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지역 다양성과 사회 통합. 6 : 세계 각국의 시민-정당 연계 동향과 쟁점

지역 다양성과 사회 통합. 6 : 세계 각국의 시민-정당 연계 동향과 쟁점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윤종빈, 1968-, 저 송정민, 저 김진주, 저 김경혜, 저 오상훈, 저 최지혜, 저 홍라희, 저 김지연, 저 임다원, 저 백혜민, 저 송민지, 저 정혜원, 저 정나라, 저 이인구, 저 권강현, 저 신재욱, 저 이종본, 저 정해은, 저
단체저자명
미래정치연구소, 편
서명 / 저자사항
지역 다양성과 사회 통합 : 세계 각국의 시민-정당 연계 동향과 쟁점. 6 / 윤종빈 [외] ; 미래정치연구소 편
발행사항
서울 :   푸른길,   2021  
형태사항
459 p. ; 23 cm
총서사항
미래정치연구소 학술 총서 시리즈 ;14
ISBN
9788962919066
일반주기
공저자: 송정민, 김진주, 김경혜, 오상훈, 최지혜, 홍라희, 김지연, 임다원, 백혜민, 송민지, 정혜원, 정나라, 이인구, 권강현, 신재욱, 이종본, 정해은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85511
005 20210712135601
007 ta
008 210709s2021 ulk b 000c kor
020 ▼a 9788962919066 ▼g 9334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23.042 ▼2 23
085 ▼a 323.042 ▼2 DDCK
090 ▼a 323.042 ▼b 2014 ▼c 6
245 0 0 ▼a 지역 다양성과 사회 통합 : ▼b 세계 각국의 시민-정당 연계 동향과 쟁점. ▼n 6 / ▼d 윤종빈 [외] ; ▼e 미래정치연구소 편
246 1 1 ▼a Regional diversity and social integration : ▼b trends and issues of citizens-parties linkages in the world
260 ▼a 서울 : ▼b 푸른길, ▼c 2021
300 ▼a 459 p. ; ▼c 23 cm
490 1 0 ▼a 미래정치연구소 학술 총서 시리즈 ; ▼v 14
500 ▼a 공저자: 송정민, 김진주, 김경혜, 오상훈, 최지혜, 홍라희, 김지연, 임다원, 백혜민, 송민지, 정혜원, 정나라, 이인구, 권강현, 신재욱, 이종본, 정해은
504 ▼a 참고문헌 수록
536 ▼a 이 저서는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9S1A3A2098969)
700 1 ▼a 윤종빈, ▼d 1968-, ▼e
700 1 ▼a 송정민, ▼e
700 1 ▼a 김진주, ▼e
700 1 ▼a 김경혜, ▼e
700 1 ▼a 오상훈, ▼e
700 1 ▼a 최지혜, ▼e
700 1 ▼a 홍라희, ▼e
700 1 ▼a 김지연, ▼e
700 1 ▼a 임다원, ▼e
700 1 ▼a 백혜민, ▼e
700 1 ▼a 송민지, ▼e
700 1 ▼a 정혜원, ▼e
700 1 ▼a 정나라, ▼e
700 1 ▼a 이인구, ▼e
700 1 ▼a 권강현, ▼e
700 1 ▼a 신재욱, ▼e
700 1 ▼a 이종본, ▼e
700 1 ▼a 정해은, ▼e
710 ▼a 미래정치연구소, ▼e
830 0 ▼a 미래정치연구소 학술 총서 시리즈 ; ▼v 14
900 1 0 ▼a Yoon, Jong-bin, ▼e
900 1 0 ▼a Song, Jung-min, ▼e
910 0 ▼a Korea Institute for Future Politics,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3.042 2014 6 등록번호 1118509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지역 다양성과 사회 통합’ 시리즈는, 오늘날 한국과 마찬가지로 대의민주주의의 위기와 정치사회적 양극화를 경험하고 있는 다른 국가들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기존의 대의민주주의와 관련된 학술연구들이 서유럽과 북미, 동아시아의 사례에 집중되었던 편향성에서 벗어나, 동유럽과 동남.남부 아시아의 사례에까지 분석의 범위를 확장해 왔다. 6권은 지역의 쟁점을 선거 분야, 정책.입법 분야, 여론.시민 사회.전자민주주의 분야까지 3개의 주제로 분류하여, 독자로 하여금 지역의 사회 갈등과 사회 통합 과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끔 도왔다.

세계 각국의 다양한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한국 사회 통합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다


올해로 6번째 발간되는 ‘지역 다양성과 사회 통합’ 시리즈는, 오늘날 한국과 마찬가지로 대의민주주의의 위기와 정치사회적 양극화를 경험하고 있는 다른 국가들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본 시리즈는 기존의 대의민주주의와 관련된 학술연구들이 서유럽과 북미, 동아시아의 사례에 집중되었던 편향성에서 벗어나, 동유럽과 동남·남부 아시아의 사례에까지 분석의 범위를 확장해 왔다. 이와 같은 분석범위의 확장은, 연구자들로 하여금 오늘날 민주주의 국가들이 경험하고 있는 사회 갈등에 대해 보다 다층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였다. 각국은 하나의 변수로 설명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형태의 사회 갈등을 경험하고 있고, 그에 대처하는 과정 또한 각국의 민주주의 역사와 사회경제적 환경에 따라 매우 상이하게 나타난다. 본 시리즈가 지난 7년간 축적한 각국의 사회 갈등과 통합에 대한 자료는 이념 갈등, 지역 갈등, 성별 갈등, 세대 갈등, 경제적 불평등, 이민자 수용 문제까지 다양한 사회 갈등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는 한국의 사회 통합을 위한 귀중한 반면교사의 역할을 하였다.
『지역 다양성과 사회 통합 VI』은, 기존의 시리즈가 지향하는 문제의식을 이어받아 연구의 분석범위를 더욱 확장하였다. 본 시리즈가 기존에 다루고 있던 동아시아, 동남·남부 아시아, 유럽, 북미 지역 국가에 더해 중남미 지역 국가들과 오세아니아 국가들까지 분석에 포함하였다. 중남미 지역은 대의민주주의의 위기를 가장 생생하게 보여 주는 지역으로, 포퓰리즘, 범죄, 부패 등 다른 지역에서 충분히 다뤄지지 못한 사회 갈등의 원인에 대해 새로운 분석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이와 같은 분석범위의 확장에 더해, 『지역 다양성과 사회 통합 VI』은 이전의 시리즈보다 세분화된 주제 분류로 각 지역의 동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편은 지역의 쟁점을 선거 분야, 정책·입법 분야, 여론·시민 사회·전자민주주의 분야까지 3개의 주제로 분류하여, 독자로 하여금 지역의 사회 갈등과 사회 통합 과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끔 도왔다.
본 학술도서는 2019년 9월 말부터 2020년 8월 말에 이르는 약 1년의 기간 동안 나타난 각 지역의 동향과 쟁점에 대해 다루고 있다. 먼저 제1부에서는 일본, 대만, 필리핀의 사례에 주목하여 동아시아의 지역별 동향 및 쟁점을 다룬다. 제2부에서는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의 사례에 주목하여 동남아시아와 남부아시아의, 제3부에서는 영국, 프랑스, 독일, 스페인 등의 서유럽 국가들과 유럽연합의, 제4부에서는 폴란드, 헝가리, 우크라이나, 에스토니아 등 동유럽 국가들과 덴마크의, 제5부에서는 미국과 캐나다의, 제6부에서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멕시코, 볼리비아 등 중남미 국가들의, 마지막으로 제7부에서는 호주와 뉴질랜드의 동향과 정치적 쟁점을 살펴보았다.
『지역 다양성과 사회 통합 Ⅵ』은 2014년부터 명지대학교 미래정치연구소가 펴낸 총서 중 14번째에 해당한다. 한국의 대의민주주의 위기와 사회 갈등을 고민하는 연구자들과 일반 독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을 내면서

제1부 아시아 I의 동향 및 쟁점: 집권세력의 코로나19 대응과 무기력한 야당
제1장 아시아 I의 개관 및 쟁점
제2장 아시아 I의 주요 동향

제2부 아시아 II의 동향 및 쟁점: 코로나19의 확산 속에 위협받는 시민적 자유와 민주주의
제1장 아시아 II의 개관 및 쟁점
제2장 아시아 II의 주요 동향

제3부 유럽 I의 동향 및 쟁점: 집권세력의 분열과 제3당의 도전
제1장 유럽 I의 개관 및 쟁점
제2장 유럽 I의 주요 동향

제4부 유럽 II의 동향 및 쟁점: 민주주의의 후퇴, 극우정당, 그리고 시민들의 저항
제1장 유럽 II의 개관 및 쟁점
제2장 유럽 II의 주요 동향

제5부 북미의 동향 및 쟁점: 트럼프와 트뤼도, 격변의 시기를 맞이한 미국과 캐나다
제1장 북미의 개관 및 쟁점
제2장 북미의 주요 동향

제6부 남미의 동향 및 쟁점: 계속되는 경제·사회적 불안과 좌파진영의 약진
제1장 남미의 개관 및 쟁점
제2장 남미의 주요 동향

제7부 오세아니아의 동향 및 쟁점: 여당의 높은 인기, 그리고 기후 변화 정책
제1장 오세아니아의 개관 및 쟁점
제2장 오세아니아의 주요 동향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