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체계 기능 언어학의 이해

체계 기능 언어학의 이해 (Loan 1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Eggins, Suzanne 김서형, 1972-, 역 유혜원, 劉惠援, 1972-, 역 이동혁, 李東赫, 1973-, 역 이유진, 역 정연주, 역
Title Statement
체계 기능 언어학의 이해 / 수잔 에긴스 지음 ; 김서형 [외]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역락,   2021  
Physical Medium
813 p. ; 24 cm
Varied Title
An introduction to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2nd ed.)
ISBN
9791167420039
General Note
공역자: 유혜원, 이동혁, 이유진, 정연주  
부록: Crying baby text에 대한 분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795-804)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Systemic grammar Functionalism (Linguistics) Discourse analysi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85051
005 20210707110032
007 ta
008 210706s2021 ulk b 001c kor
020 ▼a 9791167420039 ▼g 93700
035 ▼a (KERIS)BIB000015871580
040 ▼a 241026 ▼c 241026 ▼d 211009
041 1 ▼a kor ▼a eng ▼h eng
082 0 4 ▼a 415 ▼a 410/.1/8 ▼2 23
085 ▼a 415 ▼2 DDCK
090 ▼a 415 ▼b 2021
100 1 ▼a Eggins, Suzanne
245 1 0 ▼a 체계 기능 언어학의 이해 / ▼d 수잔 에긴스 지음 ; ▼e 김서형 [외]옮김
246 1 9 ▼a An introduction to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g (2nd ed.)
246 3 9 ▼a Introduction to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260 ▼a 서울 : ▼b 역락, ▼c 2021
300 ▼a 813 p. ; ▼c 24 cm
500 ▼a 공역자: 유혜원, 이동혁, 이유진, 정연주
500 ▼a 부록: Crying baby text에 대한 분석
504 ▼a 참고문헌(p. 795-804)과 색인수록
546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650 0 ▼a Systemic grammar
650 0 ▼a Functionalism (Linguistics)
650 0 ▼a Discourse analysis
700 1 ▼a 김서형, ▼d 1972-, ▼e▼0 AUTH(211009)47441
700 1 ▼a 유혜원, ▼g 劉惠援, ▼d 1972-, ▼e▼0 AUTH(211009)30284
700 1 ▼a 이동혁, ▼g 李東赫, ▼d 1973-, ▼e▼0 AUTH(211009)138746
700 1 ▼a 이유진, ▼e
700 1 ▼a 정연주, ▼e
900 1 0 ▼a 에긴스, 수잔,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5 2021 Accession No. 111850742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5-24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1persons reqested this item)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체계 기능 언어학의 주요 개념, 원리와 기술을 학생들에게 소개하는 책이다. 그저 또 하나의 추상적인 문법 모델을 제안한 것으로 그치지 않고, 제안한 문법 모델이 실제 담화와 텍스트를 분석하는 데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음을 훌륭히 증명해내고 있다.

다섯 명의 역자들은 소속한 대학에서 한국어와 영어교육을 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에게 한국어의 체계와 사용 원리를 가르치고 있다. 각자가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기존의 언어학 교재에 담긴 지식에 학습자가 흥미롭게 접근하기가 어렵고, 애써 배운 언어학 지식을 곧바로 그들의 언어생활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호소를 자주 들어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능 언어학으로 눈을 돌렸고, 수잔 에긴스(Suzanne Eggins)의 󰡔체계 기능 언어학의 이해󰡕를 선택했다.
모두 11장으로 구성되어 체계 기능 언어학의 이론을 개관하고, 그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텍스트를 분석하고 있다.
1장에서는 처음 체계 기능 언어학을 접하는 입문자에게 체계 기능 언어학의 얼개를 소개하면서 동시에 2장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풀이할 체계 기능 언어학의 주요한 용어와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그리고 사람들은 어떻게 언어를 사용하는지, 또 언어는 그런 사용의 목적을 위해 어떻게 구조화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텍스트의 예로써 개괄적인 답을 내놓았다.
2장에서는 조화(texture), 응집성(cohesion), 일관성(coherence)을 통해 텍스트가 될 수 있는 자격을 논의하고 있다. 특히 지시적, 어휘적, 논리적 연결 관계로 일관되고 통합적인 의미 단위로 묶는 내적 응집성을 조건으로 삼아 텍스트가 무엇인지 그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3장과 4장에서는 텍스트가 어떻게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3장에서는 장르를 중심으로 문화적 맥락에 토대하여 텍스트가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을 살피고 있고, 4장에서는 사용역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텍스트가 상황 맥락과 어떻게 일관성을 유지하는지를 논하고 있다.
5장에서는 문법의 기능과 문법의 부호화를 살펴봄으로써 어휘 문법을 탐색하고 있다.
6장에서는 우리가 대인관계적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절을 어떻게 구조화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절의 서법 구조를 다룬다.
7장에서는 한 기호가 다른 기호들과 계열적이고 결합적인 관계를 맺음으로써 어떻게 의미를 얻게 되는지를 살펴본다.
8장에서는 타동성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어 관념적 의미를 다루고 있다.
그리고 9장은 8장에 이어서 계속해서 관념적 의미를 다루고 있으나, 9장의 관념적 의미는 절 복합체의 논리 의미적 시스템에 중점을 두어 논의된다.
10장에서는 텍스트적 의미를 다루게 되는데, 절이 하나의 메시지를 조직하게 되는 구조 배열을 기술하면서 이때 테마 시스템이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11장에서는 10장까지 제안된 언어 모델을 요약하고, 언어에 대한 체계 기능적 접근법이 텍스트를 분석하는 데 어떻게 응용되는지를 자세히 살피고 있다.
이 책은 체계 기능 언어학의 주요 개념, 원리와 기술을 학생들에게 소개하고자 기획된 만큼 체계 기능 언어학을 처음 접근하고자 하는 학부생과 대학원생들에게 도움이 될 만하다. 무엇보다 이 책이 그저 또 하나의 추상적인 문법 모델을 제안한 것으로 그치지 않고, 제안한 문법 모델이 실제 담화와 텍스트를 분석하는 데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음을 훌륭히 증명해 냈기 때문에 독자 자신의 언어생활을 성찰적으로 분석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공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수잔 에긴스(지은이)

호주의 언어학자로 현재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NU)에서 근무하고 있다. 체계 기능 언어학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사회적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비격식적 대화 분석 연구를 통해 실질적 언어 분석 틀을 마련하였다. 최근에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언어 자료를 분석하는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의료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지침서를 배부하기도 하였다. 대표 저서 Eggins, S. (2004). An introduction to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2nd ed.). London: Continuum. Eggins, S. & Slade, D. (2005). Analysing Casual Conversation. Equinox: London. Eggins, S., Slade, D. & Geddes, F. (Eds.) (2016). Effective Communication in Clinical Handover. Boston: Mouton de Groyter.

유혜원(옮긴이)

1972년 경남 함양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여 국어학이라는 놀라운 학문을 접하고, 국어학자가 되겠다는 포부로 고려대학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교양 과목과 전공 과목을 강의하고,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의 연구교수를 거치면서, 교육과 연구 경험을 쌓고, 현재는 단국대학교 교양학부에 재직 중이다. 교양학부에서 학생들에게 글쓰기와 말하기를 강의하면서 우리말의 다양한 표현 방법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생각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학생들에게 가르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강의를 하면서 말하기라는 것이 인간의 삶을 얼마나 풍부하게 만들 수 있는가를 체험하고 있다. 저자처럼 말하기를 통해 힘을 얻는 사람도, 또 표현보다는 생각의 힘이 큰 사람도 경험과 노력을 통해서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믿기에, 많은 사람들이 세상과 잘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이 책이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이동혁(옮긴이)

부산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김서형(옮긴이)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전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강의연구전임강사 현 경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이유진(옮긴이)

강원대학교 영어교육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정연주(옮긴이)

홍익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제2판 서문
감사의 글
역자 서문

제1장 체계 기능 언어학의 개요
제2장 텍스트란 무엇인가?
제3장 장르: 텍스트에서 문화의 맥락
제4장 사용역: 텍스트의 상황 맥락
제5장 어휘 문법에 대한 소개
제6장 대인 관계적 의미로서의 문법: 무드
제7장 시스템: 선택으로서의 의미
제8장 경험적 의미의 문법: 타동성
제9장 논리적 의미의 문법: 절 복합체
제10장 텍스트적 의미의 문법: 테마
제11장 텍스트 설명하기: SFL의 적용

부록: Crying baby text에 대한 분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