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83947 | |
005 | 20210629162648 | |
007 | ta | |
008 | 210625s2021 ggka b 000c kor | |
020 | ▼a 9791166034619 ▼g 93150 | |
035 | ▼a (KERIS)REQ000053562981 | |
040 | ▼a 211015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0.1 ▼2 23 |
085 | ▼a 370.1 ▼2 DDCK | |
090 | ▼a 370.1 ▼b 2021z8 | |
100 | 1 | ▼a 하윤서 |
245 | 1 0 | ▼a 의암 류인석의 교육철학 / ▼d 하윤서, ▼e 정춘후 지음 |
246 | 0 | ▼i 한자표제: ▼a 毅菴 柳麟錫 敎育哲學 |
260 |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c 2021 | |
300 | ▼a 298 p. : ▼b 천연색삽화 ; ▼c 23 cm | |
500 | ▼a 부록: 1.의암 관련 연대기, 2. 의암 관련 유물 | |
504 | ▼a 참고문헌: p. 240-247 | |
600 | 1 4 | ▼a 류인석, ▼d 1842-1915 |
700 | 1 | ▼a 정춘후,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1 2021z8 | 등록번호 1118503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0.1 2021z8 | 등록번호 1513574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1 2021z8 | 등록번호 1118503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0.1 2021z8 | 등록번호 1513574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의암 류인석은 유학자로서 일제에 맞서 의병정신을 지킨 위인이자 민족 지도자이다. 이 책은 민족자존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애국 활동을 펼쳤던 그의 교육철학을 궁구하여 재인한 것이다. 그의 교육철학은 존화양이의 춘추대의로 일관되어 있다. 이는 인도 정신을 표현한 것으로, 그의 교육철학은 경험으로 통찰한 학문에 근거하여 위기에 대응할 때 인의로써 펼치는 사상적 실현이었다.
의암(毅菴) 류인석(柳麟錫, 1842-1915)은 유학자로서 일제에 맞서 의병정신을 지킨 위인이자 민족 지도자이다. 이 책은 민족자존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애국 활동을 펼쳤던 그의 교육철학을 궁구하여 재인한 것이다. 그의 교육철학은 존화양이의 춘추대의로 일관되어 있다. 이는 인도 정신을 표현한 것으로, 그의 교육철학은 경험으로 통찰한 학문에 근거하여 위기에 대응할 때 인의(仁義)로써 펼치는 사상적 실현이었다. 나아가 그는 자신만 사랑하고 인류애가 없으면 진정한 사랑이 아니며, 인류애에 근거하여 자신을 사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즉 의암의 교육철학은 인본주의적이며 공동체적 가치를 중시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하윤서(지은이)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가족치료학석사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학박사수료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철학박사 現) 윤희순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위원 법무부 인성교육 외래교수/대표자문위원 법무부 교육분과 교정위원 한중인문학회 교육이사 江原韓國學硏究院 연구교수 前) 자격증 과정 수석교수: 심리상담사, 가족상담사, 학교폭력예방상담사, 미술심리상담사, 아동심리상담사, 청소년진로상담사 사회적 거리두기와 함께하는 신사임당의 가족치료(한국학술정보, 2020)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는 정명론(正名論) 소고(새한철학회, 2020) 신사임당의 가족치유(家族治癒)에 관한 실천방법 연구(율곡학회, 2020)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유학적 가족관(家族觀) 재인(再認) 연구(한국공자학회, 2020) 남궁억의 유학적 교육관과 가정교육의 가치(새한철학회, 2020) 남궁억(南宮檍) 교육사상에 대한 유학적 함의 연구(영남퇴계학연구원, 2019) 신사임당의 가족복지관(家族福祉觀) 연구(강원대학교 철학박사학위논문, 2019) 묵자(墨子)의 겸애사상(兼愛思想)에 기반한 철학상담의 의의(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등
정춘후(지은이)
강원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석사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철학박사 現) (社)江原韓國學硏究院 연구교수 강원도숲길등산지도자협회 이사 법무부 교정위원 강원대학교 중앙도서관 사서(1983-2020) 율곡의 친친(親親)사상 실천 연구(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0) 毅菴 柳麟錫의 儒學 思想과 實踐 硏究(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목차
서문 제1장 들어가는 말: 의암 류인석의 교육철학 재인(再認) 제2장 의암의 생애사 제3장 의암 교육철학의 형성 배경 1. 국내외 정세 2. 학문적 배경 3. 사상적 배경 제4장 의암 교육철학의 실현(實現) 1. 친친(親親)사상과 향수 시(詩) 2. 의리(義理)정신과 간찰(簡札) 3. 구국(救國)정신과 처변삼사(處變三事) 4. 의병(義兵)정신과 「관일약(貫一約)」 5. 존화양이(尊華攘夷)와 『우주문답(宇宙問答)』 6. 사상 체계의 집대성 『도모편(道冒編)』 제5장 의암 교육철학의 본체(本體) 1. 인(仁)과 의(義) 교육 2. 도(道)와 덕(德) 교육 3. 공동체(共同體) 교육 4. 애국(愛國) 교육 5. 화해(和諧) 교육 제6장 의암 교육철학의 전승과 전수 제7장 나가는 말: 교육철학의 가치 參考文獻 附錄 1: 의암 관련 연대기 附錄 2: 의암 관련 유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