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84210 | |
005 | 20210702144108 | |
007 | ta | |
008 | 210630s2015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30436463 ▼g 04300 | |
020 | 1 | ▼a 9791130436005(세트) |
035 | ▼a (KERIS)BIB000013793473 | |
040 | ▼a 223009 ▼c 223009 ▼d 211009 | |
082 | 0 4 | ▼a 302.23 ▼2 23 |
085 | ▼a 302.23 ▼2 DDCK | |
090 | ▼a 302.23 ▼b 2015z12 | |
100 | 1 | ▼a 최영송 ▼0 AUTH(211009)82792 |
245 | 1 0 | ▼a 들뢰즈와 미디어 / ▼d 최영송 지음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5 | |
300 | ▼a xxiv, 85 p. ; ▼c 19 cm | |
490 | 1 0 | ▼a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
504 | ▼a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 |
600 | 1 0 | ▼a Deleuze, Gilles, ▼d 1925-1995 ▼0 AUTH(211009)31662 |
650 | 8 | ▼a 매체[媒體] |
650 | 8 | ▼a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
700 | 1 | ▼a 들뢰즈, 질, ▼d 1925-1995 |
830 | 0 | ▼a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2.23 2015z12 | Accession No. 15135512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커뮤니케이션 이해총서. 들뢰즈는 ‘차이 나는 것’으로서 미디어가, 어떻게 ‘차이 짓기’라는 커뮤니케이션을 만들어 가는지 보여 준다. 그렇게 현실에 없는 미디어를 발명함으로써 우리는 새로운 소통에 들어간다. 이를 통해 대안적 미디어론을 발견한다.
들뢰즈는 현대사회를 통제사회로 규정한다. 통제사회는 소통을 통해 통제하면서 통제를 소통시킨다. 즉, 통제사회는 소통사회다. 끊임없이 불러대는 네트워크, 위치 추적 위성장치, 삶을 수치화하는 빅데이터를 보라. 더 이상 커뮤니케이션을 휴먼 커뮤니케이션이나 매스미디어에 가둘 수 없는 환경이 도래한 것이다. 지금껏 커뮤니케이션은 인간을 중심으로 서술되었지만, 이제 창발하는 모든 것이 미디어라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들뢰즈는 ‘차이 나는 것’으로서 미디어가, 어떻게 ‘차이 짓기’라는 커뮤니케이션을 만들어 가는지 보여 준다. 그렇게 현실에 없는 미디어를 발명함으로써 우리는 새로운 소통에 들어간다. 이를 통해 대안적 미디어론을 발견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최영송(지은이)
연구공간 로봇프로이트 대표이자 부경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겸임교수다. 서강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부경대학교에서 “들뢰즈의 커뮤니케이션론 연구: 차이와 반복의 변증법과 생성-커뮤니케이션”(2013)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질 들뢰즈, 시네마』(2017), 『들뢰즈와 미디어』(2015), 『슬라예보 지젝,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2016), 『커뮤니케이션 다시 읽기』(공저,2015),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은유들』(공저, 2015) 등이 있고, “들뢰즈의 커뮤니케이션 사상”(2012), “들뢰즈의 다큐멘터리 이미지”(2013), “들뢰즈의 관점에서 본 하버마스 화용론의 한계”(2012) 등 다수의 논문을 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