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86266 | |
005 | 20210716103837 | |
007 | ta | |
008 | 210714s2014 ulk 000c kor | |
020 | ▼a 9791130418391 ▼g 03160 | |
035 | ▼a (KERIS)BIB000013524454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82 | 0 4 | ▼a 001.3 ▼2 23 |
085 | ▼a 001.3 ▼2 DDCK | |
090 | ▼a 001.3 ▼b 2014z33 | |
100 | 1 | ▼a Dilthey, Wilhelm, ▼d 1833-1911 ▼0 AUTH(211009)12709 |
245 | 1 0 | ▼a 정신과학 입문 : ▼b 사회와 역사 연구의 토대를 구축하기 위한 시도 / ▼d 빌헬름 딜타이 지음 ; ▼e 송석랑 옮김 |
246 | 1 9 | ▼a Einleitung in die Geisteswissenschaften : ▼b Versuch einer Grundlegung für das Studium der Gesellschaft und der Geschichte ▼g (5. unveränd. Aufl) |
260 | ▼a 서울 : ▼b 지식을만드는지식, ▼c 2014 | |
300 | ▼a 208 p. ; ▼c 19 cm | |
490 | 1 0 | ▼a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 |
650 | 0 | ▼a Humanities |
650 | 0 | ▼a Methodology |
650 | 0 | ▼a Hermeneutics |
700 | 1 | ▼a 송석랑, ▼g 宋錫朗, ▼d 1960-, ▼e 역 ▼0 AUTH(211009)4086 |
830 | 0 | ▼a 지만지 천줄읽기 |
900 | 1 0 | ▼a 딜타이, 빌헬름,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1.3 2014z33 | Accession No. 11185115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해석학의 새 이정표를 새운 딜타이의 역작. 헤겔 이후 현대철학의 지평을 확장한 책이다. 정신과학을 자연과학으로부터 명료히 분리해 냄으로써 정신과학이 자연과학만큼이나 확실한 것임을 보여 주고, 이를 통해 정신과학의 ‘인식론적 토대’를 구축할 하나의 과학을 정립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 책은 헌사와 머리말, 1권 서론의 1~10, 14, 18~19장과 2권의 1장 1절을 모두 옮겼다. 옮긴이는 발췌를 위해 생략한 부분의 내용을 해당하는 위치에 각주를 달아 정리했다.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는 오리지널 고전에 대한 통찰의 책읽기입니다. 전문가가 원전에서 핵심 내용만 뽑아내는 발췌 방식입니다.
정신과학과 자연과학
정신과학과 자연과학의 차이는 감각 경험으로 지각되는 외적 세계와, 직접적으로 경험되는 심리적 사실들에 대한 반성으로 인지되는 내적 세계라는 지각 대상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차이는 단순히 탐구 대상의 다름이나 지각과 반성의 간격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태도, 즉 대상에 대한 인간의 근원적인 관계다. 어떤 대상과 맺는 관계에서 인간 경험과의 연관이 부재한다는 사실은 자연과학의 근본 특성이다. 하지만 그 관계에서 인간의 내적 삶과의 연관이 나타나면 정신과학이 된다.
≪정신과학 입문≫의 전개 방향
딜타이는 이 책의 논의를 두 방향으로 전개한다. 첫째는 정신과학의 정당한 영역을 정위하는 동시에, 정신과학의 내용이 역사적·사회적 현실성에 대한 인식의 직접성을 통해 획득된 일반성 또는 보편성을 띠고 있음을 입증함으로써 정신과학에 과학의 지위를 부여하는 일이다. 둘째는 자연과학에서의 수학과 같이 정신과학 일반의 인식론적 토대를 구축해 줄 하나의 과학을 정립하는 것의 필요성을 입증하는 일이다. 딜타이가 주창한 그 정초(定礎)적인 하나의 과학은 종래의 형이상학과는 다르면서도 여전히 철학의 본성을 유지한다. 우리는 이것을 전통의 형이상학적 존재론에 대비해, 인식 비판에 근거한 역사주의적 생철학 혹은 해석학이라 부른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빌헬름 딜타이(지은이)
헤겔이 사망하고 2년 후인 1833년 11월 19일에 독일 비스바덴(Wiesbaden)의 비브리히(Biebrich)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비스바덴에서 김나지움을 다녔고, <희랍의 고대 문화가 젊은이들에게 미친 영향 연구>라는 졸업논문을 작성했다. 이후 부모의 권유로 1852년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신학을 전공했고, 세 학기를 다닌 후 1853년 베를린대학교로 옮겨 역사학을 공부했다. 당시 독일 대학의 주류였던 칸트는 물론 레싱, 게르비누스의 철학과 역사에도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사목 활동을 하는 부모의 소망에 부응하기 위해 신학 국가시험에 응시해 수석으로 합격한 후 잠시 설교 활동을 했다. 이후 자신의 학문적 관심을 지속하고 생활의 안정을 찾기 위해 국가 시행 교사 자격시험을 치러 베를린 소재 김나지움에서 2년 정도 교편을 잡기도 했지만 건강 문제로 포기하고, 약 6년간 역사 및 철학 연구에 매진했다. 1859년 슐라이어마허 재단의 현상 논문에 선정되면서 교사직을 사임하고 본격적으로 해석학과 철학 연구에 몰두했다. 1864년에 <슐라이어마허의 윤리학에 관한 연구>로 베를린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같은 대학에서 1865년 <도덕의식의 분석 시도>라는 연구로 교수 자격 논문이 통과되어 사강사가 되었다. 1866년에 스위스 바젤에서 처음으로 정식 교수직을 얻어 활동하기 시작한 후 독일의 킬, 브레슬라우 등으로 자리를 옮겨 교수 생활을 했다. 1882년에는 한때 헤겔이 재직했던 베를린대학 교수직을 루돌프 로체의 후임으로 물려받아 1905년 퇴임할 때까지 가르쳤다. 1883년 ≪정신과학 입문≫을 출간하면서 본격적으로 대학 교수로서 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브레슬라우 시절부터 교제해 오던 요크 백작과 철학적으로 깊이 교제했다. 베를린대학에 정착한 후 딜타이는 전형적인 학자로서 강의와 저술 작업에 매진했다. 1887년 베를린 학술원 회원으로 임명된 후 칸트 전집의 출간에 기여했다. 이후 대표 저술인 ≪체험과 시≫(1906), ≪철학의 본질≫(1907), ≪정신과학에서 역사적 세계의 건설≫(1910) 등을 발표했다. 특히 ≪체험과 시≫는 딜타이의 필명을 철학 외의 영역으로 널리 알린 작품이기도 하다. 1911년 10월 1일에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에 걸쳐 있는 남(南) 티롤 지방 슐레른 강변의 자이스(Seis)에서 병으로 사망했다.
송석랑(옮긴이)
대전고등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한 뒤, 동 대학원에서 <모리스 메를로 뽕띠에 있어서의 예술의 존재론적 정초>(1989)라는 논문으로 문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지역 신문사에서 일하다 어린이신문(충청소년신문) 편집국에서 만화를 그리고 칼럼을 쓰는 일을 끝으로 사직하고, 충남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해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은 <존재의미의 해석학적 사실성에 수반하는 언어의 변형과 전(前) 합리성의 문제: 하이데거와 메를로 뽕띠의 현상학을 중심으로>(1998)다. 이 논문은 나중에 충남대학교출판부에서 ≪언어와 합리성의 새 차원: 하이데거와 메를로 뽕띠≫(2003)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현재 목원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현상학, 시적 감각의 지성≫(2012, 한국외대출판부 HUEBOOKs), ≪메를로 뽕띠의 철학: 존재와 예술과 진리의 현상학≫(2005, 문경출판사) 등이 있으며, 번역한 글과 책으로는 <메를로 뽕띠의 ≪강의록≫ 3편>(≪메를로 뽕띠의 철학≫ 부록, 2005)과 ≪하이데거의 존재의 역사와 언어의 변형≫(1996, 자작아카데미)이 있다. 최근 몇 년간, <시(詩)로 빚은 존재론의 경지: 백무산의 경우>(2006, ≪동서철학연구≫ 42호), <역사연구의 ‘과학?예술’성과 객관성: 현상학적 역사인식을 위한 고찰>(2007, ≪인문학연구≫ 34권), <‘귀향’의 시간, ‘유랑’의 시간: 하이데거와 메를로 뽕띠의 ‘존재론적 주체론’의 토대>(2007, ≪동서철학연구≫ 46호), <두 개의 정물화, 두 개의 현상학>(2008, ≪철학과 현상학연구≫ 37집), 그리고 <시(詩): 성적 욕망의 현상학>(2008, ≪시와 인식≫ 16집), <하이데거와 메를로 뽕띠의 ‘타자’성: 시적 폭력의 극복과 재건을 위한 고찰>(2009, ≪철학과 현상학연구≫ 40집), <일상사의 방법론과 해석학적 현상학>(2011, ≪철학과 현상학연구≫ 49집), <하이데거: 현상학 확장의 우회로>(2012, ≪존재론연구≫ 30집), <뇌 과학과 철학의 접점에서>(2013, ≪철학과 문화≫ 26집)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Table of Contents
해설 지은이에 대해 요르크 폰 바르텐부르크 백작에게 1. 머리말: 이 책의 논지와 구상에 대해 2. 이 책 ≪정신과학 입문≫의 의도 3. 자연과학과 나란히 하나의 독립된 전체로서 존재하는 정신과학 4. 자연과학 전체에 대한 정신과학 전체의 관계 5. 정신과학의 분절 구조화를 위한 개관 6. 정신과학의 내용을 구성하는 재료 7. 정신과학이 사용하는 세 가지 진술 유형 8. 역사적·사회적 현실성으로부터 분리되는 개별 정신과학들 9. 역사적·사회적 현실성의 요소들인 개별적 인간존재들을 다루는 과학들 10. 역사적·사회적 현실성의 연관구조를 향한 인식의 태도 11. 개별 민족들 및 인간 일반의 자연적인 분절 구조화에 대한 과학적 연구 12. 역사철학과 사회학은 현실적인 진정성을 갖는 과학이 아니다 13. 개별 정신과학들의 점진적인 확장과 완성 14. 개별 정신과학들을 위한 인식론적 토대 구축의 필요성 15. 맺음말: ‘지금까지의 논의’[1권 서론]의 결과들로부터 생기는 과제 옮긴이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