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 나의 작은 집에서 경험하는 크고 안전한 기쁨에 대하여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규림, 저 송은정, 1986-, 저 봉현, 저 이지수, 저 김희정, 저 강보혜, 저 김키미, 저 신지혜, 저 문희정, 저 임진아, 1986-, 저
Title Statement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 나의 작은 집에서 경험하는 크고 안전한 기쁨에 대하여 / 김규림 [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세미콜론,   2021  
Physical Medium
206 p. ; 20 cm
ISBN
9791191187779
General Note
공저자: 송은정, 봉현, 이지수, 김희정, 강보혜, 김키미, 신지혜, 문희정, 임진아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한국 문학[韓國文學] 한국 수필[韓國隨筆]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84209
005 20230125140026
007 ta
008 210630s2021 ulk 000c kor
020 ▼a 9791191187779 ▼g 03810
035 ▼a (KERIS)BIB000015857542
040 ▼a 241027 ▼c 241027 ▼d 211009
082 0 4 ▼a 895.785008 ▼2 23
085 ▼a 897.87008 ▼2 DDCK
090 ▼a 897.87008 ▼b 2021z8
245 0 0 ▼a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 ▼b 나의 작은 집에서 경험하는 크고 안전한 기쁨에 대하여 / ▼d 김규림 [외]
260 ▼a 서울 : ▼b 세미콜론, ▼c 2021
300 ▼a 206 p. ; ▼c 20 cm
500 ▼a 공저자: 송은정, 봉현, 이지수, 김희정, 강보혜, 김키미, 신지혜, 문희정, 임진아
650 8 ▼a 한국 문학[韓國文學]
650 8 ▼a 한국 수필[韓國隨筆]
700 1 ▼a 김규림, ▼e
700 1 ▼a 송은정, ▼d 1986-, ▼e▼0 AUTH(211009)109551
700 1 ▼a 봉현, ▼e▼0 AUTH(211009)69507
700 1 ▼a 이지수, ▼e▼0 AUTH(211009)69653
700 1 ▼a 김희정, ▼e
700 1 ▼a 강보혜, ▼e
700 1 ▼a 김키미, ▼e
700 1 ▼a 신지혜, ▼e
700 1 ▼a 문희정, ▼e
700 1 ▼a 임진아, ▼d 1986-, ▼e▼0 AUTH(211009)136144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897.87008 2021z8 Accession No. 12125799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97.47 김규림 할 Accession No. 15135512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897.87008 2021z8 Accession No. 12125799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97.47 김규림 할 Accession No. 15135512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각자의 일을 가진 여성 작가 10명이 집에서의 시간을 어떻게 보내고 있는지 들려준다. 스스로를 ‘문구인’이라고 부르는 김규림, 에세이스트이자 라이프스타일숍 에디터 송은정, 일러스트레이터이면서 글도 쓰는 봉현, 번역가 이지수, 브랜딩 디렉터 김희정, 비건지향인 강보혜, 카카오 브런치 브랜드 마케터 김키미, 뉴그라운드 공동 대표 신지혜, 1인 출판사 문화다방을 운영하는 문희정, 삽화가이자 에세이스트 임진아가 그 주인공이다.

이들 역시 팬데믹이라는 현실 앞에서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진 것은 마찬가지. 각자의 개성만큼이나 다양한 방식으로 집을 활용하고 또 집과의 친밀도를 높여가는 과정은 각기 다른 매력으로 흥미롭다. 우리는 모두 한 번도 경험한 적 없는 혼란스러운 시기를 통과하고 있지만 그 속에서 나름의 새로운 진동과 리듬을 찾아 안정적인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집에서는 누구나 긴장을 풀고 조금 편안한 마음가짐이 되기도 하지만 또 밖에서는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나만의 안테나가 작동하기도 한다. 쉽게 감각하지 못했던 일상의 비일상이 새롭게 보이고 또 우리는 언제나 그랬듯이,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다.

여기에 모인 작가 10명이 거주하는 집의 형태는 제각각이고, 집에서 함께 지내는 구성원의 조합도 다르지만, 결국 집은 가장 나다운 공간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으로 작용한다. 내가 가장 나다울 수 있는 곳. 나를 나로 존재하게 하는 곳. 매일 일어나 매일 잠드는 곳이기에 무심하게 생각했던 집에 대해 한 번쯤 낯설게 재정의하고 각자 집에서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고민해보는 시간의 실마리를 제공해준다.

나를 기꺼이 그대로 두는 공간, 집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낯선 시절을 통과하는
여성 작가 10명의 가장 나답게 존재하기


유례없는 팬데믹 시절, 좀처럼 줄지 않는 코로나19 확진자 소식. 그 어느 때보다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집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습니다. 인테리어나 가구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늘었다는 뉴스가 이를 반증하고 있죠. 재택근무를 도입한 회사도 많아지면서 집에서 일을 하게 된 사람들도 있을 것이고, 주말이면 외부에서 찾던 유희와 휴식의 시간도 비교적 집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입니다. 그야말로 집에서 보내는 시간의 양과 질이 모두 코로나 시국 이전에 비해 굉장히 높아졌음을 통감하는 요즘이지요.
집은 그리하여 단순히 의식주를 해결하거나 잠만 자던 공간에서 조금 더 나아가 나를 드러내는 수단으로 기능하기도 하는 것 같아요. 나의 일, 식습관, 생활 패턴, 가치관, 라이프스타일 등을 그대로 담아내는 도구로서의 집은 많은 가능성을 품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생각하고 있지 않을까요?
‘기왕 머물러야 하는 집이라면, 좀 더 나답게 있고 싶다!’

새로운 감각의 세상에서 새롭게 펼쳐지는
나의 집 사용 설명서


이 책은 각자의 일을 가진 여성 작가 10명이 집에서의 시간을 어떻게 보내고 있는지 들려줍니다. 스스로를 ‘문구인’이라고 부르는 김규림, 에세이스트이자 라이프스타일숍 에디터 송은정, 일러스트레이터이면서 글도 쓰는 봉현, 번역가 이지수, 브랜딩 디렉터 김희정, 비건지향인 강보혜, 카카오 브런치 브랜드 마케터 김키미, 뉴그라운드 공동 대표 신지혜, 1인 출판사 문화다방을 운영하는 문희정, 삽화가이자 에세이스트 임진아가 그 주인공입니다.
이들 역시 팬데믹이라는 현실 앞에서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진 것은 마찬가지. 각자의 개성만큼이나 다양한 방식으로 집을 활용하고 또 집과의 친밀도를 높여가는 과정은 각기 다른 매력으로 흥미롭습니다. 우리는 모두 한 번도 경험한 적 없는 혼란스러운 시기를 통과하고 있지만 그 속에서 나름의 새로운 진동과 리듬을 찾아 안정적인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집에서는 누구나 긴장을 풀고 조금 편안한 마음가짐이 되기도 하지만 또 밖에서는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나만의 안테나가 작동하기도 해요. 쉽게 감각하지 못했던 일상의 비일상이 새롭게 보이고 또 우리는 언제나 그랬듯이,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모인 작가 10명이 거주하는 집의 형태는 제각각이고, 집에서 함께 지내는 구성원의 조합도 다르지만, 결국 집은 가장 나다운 공간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으로 작용합니다. 내가 가장 나다울 수 있는 곳. 나를 나로 존재하게 하는 곳. 매일 일어나 매일 잠드는 곳이기에 무심하게 생각했던 집에 대해 한 번쯤 낯설게 재정의하고 각자 집에서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고민해보는 시간의 실마리를 제공해줍니다. 그리하여 이 책은, 집(house)이라는 공간을 물리적으로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설명서이기도, 집(home)이 나에게 주는 의미를 돌이켜보고 어떻게 감각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사이트이기도 합니다.

가장 나다울 수 있는 공간에서
우리가 다시 할 수 있는 일


집이라는 나의 고유한 영역은 세상 그 어디에서도 얻을 수 없는 평온한 안식을 주지요. 그러나 자발적 고립의 시간이 길어질수록 우리에겐 연결되어 있다는 기분이 필요합니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울기도 웃기도 하면서 감정을 키우는 존재니까요. 우리 모두는 각자 다른 지붕 아래 존재하고 있으면서도 역설적으로 그 어느 때보다 연결의 필요성을 느낍니다. 몸은 영 개운하지 않고 심리적으로도 지치고 고단하지만 그럴 때일수록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노력은 중요합니다.

김규림 작가는 문구 덕후답게 좋아하는 물건을 곁에 두고 기쁨을 찾는 일상적인 생활을 안내합니다. 여기에 스스로 설정한 ‘노 와이파이존’은 집의 효용을 분리하여 생각한 혁신적인 공간이에요. 송은정 작가는 오래전 먼 타국에서 만난 궁극의 테이블로 시작하는 하나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오랜만에 다시 출근하는 사람이 되어 집이 주는 의미가 바뀌는 과정도 함께 담고 있어 흥미롭습니다. 봉현 작가는 집이라는 무대에서 펼쳐지는 모노 드라마를 찍듯 하루하루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 드라마에서는 자신이 단 하나뿐인 등장인물이자, 연출자이자, 시청자인 셈이죠.
이지수 번역가는 조금 더 현실적인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어린이집을 가지 못한 아이와 남편의 재택근무로 빨래바구니에는 마치 축구팀이 사는 집처럼 수건이 쌓여가는 날들의 고달픔을 시종일관 유쾌하게 이야기합니다. 그러면서도 번역이라는 ‘본업’과 ‘뭐 재미있는 일’ 사이의 균형을 찾으며 사는 평범한 날의 감사함을 모르지 않습니다. 김희정 브랜딩 디렉터는 집을 어떻게 정리 정돈하고 나의 취향으로 채우면 좋을지에 대한 굉장히 구체적인 팁들을 소개하고 있어 자동적으로 귀가 솔깃해집니다. 그것들은 인테리어 잡지에 나오는 값비싼 가구들이 아닌, 나를 나답게 드러내고 스스로 브랜딩하는 것에서 오는 것임을 강조합니다. 셀프 PR과 개인 브랜딩의 시대, 누구에게 보여주기 위함이 아니더라도 집은 나를 충분히 담아내는 공간이 됩니다.
강보혜 작가는 집에서 잘 보내는 시간이 자신의 가치관, 그러니까 비건지향과 반려견과의 행복한 생활에 어떤 도움이 되고 있는지에서 출발해 결국엔 자존감을 회복하게 되었다는 고백 아닌 고백을 들려줍니다. 스스로를 단단하게 다져 어떤 상황에도 무너지지 않는 사람으로 성장하는 데 집이 기여한 역할을 차근히 안내하고,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삶과 일의 형태를 허용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도모하려는 데까지 나아갑니다.
김키미 브랜더는 집 안에서의 게으른 자아와 집 밖에서의 부지런한 자아를 인정하고 더 이상 서로를 비교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는데, 너무 진지하고 너무 기발해서 웃음이 납니다. 유쾌함 속에 브랜드 마케터의 통찰력이 빛나는 대목입니다. 신지혜 대표는 그야말로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아 일하던 회사의 서비스가 중단되는 상황을 겪게 되었는데요. 그럼에도 줌(ZOOM) 등 변화하는 업무 환경에 적응하고 할 수 있는 일을 하겠다는 끊임없는 노력과 간절한 의지로 일하는 여성의 상호 성장을 돕는 서비스를 새롭게 론칭해 일을 이어나가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그야말로 앞으로 조금씩 나아가는 모습은 우리로 하여금 코로나 시대에 무엇이든 쉽게 포기하기보다 용기를 낼 수 있도록 하네요.
두 아이의 엄마인 문희정 작가는 아예 작은 집을 새롭게 얻어 두 집 살림을 시작했습니다. 작은 마당이 딸린 오래된 구옥은 하나뿐인 작업실이자 셸터이자 케렌시아가 되어준 셈이죠. 대출금을 갚으면서도 서럽지 않고, 걸레질도 빛나는 성취가 되는 곳. 용기와 결단력으로 마련한 엄마의 독립적인 공간이 역설적으로 어떻게 가족들에게도 기쁨이 되고 나아가 돈벌이가 되는지를 안내합니다.
임진아 작가는 기꺼이 나를 그대로 두어주는 집, 나를 감당해주는 집, 여유를 만끽할 수 있는 다정한 집의 온기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집은 돌아오기만 하면 그 자체로 나였던 곳.”이라는 그의 말이 참 인상적이라 오래 여운이 남네요. 어제와 오늘이 비슷하게 이어져왔고, 오늘과 내일도 크게 다르지 않게 이어져갈 이곳에서 우리들은 우리답게 안전하고 기쁩니다.

다음 단계의 세상으로 건너가기 위하여,
오늘을 살고 있습니다


지금의 이런 시간이 영원하지는 않을 거예요. 언젠가 다시 마스크를 벗고, 사람들이 한자리에 모이고, 음식도 편하게 나누어 먹는 날이 다시 오겠죠. 다시 예전으로 완벽히 돌아갈 수는 없다는 관측도 나오고 그때가 온다 해도 예전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일 테이지만, 그렇게 찾아올 다음 단계의 세상을 위해 우리는 오늘을 꼭꼭 씹어 살고 있는 것일 거예요. 그것이 우리가 지금 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잘 보낸 하루하루가 모여 한 달을, 1년을, 내 인생을 만들어요. 잠을 자는 시간을 포함하여 최소 하루의 3분의 1 이상의 시간을 보내는 곳은 그래서 중요합니다. 집을 조금 더 사랑하고 집에서 보내는 시간을 조금 더 의미 있게 쓰는 것. 그래서 가장 안전한 공간에서 가장 나답게 존재하는 것. 이 시국을 통과하는 제법 슬기로운 생활이 아닐까요? 그 곁에서 이 10명의 작가가 여러분의 안정적이고 평화로운 일상을 응원합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문희정(지은이)

글 쓰는 딸 두 아이를 키우며 글을 쓰고 책을 만듭니다. <낭만서촌>, <여행자의 편지 치앙마이> 지음.

봉현(지은이)

스무 살에 부산에서 서울로 올라와 대학에서 애니메이션을 공부하다 돌연 배낭 하나만 들고 2년간 세계 여행을 떠났다. 그때 쓰고 그린 이야기를 시작으로 프리랜서가 되어 지금까지 혼자서 일하고 있다. 일주일의 절반은 오후부터 새벽까지 작업방 책상에 앉아 다양한 분야에서 의뢰받은 그림을 그리고, 나머지 절반은 가까운 카페에서 글을 쓰고 뉴스레터 「봉현읽기」를 발행한다. 집 안을 정리하고 소파에서 뒹굴뒹굴하는 것을 좋아하지만, 배낭을 메고 1년에 한두 달씩 낯선 곳을 꼭 여행해야 하는 사람이다. 자유와 속박 사이, 일과 휴식 사이에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프리랜서의 삶을 사랑한다. 지은 책으로 『베개는 필요 없어, 네가 있으니까』 『오늘 내가 마음에 든다』 『여백이』 『나는 아주, 예쁘게 웃었다』가 있다. 인스타그램 @bonghyun_know 트위터 @bonhkr 뉴스레터 bonghyun.com

이지수(지은이)

하루키의 책을 원서로 읽기 위해 일본어를 전공한 번역가. 사노 요코의 『사는 게 뭐라고』 『죽는 게 뭐라고』,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영화를 찍으며 생각한 것』 『키키 키린의 말』 『작은 이야기를 계속하겠습니다』, 니시카와 미와의 『고독한 직업』 『야구에도 3번의 기회가 있다는데』, 미야모토 테루의 『생의 실루엣』, 무라이 리코의 『오빠가 죽었다』, 무레 요코의 『이걸로 살아요』 오가와 이토 『두둥실 천국 같은』등을 우리말로 옮겼고 『아무튼, 하루키』,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공저), 『읽는 사이』(공저)를 썼다.

임진아(지은이)

읽고 그리는 삽화가. 생활하며 쓰는 에세이스트. 만화와 닮은 생각을 글과 그림으로 기록한다. 종이 위에 표현하는 일을, 책이 되는 일을 좋아한다. 임진아 페이퍼라는 이름으로 작은 책자와 부드러운 지류를 선보인다. 『빵 고르듯 살고 싶다』『아직, 도쿄』『오늘의 단어』 등을 쓰고, 『어린이라는 세계』『올리브색이 없으면 민트색도 괜찮아』 등에 삽화와 표지를 그렸다. 인스타그램 @imjina_paper 홈페이지 www.imyang.net

송은정(지은이)

에세이스트 그리고 식물성 홈베이커. 건강원 앞에 버려진 유기묘 옹심이와 함께 살면서 자연스레 비건 지향인이 되었다. 집에서 글을 쓰고 빵을 굽는다. 주요 일과는 고양이와 몇 개의 화분 돌보기. 제철 채소로 파스타 말기. 스스로 꾸린 작은 동그라미 안에서 씩씩하게 살고 싶다. 『저는 이 정도가 좋아요』 『오늘, 책방을 닫았습니다』 『빼기의 여행』 등을 썼다.

김키미(지은이)

브랜더. 카카오 브런치에서 브랜드 마케터로 일하고 있다. 퇴사하면 한낱 미물이 될까 두려웠지만 스스로 브랜드가 되기로 결심한 뒤로 마음의 평화를 얻었다. 모든 사람이 브랜드가 될 수 있다고 믿는다. brunch @kim-pro instagram @kimmy.pro

김희정(지은이)

브랜딩 디렉터. 브랜딩 작업에 필요한 콘셉트를 만들고 언어적 요소들의 카피라이팅 작업을 하고 있다. 집에서는 활동적인 외향형 집순이이고 집 밖에선 느긋한 내향형 관찰자이다. 강아지와 산책하며 사계절을 감상하는 것이 가장 큰 기쁨인 사람.

강보혜(지은이)

미디어 스타트업에서 일하며, 회사 밖에서는 영상, 글, 팝업식당 등 다양한 방식으로 ‘비건 생활’을 알리는 활동을 한다. 바쁜 서울의 노동자로 살며 에너지 넘치는 반려견의 반려인, 비건지향인으로의 정체성을 잘 지켜나가보려 애쓰고 있다.

신지혜(지은이)

뉴그라운드 공동 대표. 여성들의 커리어 상호 성장 커뮤니티를 만들고 있다. 많은 여성이 일과 건강하게 관계 맺고, 나다운 일을 지속할 수 있는 평평한 토대를 만들고 싶다. 산책과 밀크티를 좋아한다.

김규림(지은이)

문구인(文具人). 손으로 쓰고 그리며 생각하기를 좋아합니다. 숨은 이야기에 관심이 많습니다. 재미있는 일을 좋아하고, 일을 재미있게 만드는 것 또한 좋아합니다. 블로그: blog.naver.com/absconder 인스타그램: @kyurimkim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집에서 혼자 잘 노는 법 김규림
어엿한 책상 생활자 송은정
나만의 공간에서 나만의 드라마 봉현
대체로 무기력하지만 간혹 즐겁게 이지수
집이라는 브랜딩 김희정
내 몫의 여러 책임에 충실한 생활 강보혜
게으름의 상대성 이론 김키미
앞으로 조금씩 나아간 증거 신지혜
엄마의 두 집 살림 문희정
오늘이라는 아무 날의 집 임진아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