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85497 | |
005 | 20210713112234 | |
007 | ta | |
008 | 210709s2021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86355121 ▼g 1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1.334 ▼2 23 |
085 | ▼a 371.334 ▼2 DDCK | |
090 | ▼a 371.334 ▼b 2021z3 | |
100 | 1 | ▼a 김민선 |
245 | 2 0 | ▼a (비대면 온라인 강의를 위한) 온택트 퍼실리테이션 / ▼d 김민선, ▼e 김진규, ▼e 이일권 지음 |
246 | 1 1 | ▼a On-tact facilitation |
260 | ▼a 서울 : ▼b 북페리타, ▼c 2021 | |
300 | ▼a 191 p. : ▼b 천연색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190-191 | |
700 | 1 | ▼a 김진규, ▼e 저 |
700 | 1 | ▼a 이일권,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334 2021z3 | 등록번호 1118509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는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강의장이 없는 시대를 맞이했다. 학습만족도와 학습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한데, 가상 공간에서의 수업으로 인해 비대면 교육의 제한적인 상호작용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수자는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 이에 본 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최적의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소개한다.
전 세계를 휩쓴 코로나19의 대유행이 우리의 일상을 바꿔 나가고 있다. 특히 교수자인 우리는 그 변화의 쓰나미를 실감하고 있다.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과 ‘재택근무’로 인해 오프라인 교육이 온라인으로 옮겨 가면서, 교수자는 방구석에 있는 학습자와 소통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교수자가 온택트 시대를 주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간의 변화에 따른 플랫폼에 익숙해져야 한다. 또한 다양한 IT기술의 활용과 함께 온택트 공간에서 활용 가능한 교수법을 새로이 적용해야 한다.
1장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 트렌드와 함께 온택트 퍼실리테이션 적용을 위한 교수자의 자세에 대해 다루고 있다. 코로나19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준비 여부와 상관없이 한순간에 온택트 교육의 시대로 들어서게 만들었다. 코로나19에 대응하면서 교육 분야는 대부분의 수업이 온라인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되면서 시공간의 경계를 초월한 학습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로 인해 교수자에게는 온택트 교육의 기술, 즉 에듀테크(edutech) 스킬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되었고, 학습자는 본인의 IT 디바이스를 소유해야 BYOD(Bring Your Own Device) 학습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코로나19 이후 대면 수업이 다시 이루어진다고 해도, 교수자는 온라인 자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 온라인상에서 소통이 유지되는 수업 형태가 지속될 것이다. 이러한 디지털 기술을 사회 전반에 적용하여 전통적인 사회 구조를 혁신시키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교육 분야에서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2장에서는 온택트 퍼실리테이션을 위한 준비 단계와 사전 수업설계를 단계별로 다루었다. 온택트 교육은 오프라인과 달리 오감을 사용하는데, 오프라인 교육과 달리 많은 제약이 있다. 오감은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5가지 감각을 말한다. 기업교육 현장의 예를 들어보자. 수업 시작 전에 강의장에는 음악이 잔잔히 흐르고, 커피 향도 함께 번져 흐른다. 가벼운 다과를 즐기며, 교수자는 오늘 교육에서 함께 할 여러 학습자와 인사를 나누거나 스킨십을 한다. 이미 수업을 하기 전부터 다양한 감각이 자극되고, 자극된 감각은 감정과 에너지에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온택트 교육은 오로지 시각과 청각에 의지하기에 학습자 참여와 촉진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처럼 온택트 수업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과 온택트 교육의 차이를 먼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외에도 온택트 교육을 위한 플랫폼과 여러 하드웨어 장비도 필요하며, 교수자가 온라인 교수매체를 사용하여 강의내용을 전달하기 때문에 교수매체의 기능을 능숙하게 다룰 수 있어야 한다. 모든 학습자는 화면상의 교수자의 모든 움직임을 보고 있기 때문에 수업의 모든 요소가 세밀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통한 혁신적 변화는 학습자들에게 무한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지만 교수자에게는 도전해야 할 많은 과제이기도 하다
3장에서는 교수자가 학습자의 에너지 레벨을 높여 학습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여러 활동을 소개하고 있다. 교수자 입장에서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도한다는 것은 중요하면서도 어려운 일이다. 오프라인이든 온라인이든 ‘배움’이라는 것 자체가 재미와 흥미보다 더 높은 수준의 노력을 요구하는 힘든 과정이기 때문이다. 모든 교수자는 수업에서 자신이 가르쳐야 하는 지식이나 정보를 의미 있게 전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이러한 교수자의 강박관념으로 인해 자칫 잘못하면 수업이 지나치게 주입식이거나 정적인 분위기로 진행될 수 있다. 특히, 학습의지가 낮고, 수업에 흥미가 적은 학습자들은 온택트 교육에 피로감을 느끼고 하나둘씩 수업에 소극적으로 참여하게 되고 지루함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정적인 수업의 특성은 교수자 중심의 수업으로 진행되면서 학습자 상호 간 소통이 적거나 없다는 점이다. 온택트 퍼실리테이션의 초점은 학습자의 배움과 경험을 향한다. 온택트 교육도 결국은 ‘학습자가 얼마나 주도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할 것인가’가 중요할 수밖에 없다. 수업을 시작하기 전 학습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학습자에게 이 수업이 왜 필요할까?’, ‘그들은 어떤 마음으로 이 수업을 들을까?’ 교수자가 학습자의 마음을 이해하고, 소통을 촉진할 수 있다면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 상호 간의 연결을 통해 에너지 레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4장에서는 온택트 교육 시 학습자의 몰입과 촉진을 가져오기 위한 교수법을 소개하고 있다. 온택트 교육은 오프라인 교육과는 접근이 달라야 한다. 온택트 교육에서 더욱 필요한 것은 학습자들과의 소통이다. 학습자들이 내 수업을 지켜보는 관객이 아니라 주인공이 되어 학습자들의 참여와 소통으로 수업을 만들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가급적 개념 이해 및 지식 정리를 위한 내용은 플립러닝 형태의 사전 학습자료 배부하여 요약 전달하고 온택트 교육 중에는 학습자들이 다양하게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릴 수 있도록 한다. 코로나19 확산과 같은 특수한 상황은 화상회의 플랫폼에 대한 폭넓은 수요를 창출하였고, 이 화상회의 플랫폼은 몇몇 사람이 쓰는 특별한 기술이 아닌 일상 기술로서 자리 잡고 있다. 아울러 디지털 전환 시대에 지리적 경계를 넘어 학습과 소통을 위한 범용 학습도구로서 활용성 또한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학습자들의 주도적인 참여와 몰입을 이끌 수 있는 방향으로 온택트 교육을 설계해 나간다면 지루하지 않고 즐거운 수업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이고 학습자 간 상호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교수자는 온택트 교육 환경에서 다양한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흔히 “잘 가르쳐서 잘 배웠다”라고 쉽게 말하지만, 그것은 결코 100% 참은 아니다. 학습자는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경제적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학습효과를 결정 짓는다. 날씨가 몹시 덥거나 추워서, 함께 학습하는 사람이 마음에 들거나 들지 않아서 등을 생각해 보면 학습 결과는 얼마나 다면적이고 복합적인가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수자가 어떻게 가르치고 전달하느냐에 따라 다른 어떤 요인들보다 학습 효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 학창시절을 돌이켜 보면, 좋아하는 선생님의 수업 시간은 늘 기다려지고, 더 몰입하게 되고, 시험도 잘 본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이다. 교수자의 교수방법은 학습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교수자로서의 교수법 연구는 지속되어야 한다. 특히 본 도서에서는 온택트 교육에 적합한 환경 준비, 사전 수업설계 그리고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스킬들을 제시하였기에 많은 교수자들에게 의미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진규(지은이)
하림그룹 ㈜선진 경영지원실 인재개발팀 팀장으로 채용, 교육, 평가, 보상, Global HR을 맡고 있다. 주중에는 직장인으로, 주말에는 경영학 박사 과정 학생으로 흔히 말하는 셀러던트다. 글로벌 기업의 HR과 컨설팅 회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인사관리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할 온택트 교육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30 Facilitation Skills for your lecture>, <NCS 조직이해능력>, <NCS 정보능력>이 있다.
이일권(지은이)
한국리더십센터 공공대학컨설팅팀 선임연구원을 거쳐 안양대학교 커리어개발센터 경력개발지도교수로 취업 콘텐츠 개발, 강의, 컨설팅을 담당했다. 그 후 한국리더십센터 퍼실리테이터로 활동하며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실천신학석사(Th.M) 학위 취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적자원개발 전공으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현재는 캐나다 밴쿠버에 살면서 온택트 퍼실리테이터로 개인과 조직의 성장과 성숙을 돕고 있다.
김민선(지은이)
하림그룹 ㈜선진 경영지원실 인재개발팀 Learning & Development 담당으로, 국내와 해외법인의 인재육성을 책임지고 있다. 국제공인 버추얼 트레이닝 퍼실리테이터(ATD Certified Virtual Training Facilitator)로 온택트 교수법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주한외국기업 인사관리협회(KOFEN HR) 학술분과 부위원장으로 글로벌기업 인사담당자 학술모임을 주관하고 있다. 서울시립대 경영학부를 졸업하였고, 하버드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in Action>과정을 이수했다.

목차
Chapter 1 강의장이 없는 시대, 교수자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1. 포스트코로나, 언택트를 넘어 온택트의 시대 2.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4가지 교육 트렌드 3. 온택트 퍼실리테이션을 준비하자 [사례] 온택트 교육을 위한 자기점검 [사례] 강사가 피해야 할 치명적인 실수 22가지 [인터뷰] KT그룹 (주)kt ds 기업문화TF 이승복 차장 [인터뷰] 오리온 교육팀 최락구 팀장 Chapter 2 온택트 수업설계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1. 온택트 교육을 이해하기 위한 5가지 핵심 포인트 2. 온택트 교육 환경을 위한 6가지 사전 준비 3. 온택트 수업설계 방법론 ‘ASSURE’ 모델 4. 온택트 수업설계를 위한 3가지 전략 5. 온택트 교육의 2가지 슬라이드 구성전략 6. Learning PD의 3가지 역할 7. 완벽한 강의를 위한 사전 리허설 4단계 프로세스 [사례] 웹캠 없는 온택트 교육은 정말 불가능할까? [사례] 노트북 하나만 가지고 온택트 교육을 해도 될까? [사례] 온택트 교육의 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가상 스튜디오 구축 [인터뷰] KOICA 인재경영실 강은주 과장 [인터뷰] 중앙부처 교육담당 사무관 Chapter 3 온택트 퍼실리테이션의 핵심! 어떻게 학습자 모드로 ‘On’ 할 것인가? 1. 에너지 레벨을 높여야 하는 3가지 이유 2. 온택트 교육의 기술적 문제와 4단계 대응전략 3. 팀 기반 학습(TBL)과 성공전략 4. 학습자 모드로 ''On''! [사례] 쉬는 시간 활용 방법: 3분 요가 스트레칭 [사례] 온택트 교육은 항상 디지털 도구만 사용할까? [인터뷰] VF Korea 인사팀 최고은 부장 [인터뷰] Azbil Korea 인사팀 공현정 팀장 Chapter 4 참여와 몰입을 어떻게 촉진할 것인가? 1. 참여와 몰입을 위한 접근법 [사례] 학습전이는 ‘경로’와 ‘상황’을 설계하는 것이다. [인터뷰] 한국리더십센터 정병창 교수 [인터뷰] 리더십 퍼실리테이터 함병우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