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하멜 표류기 : 초호화 양장 에디션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Hamel, Hendrik, 1630-1692 유동익, 柳東益, 1969-, 역
서명 / 저자사항
하멜 표류기 : 초호화 양장 에디션 / 헨드릭 하멜 지음 ; 유동익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더스토리 :   미르북컴퍼니,   2020  
형태사항
143 p. : 삽화 ; 20 cm
원표제
Journael van de Ongeluckige Voyagie van't Jacht de Sperwer
ISBN
9791164451883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85412
005 20210712102919
007 ta
008 210709s2020 ulka 000c kor
020 ▼a 9791164451883 ▼g 03850
035 ▼a (KERIS)BIB000015501515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dut
082 0 4 ▼a 951.902 ▼a 915.19042 ▼2 23
085 ▼a 953.05 ▼2 DDCK
090 ▼a 953.05 ▼b 2020z27
100 1 ▼a Hamel, Hendrik, ▼d 1630-1692 ▼0 AUTH(211009)22672
245 1 0 ▼a 하멜 표류기 : ▼b 초호화 양장 에디션 / ▼d 헨드릭 하멜 지음 ; ▼e 유동익 옮김
246 1 9 ▼a Journael van de Ongeluckige Voyagie van't Jacht de Sperwer
260 ▼a 서울 : ▼b 더스토리 : ▼b 미르북컴퍼니, ▼c 2020
300 ▼a 143 p. : ▼b 삽화 ; ▼c 20 cm
700 1 ▼a 유동익, ▼g 柳東益, ▼d 1969-, ▼e▼0 AUTH(211009)17446
900 1 0 ▼a 하멜, 헨드릭,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 2020z27 등록번호 111850832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7-03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1653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서기였던 하멜은 스페르베르 호를 타고 항해하던 중, 폭풍우를 만나 제주도 해안가에서 난파당했다. 난파 당시 선원 64명 중 생존자는 36명뿐이었다. 그들은 즉시 조정에 보고되어 한양으로 압송당했고, 이후 오랜 세월 조선에서 억류 생활을 했다.

하멜을 포함한 8명은 약 13년 후 극적으로 탈출해 본국으로 돌아갔다. 그리고 조선에 억류된 동안 동인도회사에 밀린 임금을 청구하기 위해 쓴 것이 바로 <하멜 표류기>로 알려진 이 '하멜 보고서'이다. 원래의 저술 의도는 비록 임금 청구서였지만, 그 내용 속에는 억류 당시 하멜이 직접 보고 듣고 겪었던 17세기 조선의 풍습·지리적 정보·생활상 등 귀중한 한국사 기록이 담겨 있다.

더스토리의 <하멜 표류기>는 네덜란드판 '하멜 보고서'(1668년)를 번역판본으로 삼아 완역했다. 또한 당시 책에 수록되었던 일러스트와 1668년의 오리지널 표지디자인을 살려 독자들에게 읽는 재미뿐 아니라 보는 즐거움까지 전해준다.

하멜의 필사본 원고를 번역판본으로 삼은 네덜란드어 완역판
국내 최초 1668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 《하멜 표류기》


1653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서기였던 하멜은 스페르베르 호를 타고 항해하던 중, 폭풍우를 만나 제주도 해안가에서 난파당했다. 난파 당시 선원 64명 중 생존자는 36명뿐이었다. 그들은 즉시 조정에 보고되어 한양으로 압송당했고, 이후 오랜 세월 조선에서 억류 생활을 했다.
하멜을 포함한 8명은 약 13년 후 극적으로 탈출해 본국으로 돌아갔다. 그리고 조선에 억류된 동안 동인도회사에 밀린 임금을 청구하기 위해 쓴 것이 바로 《하멜 표류기》로 알려진 이 ‘하멜 보고서’이다. 원래의 저술 의도는 비록 임금 청구서였지만, 그 내용 속에는 억류 당시 하멜이 직접 보고 듣고 겪었던 17세기 조선의 풍습·지리적 정보·생활상 등 귀중한 한국사 기록이 담겨 있다.
더스토리의 《하멜 표류기》는 네덜란드판 ‘하멜 보고서’(1668년)를 번역판본으로 삼아 완역했다. 또한 당시 책에 수록되었던 일러스트와 1668년의 오리지널 표지디자인을 살려 독자들에게 읽는 재미뿐 아니라 보는 즐거움까지 전해준다.


유럽인의 눈에 비친 조선 사회, 조선의 이야기

하멜은 약 13년간의 여정과 사건을 날짜와 시간까지 정확하게 기록하고 있다. 그것은 하멜이 본업인 서기로서 어떠한 형태로든 기록을 계속했음을 보여준다. ‘하멜 보고서’의 원제는 으로, 이는 ‘스페르베르 호의 불쌍한 항해 일지’라는 뜻이다. 하멜 일행은 꼼꼼한 기록을 바탕으로 자신들이 받아야 할 임금을 정식 청구했으나, 몇 차례의 거절 끝에 결국 그들이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로부터 받은 돈은 요구했던 액수에 미치지 못하는 위로금 수준이었다고 한다. 그렇게 보고서로 쓰인 이 글은 원래의 의도와는 다르게 출판업자들의 손에 들어가 책으로 출간되었고, 낯선 동양에 대한 이야기는 서양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해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일본어 등으로 번역되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헨드릭 하멜(지은이)

1630년 네덜란드 호린험에서 태어나 1950년에 동인도연합회사(VOC) 소속 선박의 포수로 첫 승선한 후 빠르게 승진해 서기와 보좌관에 이어 선박의 항해 유지와 재정을 맡는 회계원이 되었다. 1653년 스페르베르호에 회계원으로 승선해 바타비아(현재의 자카르타)를 떠나 일본의 나가사키로 가던 중 폭풍우로 인해 제주도에 표착했다. 1654년에 서울로 송환되었다가 1656년 전라병영으로 이송되어 10년간 억류되어 살던 중, 1666년 일곱 명의 동료들과 일본으로 탈출했다. 하멜은 조선에 억류되었던 13년간 밀린 월급을 받기 위해 보고서를 VOC에 제출하였는데, 이것이 오늘날 우리에게 『하멜 표류기』로 알려지게 되었다. 1692년에 고국 네덜란드에서 생을 마감했다.

유동익(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네덜란드어를 전공하고, 네덜란드 레이던 대학교에서 법학 석사를 거쳐 언어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어요. 한국외국어대학교와 네덜란드 교육 진흥원에서 네덜란드어 강의를 했으며, 지금은 네덜란드 가톨릭 방송국 한국 특파원으로 일하고 있지요. 또, 지엔디정보센터에서 해외 연수를 위한 공무원과 유학 준비생들에게 네덜란드어를 가르치면서, 네덜란드 작품을 우리나라에 소개하고 있답니다. 그동안 옮긴 책으로 『레닌그라드의 기적』, 『북풍마녀』, 『세계 어린이 인권 여행』, 『너도 화가 났어?』, 『뚱딴지같은 내 마음 왜 이럴까?』, 『나이팅게일 목소리의 비밀』, 『고슴도치의 소원』 외 여러 권이 있어요.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스뻬르베르 호의 항해 일지''를 옮기며 - 류동익
하멜 보고서 - 헨드릭 하멜
작품 해설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갑동 (2022)
정만조 (2022)
서울역사박물관 (2022)
三品彰英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