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84735 | |
005 | 20210702100322 | |
007 | ta | |
008 | 210701s2018 ulka 001c kor | |
020 | ▼a 9791161752143 ▼g 94000 | |
020 | 1 | ▼a 9788960772106(세트) |
035 | ▼a (KERIS)BIB000014956570 | |
040 | ▼a 247009 ▼c 247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005.1 ▼2 23 |
085 | ▼a 005.1 ▼2 DDCK | |
090 | ▼a 005.1 ▼b 2018z32 | |
100 | 1 | ▼a Pathania, Nikhil |
245 | 2 0 | ▼a (초보를 위한) 젠킨스 2 활용 가이드 : ▼b 지속적인 통합과 배포 / ▼d 니킬 파타니아 지음 ; ▼e 이상욱 옮김 |
246 | 1 9 | ▼a Learning continuous integration with Jenkins : ▼b a beginner's guide to implementing continuous integration and continuous delivery using Jenkins 2 ▼g (2nd ed.) |
260 | ▼a 서울 : ▼b 에이콘, ▼c 2018 | |
300 | ▼a 386 p. : ▼b 삽화 ; ▼c 24 cm | |
490 | 1 0 | ▼a Acorn+Packt. technical book 시리즈 |
500 | ▼a 부록: 그 밖의 도구와 설치 방법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이상욱, ▼e 역 |
830 | 0 | ▼a Acorn+Packt. technical book 시리즈 |
900 | 1 0 | ▼a 파타니아, 니킬,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005.1 2018z32 | 등록번호 12125758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최근 소프트웨어 개발 업계에서 지속적인 통합을 위해 사용하는 도구 중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젠킨스이다. 젠킨스는 최근 2.0 버전의 배포를 통해 또 한 번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젠킨스 2.0 버전에서 새롭게 추가된 기능을 소개하고, 리눅스와 도커와 같이 다양한 환경에서 젠킨스를 설정하는 방법을 다룬다. 이 책에 있는 다양한 예시를 통해 실전에서 지속적인 통합 및 배포를 설정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 젠킨스를 설정하는 가장 유명한 방법
- Pipeline as Code, 멀티브랜치 파이프라인 등 최신 젠킨스 기능 소개
- 보안을 위한 젠킨스 사용자, 프로젝트 및 권한 관리
- 젠킨스 플러그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 젠킨스 블루 오션을 활용한 CI 파이프라인 생성
- 도커와 젠킨스를 활용한 분산 빌드 팜 생성
- 젠킨스를 이용한 CI와 CD 구축
- CD와 배포 자동화(Continuous Deployment)의 차이점
- CI 개념 이해
★ 이 책의 대상 독자 ★
이 책은 애자일, CI, CD 경험이 거의 없는 독자를 대상으로 썼다. 관련 분야를 처음 접하거나 CI와 CD를 이용해 생산성 향상과 배포 시간 단축을 얻고 싶은 독자에게 좋은 입문서가 될 것이다.
빌드와 릴리스 담당자나 데브옵스 엔지니어, SCM(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엔지니어, 개발자, 테스트 담당자, 프로젝트 관리자 모두 이 책에서 유용한 내용을 얻을 것이다. 젠킨스를 이용해 CI를 구성해본 독자라면 CD 구성 방법에 관한 내용을 이 책에서 배울 수 있다.
이번에 발행된 2판은 초판의 내용과 많은 부분 다르다. 특히 코드로 동작하는 파이프라인(Pipeline as Code), 멀티브랜치 파이프라인, 젠킨스 블루오션(Blue Ocean), 도커를 이용한 분산 빌드 서버 등의 유용한 내용을 많이 추가했다.
★ 이 책의 구성 ★
1장, '지속적 통합의 개념'에서는 최근 유행하는 방법론이 어떻게 CI로 이어졌는지를 설명한다. 그런 다음 CI를 구성하는 방법과 다양한 요구 조건을 다룬다.
2장, '젠킨스 설치'에서는 젠킨스를 도커(Docker)를 비롯한 다양한 환경에 설치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3장, '새로운 젠킨스'에서는 젠킨스 2.x 버전 인터페이스의 개요와 주요 기능을 다루고, 새로 추가된 기능을 살펴본다.
4장, '젠킨스 설정'에서는 젠킨스 관리자가 알아야 하는 부분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5장, '분산 빌드'에서는 도커를 이용한 빌드 환경의 설정 방법을 배우고 새로운 머신을 젠킨스 슬레이브(slave)로 추가하는 방법을 다룬다.
6장, '소나큐브와 아티팩토리 설치'에서는 소나큐브(SonarQube)와 아티팩토리(Artifactory)를 CI에 적용하기 위해 설치하고 설정하는 방법을 배운다.
7장, '젠킨스를 이용한 CI'에서는 CI의 개념과 젠킨스를 이용해 이를 구성하는 방법을 데브옵스 도구와 연계해 설명한다.
8장, '젠킨스를 이용한 CD'에서는 CD의 개념과 젠킨스를 이용해 이를 구성하는 방법을 데브옵스 도구와 연계해 설명한다.
9장, '젠킨스를 이용한 배포 자동화'에서는 CD와 배포 자동화(Continuous Deployment)의 차이점을 다룬다. 또한 젠킨스를 이용해 배포 자동화 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부록, '그 밖의 도구와 설치 방법'에서는 외부에서 젠킨스 서버에 접근하는 방법과 깃(Git)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니킬 파타니아(지은이)
현재 덴마크의 지멘스 가메사 재생 에너지(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사에서 데브옵스 업무를 하고 있으며, 데브옵스 분야에서 10년 이상의 경력을 쌓았다.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 분야에서 SCM 엔지니어로 경력을 시작했고, 이후에 데브옵스 및 자동화 분야에서 다양한 도구와 기술을 익혔다. 경력을 쌓는 동안 여러 IT 프로젝트에서 지속적 통합 및 인도 솔루션을 설계하고 구현했으며, 수작업을 개선하고 자동화하는 방법을 찾는 일을 즐긴다. 취미로는 독서와 글쓰기, 명상 등이 있고, 최근에는 클라이밍에 빠져 있으며, 하이킹과 사이클도 즐긴다. 트위터(@otrekpiko)로 연락할 수 있다.
이상욱(옮긴이)
2010년부터 LG CNS, 뷰웍스(Vieworks)를 거쳐 현재는 호주 엑스그룹(Axe Group)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고 있다. 다양한 개발 도구에 관심이 많으며, 특히 자동화 도구에 관심이 많다. 에이콘출판사가 펴낸 『Yocto 프로젝트를 활용한 임베디드 리눅스 개발』(2014)을 번역했다.

목차
지은이 소개 지술자 감수자 소개 옮긴이 소개 옮긴이의 말 들어가며 1장 지속적 통합의 개념 __소프트웨어 개발 주기 ____요구 사항 분석 ____설계 ____구현 ____테스트 ____진화 __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폭포수 모델 ____폭포수 모델의 단점 ____폭포수 모델의 장점 __애자일 방법론의 대두 ____열두 가지 애자일 원칙 ____애자일 방법론의 동작 방식 ____애자일 방법론의 장점 __스크럼 프레임워크 ____스크럼 프레임워크의 주요 용어 ____스크럼의 동작 방식 __지속적 통합 ____CI를 이용한 애자일 ____CI를 통해 이득을 볼 수 있는 프로젝트 종류 __CI의 구성 요소 ____버전 관리 시스템 ____브랜칭 전략 ____CI 도구 ____자동으로 시작되는 빌드 ____코드 커버리지 ____코드 정적 분석 ____자동화된 테스트 ____바이너리 관리 도구 ____패키징 자동화 __CI 사용의 장점 ____복잡하고 어려운 통합부터의 해방 ____메트릭 ____이슈의 조기 발견 ____빠른 개발 __요약 2장. 젠킨스 설치 __서블릿 컨테이너를 이용해 젠킨스 실행하기 ____전제 조건 ____자바 설치 ____아파치 톰캣 설치 ____방화벽과 8080 포트 활성화 ____아파치 톰캣 서버 설정하기 ____아파치 톰캣 서버 위에 젠킨스 설치 ____젠킨스를 아파치 톰캣 서버에 독립적으로 설치하기 ____젠킨스 홈 경로 설정 __윈도우에 스탠드얼론 젠킨스 설치 ____전제 조건 ____자바 설치 ____최신 안정 버전 젠킨스 설치 ____윈도우에서 젠킨스를 시작, 중지, 재시작하기 __우분투에 스탠드얼론 젠킨스 설치하기 ____전제 조건 ____자바 설치 ____젠킨스 최신 버전 설치 ____젠킨스 최신 안정 버전 설치 ____우분투에서 젠킨스 시작, 종료, 재시작하기 __레드햇 리눅스에 스탠드얼론 젠킨스 설치하기 ____전제 조건 ____자바 설치 ____최신 버전 젠킨스 설치하기 ____최신 안정 버전 젠킨스 설치하기 ____레드햇 리눅스에서 젠킨스 시작, 종료, 재시작하기 __젠킨스를 리버스 프록시 뒤에서 실행하기 ____전제 조건 ____Nginx의 설치와 설정 ____Nginx 서버 방화벽 설정 ____Nginx 서버 시작, 종료, 재시작하기 ____OpenSSL을 이용해 Nginx 보안을 유지하기 ____젠킨스 서버 설정 ____Nginx 설정에 리버스 프록시 추가하기 ____젠킨스와 Nginx를 같은 머신에서 실행하기 __도커에서 젠킨스 실행하기 ____전제 조건 ____도커 호스트 설정 ____젠킨스 컨테이너 실행하기 ____데이터 볼륨을 이용한 젠킨스 컨테이너 실행 __젠킨스 개발 및 스테이징 인스턴스 만들기 ____전제 조건 ____빈 데이터 볼륨 생성 ____데이터 볼륨 간 파일 복사 ____개발 및 스테이징 인스턴스 생성 __요약 3장. 새로운 젠킨스 __젠킨스 설정 마법사 ____전제 조건 ____젠킨스 잠금 해제하기 ____젠킨스 커스터마이징 ____첫 번째 관리자 만들기 __새로운 젠킨스 파이프라인 잡 ____전제 조건 ____젠킨스 파이프라인 잡 만들기 ____전역 도구 환경 설정 페이지 ____젠킨스 파이프라인 스테이지 뷰 __서술적 파이프라인 문법 ____서술적 파이프라인의 기본 구조 __젠킨스 파이프라인 문법 도구 ____전제 조건 __멀티브랜치 파이프라인 ____전제 조건 ____젠킨스에서 멀티브랜치 파이프라인 생성하기 ____Webhooks 재등록 ____젠킨스 멀티브랜치 파이프라인 인 액션 __젠킨스 블루오션 ____젠킨스 블루오션 플러그인 설치하기 ____블루오션에서 기본적인 젠킨스 파이프라인 살펴보기 ____블루오션에서 파이프라인 생성하기 __요약 4장. 젠킨스 설정 __젠킨스 플러그인 매니저 ____젠킨스 플러그인 업데이트 ____새로운 젠킨스 플러그인 설치 ____젠킨스 플러그인을 삭제하거나 다운그레이드하기 ____젠킨스에 프록시 설정하기 ____수작업으로 젠킨스 플러그인 설치하기 __젠킨스 백업과 복원 ____Periodic Backup 플러그인 설치하기 ____Periodic Backup 플러그인 설정하기 ____젠킨스 백업 생성하기 ____젠킨스 백업 복원하기 ____백업과 복원 로그 확인하기 __젠킨스 업그레이드 ____톰캣 서버 위에서 돌아가는 젠킨스 업그레이드 ____윈도우에서 스탠드얼론 젠킨스 업그레이드하기 ____우분투에서 스탠드얼론 젠킨스 업그레이드 ____도커 컨테이너에서 젠킨스 업그레이드하기 __사용자 관리 ____젠킨스에서 전역 보안의 활성화와 비활성화 ____사용자 정보를 컴퓨터에 저장하는 옵션의 활성화와 비활성화 ____인증 방식 ____젠킨스 내부에 새로운 사용자 생성하기 ____People 페이지 ____권한 설정 방식 __요약 5장. 분산 빌드 __분산 빌드와 테스트 __젠킨스 노드 관리 페이지 __젠킨스 슬레이브 추가하기: 스탠드얼론 리눅스 머신/VM ____젠킨스 슬레이브에 환경 변수 전달하기 ____도구의 위치 전달하기 ____SSH를 통해 젠킨스 슬레이브 실행 __활성화된 젠킨스 슬레이브에 대한 추가 정보 __젠킨스 슬레이브 추가하기: 스탠드얼론 윈도우 머신/VM ____Java Web Start를 통해 젠킨스 슬레이브 시작시키기 __젠킨스 슬레이브 추가하기: 도커 컨테이너 ____전제 조건 ____도커 원격 API 활성화 ____도커 플러그인 설치 ____도커 플러그인 설정 ____도커 이미지 생성하기 - 젠킨스 슬레이브 ____젠킨스에 도커 컨테이너 인증 정보 추가 ____젠킨스에 도커 설정 업데이트 __요약 6장. 소나큐브와 아티팩토리 설치 __소나큐브 설치와 설정 ____자바 설치 ____소나큐브 패키지 다운로드 ____소나큐브 애플리케이션 실행 ____기본 인증 정보 초기화와 토큰 생성 ____소나큐브에서 프로젝트 생성하기 ____소나큐브에 빌드 브레이커 플러그인 설치 ____퀄리티 게이트 생성 ____기본 퀄리티 게이트 프로파일 업데이트 ____젠킨스에 소나큐브 플러그인 설치 ____젠킨스의 소나큐브 플러그인 설정 __아티팩토리 설치와 설정 ____자바 설치 ____아티팩토리 패키지 다운로드 ____아티팩토리 애플리케이션 실행 ____기본 인증 정보 초기화 및 API 키 생성 ____아티팩토리에 저장소 추가 ____젠킨스에 아티팩토리 인증 정보 추가 ____젠킨스에 아티팩토리 플러그인 설치 ____아티팩토리 플러그인 설정 __요약 7장. 젠킨스를 이용한 CI __젠킨스 CI 구조 ____브랜치 전략 ____CI 파이프라인 ____CI를 위한 도구 모음 __CI 파이프라인 생성 ____깃허브에 새로운 저장소 생성 ____메이븐을 위한 소나큐브 스캐너 활용 ____CI를 위한 Jenkinsfile 작성 ____Jenkinsfile 활용 ____젠킨스에 멀티브랜치 파이프라인 생성 ____Webhooks 재등록 __준비 완료된 CI ____소나큐브에서 정적 코드 분석 결과 보기 ____젠킨스에서 소나큐브 분석 결과에 접근하기 ____아티팩토리에서 아티팩트 확인 ____퀄리티 게이트의 조건을 통과하지 못했을 때 빌드 실패시키기 __요약 8장. 젠킨스를 이용한 배포 자동화 __젠킨스 CD 구조 ____브랜치 전략 ____CD 파이프라인 ____CD를 위한 도구 모음 ____도커 이미지 생성: 성능 테스트 ____젠킨스에 도커 컨테이너 인증 정보 추가 ____젠킨스에 도커 설정 업데이트 __제이미터를 이용해 성능 테스트 생성 ____자바 설치 ____아파치 제이미터 설치 ____제이미터 시작하기 ____성능 테스트 케이스 만들기 __CD 파이프라인 ____CD를 위한 Jenkinsfile 작성 __최종 준비된 CD __요약 9장. 젠킨스를 이용한 Continuous Deployment __Continuous Deployment 정의 __프로덕션 서버 생성 ____베이그런트 설치 ____버추얼박스 설치 ____베이그런트를 이용해 VM 생성 ____젠킨스에 프로덕션 서버 인증 정보 추가 __프로덕션 서버에 젠킨스 슬레이브 설치 __젠킨스 Continuous Deployment 파이프라인 생성 ____CD 파이프라인 검토 ____프로덕션 젠킨스 슬레이브를 위한 파이프라인 코드 ____아티팩토리에서 바이너리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파이프라인 코드 ____Continuous Deployment 파이프라인 코드 조합 ____Jenkinsfile 수정 __준비 완료된 Continuous Deployment __요약 부록. 추가 도구와 설치 가이드 __로컬 서버를 외부 인터넷에 노출하기 __윈도우와 리눅스에 깃 설치 ____윈도우에 깃 설치 ____리눅스에 깃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