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국가담론을 통해 본 남북의 가치·정서·문화

국가담론을 통해 본 남북의 가치·정서·문화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영균, 저 이병수, 저 박민철, 朴慜喆, 1979-, 저 김종군, 金鍾涒, 1968-, 저 김종곤, 金鍾坤, 1977-, 저 박재인, 저 도지인, 都智仁, 1977-, 저 정진아, 저 김지니, 1977-, 저 전영선, 全永善, 1965-, 저
서명 / 저자사항
국가담론을 통해 본 남북의 가치·정서·문화 / 박영균 [외]지음
발행사항
하남 :   패러다임북,   2021  
형태사항
344 p. ; 23 cm
총서사항
통일인문학 연구총서 ;034
ISBN
9791197123047
일반주기
공저자: 이병수, 박민철, 김종군, 김종곤, 박재인, 도지인, 정진아, 김지니, 전영선  
기획: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25-344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84598
005 20230308142903
007 ta
008 210701s2021 ggk b 000c kor
020 ▼a 9791197123047 ▼g 9334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27.519505193 ▼2 23
085 ▼a 327.530539 ▼2 DDCK
090 ▼a 327.530539 ▼b 2021z3
245 0 0 ▼a 국가담론을 통해 본 남북의 가치·정서·문화 / ▼d 박영균 [외]지음
260 ▼a 하남 : ▼b 패러다임북, ▼c 2021
300 ▼a 344 p. ; ▼c 23 cm
490 1 0 ▼a 통일인문학 연구총서 ; ▼v 034
500 ▼a 공저자: 이병수, 박민철, 김종군, 김종곤, 박재인, 도지인, 정진아, 김지니, 전영선
500 ▼a 기획: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504 ▼a 참고문헌: p. 325-344
536 ▼a 이 책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음 ▼g (NRF-2019S1A6A3A01102841)
700 1 ▼a 박영균, ▼e
700 1 ▼a 이병수, ▼e
700 1 ▼a 박민철, ▼g 朴慜喆, ▼d 1979-, ▼e▼0 AUTH(211009)1210
700 1 ▼a 김종군, ▼g 金鍾涒, ▼d 1968-, ▼e▼0 AUTH(211009)17711
700 1 ▼a 김종곤, ▼g 金鍾坤, ▼d 1977-, ▼e▼0 AUTH(211009)20782
700 1 ▼a 박재인, ▼e
700 1 ▼a 도지인, ▼g 都智仁, ▼d 1977-, ▼e▼0 AUTH(211009)5272
700 1 ▼a 정진아, ▼e
700 1 ▼a 김지니, ▼d 1977-, ▼e▼0 AUTH(211009)69191
700 1 ▼a 전영선, ▼g 全永善, ▼d 1965-, ▼e▼0 AUTH(211009)115541
830 0 ▼a 통일인문학 연구총서 ; ▼v 034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7.530539 2021z3 등록번호 1118505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기획)

도지인 •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및 대학원 통일인문학과 교수 • 북한의 외교와 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Fashion and Consumer Culture of North Korean Women and the ‘Cultural Turn’ toward Harmony (2021),” “Dressing Socialism: Joseonot and Revolutionary Womanhood in North Korea, 1955-1960 (2021),” 「북한의 교육관·사제관계의 변화와 특징: 북한이탈주민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중심으로」(2021), 저서로 󰡔일상을 통해 본 남북의 가치·정서·문화󰡕(2020), 󰡔남북의 가치·정서·문화 충돌과 포스트 통일 연구의 방향󰡕(2021)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학사), 하버드대학교 동아시아학과(석사), 북한대학원대학교(박사)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서강대학교, 서울대학교에서 북한사, 남북관계사, 동아시아냉전사 등을 강의하였다. 전영선 •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 한양대학교에서 국문학을 전공하고, 고전문학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인문학적으로 성찰하고, 통일 개념과 남북 문화의 소통을 디자인하는 통일디자이너이자 남북문화의 차이를 소개하고 번역하는 통일문화번역가로 연구와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북한 지식사전󰡕, 󰡔공화국의 립스틱 : 김정은 시대 뷰티와 화장품󰡕, 󰡔찾아라 만리마 슈퍼마켓 새우맛튀기과자󰡕, 󰡔김정은의 전략과 북한󰡕,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화예술편’󰡕, 󰡔어서와 북한 영화는 처음이지󰡕, 󰡔NK POP : 북한의 전자음악과 대중음악󰡕, 󰡔북한의 체육정책과 체육문화󰡕, 󰡔북한에서 여자로 산다는 것󰡕, 󰡔김정은 리더십 연구󰡕, 󰡔글과 사진으로 보는 북한의 사회와 문화󰡕, 󰡔영상으로 보는 북한의 일상󰡕, 󰡔북한의 언어–소통과 불통 사이의 남북언어󰡕 등이 있다. 김지형 • 서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 한양대 대학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한양대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서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사연구회 연구이사, 한국사학회 연구이사직을 맡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탈냉전 초기 남북관계 인식의 분화와 갈등-정부내 강온파 대립과 민간통일운동세력의 이원화 현상을 중심으로-」, 「4.19 직후 내각책임제 개헌논의와 ‘보수합동’」, 「60년 전 기록으로 보는 부산지역 4월혁명의 장면」, 「대학 신입생의 수능 필수 한국사 경험과 ‘사고와 표현’ 교육의 상관성」, 「1987년 헌법 개정과 이후 개헌 논의의 정치적 상관성」, 「한국전쟁기 부역 이데올로기의 전환: 부일(附日)과 부공(附共)의 교차점에서」 등이 있다. 정진아 •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및 대학원 통일인문학과 교수 •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이승만정권의 경제정책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건국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경제사뿐 아니라 해방 이후 남북의 주민들이 만들어가고자 한 국가, 사회, 개인의 모습에 관심이 많다. 특히 그 속에 살았던 사람들의 생활문화와 병리현상에 관심을 갖고 있다. 논문으로는 「이승만정권의 자립경제론, 그 지향과 현실」, 「장면정권의 경제정책 구상과 경제개발5개년계획」, 「남북의 농업협동화 경험과 통일농업의 미래-남의 협업농장과 북의 협동농장을 중심으로」 등이 있고, 저서로는 󰡔한국 경제의 설계자들󰡕, 󰡔역사학의 시선으로 읽는 한국전쟁󰡕, 󰡔사회주의는 북한사람들을 어떻게 변화시켰나󰡕가 있다. 김지니 •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원 •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북한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건국대 통일인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북한의 문화예술, 특히 정치사를 통해 문화공간을 해석하고 북한예술을 통해 한반도의 민족예술을 추적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해방 후 남북 문화정책 연구 : 국립극장을 중심으로」, 「김정은 시기 무용연구 : 전통의 복원과 비물질무용유산을 중심으로」, 「‘선군시대’ 예술비평 연구」, 「북한 정권초기 문화권력의 대중지배 전략연구」 등이 있고, 저서로는 󰡔북한예술의 창작지형과 21세기 트렌드󰡕, 󰡔봉변다반사󰡕가 있다. 이태준 •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원 • 대학에서 한반도 분단 문제와 한국 사회로부터 소외된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지며, ‘사회적 연대’의 소중함을 배웠다. 현재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과에서 식민과 분단이 사람들에게 남긴 역사적 상처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폭력의 역사로부터 새겨진 상처를 극복하고, ‘인간의 존엄’을 실현하는데 주체가 되고자 했던 사람들에게 무한한 애정을 가진다. ‘평범한 사람들이 평화로운 삶을 살아갈 권리’를 학문적 고민으로 삼으며, 평화로운 세상을 모색하는데 연대하고자 한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발간사
서문

제1부 국가담론을 통해 본 남북의 가치관
북의 국가담론: 봉건적 가부장에서 젠더화된 민족국가로
남북한 민족주의 가치관의 이중성
국가주의 철학의 발생과 세부 이행 : 안호상의 철학을 중심으로

제2부 남북 국가담론을 통해 본 일상과 의식의 변화
북한의 체제 변화에 따른 민속학의 임무와 성과
‘분단적대성’의 역사적 발원과 감정구조
남?북?중의 산아제한정책과 코리언 여성들의
출산문화 및 의식세계

제3부 국가건설과 혁명, 그리고 문화
북한의 “녀성해방”과 공산주의 어머니 교양
1960년대 북한의 ‘붉은 인텔리’ 만들기
해방후 남북한 문화시설 운영정책에 관한 연구 : 국립극장을 중심으로
남북에 작동하는 문화 검열

참고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