제 한국학 총서
ISBN
9791166850370
서지주기
참고문헌(p. 248-258)과 색인수록
주제명(개인명)
김소월,   金素月,   1902-1934  
朱湘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86669
005 20210721104733
007 ta
008 210719s2021 ulk b 001c kor
020 ▼a 9791166850370 ▼g 938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895.713 ▼a 809.1 ▼2 23
085 ▼a 897.15 ▼2 DDCK
090 ▼a 897.15 ▼b 김소월 2021
100 1 ▼a 장문연, ▼g 張文娟, ▼d 1984-
245 1 0 ▼a 金素月과 朱湘 시 비교연구 / ▼d 張文娟 著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1
300 ▼a 266 p. ; ▼c 23 cm
490 1 0 ▼a 한국문화사 국제 한국학 총서
504 ▼a 참고문헌(p. 248-258)과 색인수록
536 ▼a 이 책은 안후이과학기술대학교 출판비 지원으로 간행되었음 ▼g (WYWD201901)
600 1 4 ▼a 김소월, ▼g 金素月, ▼d 1902-1934
600 1 4 ▼a 朱湘
830 0 ▼a 한국문화사 국제 한국학 총서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15 김소월 2021 등록번호 1118512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문화사 국제 한국학 총서. 『김소월시전집』(2015, 문학사상)과 『朱湘全集·詩歌卷』(2017, 안휘문예출판사)을 기본 자료로 사용하여 그들의 작품에 내재된 모티프의 양상 및 특징을 평형 비교에 역점을 두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구체적인 작품분석을 통하여 두 시인의 작품에 깃든 시적 정신을 도출하고 비교하였다. 이를 토대로 소월 시와 주상 시에 내포된 전통성과 근대성이 혼재하는 근대적 시질(詩質)을 판단, 전승(傳承)과 혁신(革新)이라는 시각에서 그들의 시가 지니는 시사적 가치와 위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 책은 한중 근대문학의 발달과 전개에 있어 시대적인 배경의 유사성을 전제로, 서로 직접적인 큰 영향 관계는 없으나 유사한 전기적·문학적 삶과 시학 사상을 지닌 대표적인 근대시인 한국의 김소월(金素月)과 중국의 주상(朱湘)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김소월시전집』(2015, 문학사상)과 『朱湘全集·詩歌卷』(2017, 안휘문예출판사)을 기본 자료로 사용하여 그들의 작품에 내재된 모티프의 양상 및 특징을 평형 비교에 역점을 두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구체적인 작품분석을 통하여 두 시인의 작품에 깃든 시적 정신을 도출하고 비교하였다. 이를 토대로 소월 시와 주상 시에 내포된 전통성과 근대성이 혼재하는 근대적 시질(詩質)을 판단, 전승(傳承)과 혁신(革新)이라는 시각에서 그들의 시가 지니는 시사적 가치와 위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장문연(지은이)

한족(漢族),국립공주대학교 문학박사 중국 안후이과학기술대학교(安徽科技學院) 전임교사 중국사회과학원 민족문학연구소(中國社會科學院 民族文學硏究所) 박사 후 과정 중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사 검토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素月詩와 朱湘詩의 시적 배경과 모티프
1. 시대적 배경과 문학 활동
2. 불변의 시학관과 그 차이
3. 시적 모티프와 변주의 문제

제3장 素月詩와 朱湘詩의 모티프 비교
1. ‘님’ 모티프: 님의 부재와 죽음의 생성
1) ‘어스름을 타고 오신’ 素月의 님
⑴ 소망하는 님
⑵ 이별하는 님
⑶ 공존의 님
2) ‘하늘에서 떠다니는’ 朱湘의 님
⑴ 합일을 이루지 못하는 님
⑵ 그리움에 포착된 님
⑶ 詩神의 化身으로서의 님
2. ‘죽음’ 모티프: 허무와 재생
1) ‘흐릿함’에 있는 素月詩의 ‘죽음’
⑴ ‘이승과 저승’의 소통
⑵ 재생에로의 순환의식
⑶ 허무에로의 함몰의식
2) 조용함에 있는 朱湘詩의 ‘죽음’
⑴ 생전에로의 回歸 의식
⑵ 靈적으로 잠드는 永眠 의식
⑶ 재생에로의 계승의식
3. ‘설화’ 모티프: 전통과 근대성
1) 한중 문화가 혼재하는 素月詩의 설화 모티프
⑴ 『춘향전』 삽입 설화 모티프
⑵ 두견제혈(杜鵑啼血) 설화 모티프
⑶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 모티프
2) 중국 전통성이 독재(獨在)한 朱湘詩의 설화 모티프
⑴ 『소군출새(昭君出塞)』 삽입 설화 모티프
⑵ 월궁항아(月宮姮娥) 설화 모티프
⑶ 월궁항아(月宮姮娥)와 견우직녀(牽牛織女) 모티프의 혼재

제4장 근대성으로서의 모티프와 素月과 朱湘의 詩史的 의미
1. 素月詩와 朱湘詩의 모티프 양상: 혼재와 단절
2. 素月詩와 朱湘詩의 모티프와 시사적 의미: 전승과 혁신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