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83867 | |
005 | 20210628150232 | |
007 | ta | |
008 | 210625s2021 ggka b 001c kor | |
020 | ▼a 9788949949635 ▼g 93910 | |
035 | ▼a (KERIS)REQ000053546983 | |
040 | ▼a 211017 ▼c 211017 ▼d 211009 | |
082 | 0 4 | ▼a 327.519052 ▼2 23 |
085 | ▼a 327.53052 ▼2 DDCK | |
090 | ▼a 327.53052 ▼b 2021z10 | |
100 | 1 | ▼a 홍성화, ▼g 洪性和, ▼d 1965- ▼0 AUTH(211009)57779 |
245 | 1 0 | ▼a 칠지도와 일본서기 : ▼b 4~6세기 한일관계사 연구 / ▼d 홍성화 지음 |
260 | ▼a 파주 : ▼b 景仁文化社, ▼c 2021 | |
300 | ▼a 472 p. : ▼b 삽화 ; ▼c 24 cm | |
490 | 1 0 | ▼a 경인한일관계 연구총서 ; ▼v 78 |
504 | ▼a 참고문헌(p. [441]-461)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책은 2020년도 건국대학교 KU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저서임 | |
830 | 0 | ▼a 경인한일관계 연구총서 ; ▼v 78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7.53052 2021z10 | Accession No. 11185030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경인한일관계 연구총서 78권. <일본서기>를 통한 4_6세기의 한일관계에 대한 연구를 담은 책. 그 동안의 분석은 일본 측의 소견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진행된 경우가 많았으며, 또한 고대사의 문헌이 부족한 상황에서 고고학적인 요소들이 지나치게 부각되어 당시 한반도의 상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었고, 일본과의 국제관계 속에서 나타난 현상들에 대한 명확한 분석도 할 수 없었다. 이러한 현실을 바탕으로 저자는 기존 인식을 재검토, 종합 고찰함으로 고대 한일관계의 새로운 틀을 마련하고자 했다.
<일본서기> 재분석으로 보는 4~6세기 한일관계
이 책은 <日本書紀??를 통한 4~6세기의 한일관계에 관한 연구다. 그동안의 <日本書紀>에 관한 분석은 일본 측의 소견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진행된 경우가 많았으며, 또한 고대사의 문헌이 부족한 상황에서 고고학적인 요소들이 지나치게 부각되어 당시 한반도의 상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었고, 일본과의 국제관계 속에서 나타난 현상들에 대한 명확한 분석도 할 수 없었다. 이러한 현실을 바탕으로 저자는 기존 인식을 재검토, 종합 고찰함으로 고대 한일관계의 새로운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4편으로 이루어진 이 책은 Ⅰ편에서는 소위 ‘야마토 정권의 한반도 남부 경영론’의 출발점이 되고 있는 <日本書紀> 神功, 應神紀의 한반도 관련기사를 분석했다. 당시 상황을 분석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현재 석상신궁(石上神宮)에 보관되어 있는 칠지도를 분석하였다.
제Ⅱ편에서는 5세기대에 있었던 백제와 왜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고, 제Ⅲ편에서는 <日本書紀>를 통해 6세기의 한일관계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제Ⅳ편에서는 지금까지 분석해 온 고대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책을 통해 <日本書紀> 4~6세기에 보이는 소위 임나 문제는 야마토 정권이 주체가 아닌 백제를 주체로 하여 서술할 때만이 당시 한반도와 일본 열도의 정황에 맞는 분석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한반도에서 나타나는 倭人의 실체(實體)에 대해서도 야마토 정권의 임나 지배를 전제로 한반도에 파견되었던 것이 아니라 한반도 남부에서 세력권을 점유하고 있었던 백제에 의해 이루어졌을 경우에 정합성을 갖게 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홍성화(지은이)
배재고, 연세대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고대한일관계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역사연구소 및 일본연구센터 연구교수, 리쓰메이칸대학 객원연구원을 거쳐 현재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교수로 재직하면서 충청북도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충주시 향토문화유산보호위원회 위원, 동아시아비교문화연구회 회장, 동아시아고대학회 부회장, 예성문화연구회 부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고대사에 관한 한국과 일본 역사학계 양쪽의 분석틀을 비판하고 새로운 고대사상(像)을 제시하고자 관련 연구 활동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 하사인가 헌상인가의 논쟁이 있었던 칠지도(七支刀)와 관련해서는 적외선 사진에 나타난 새로운 글자를 통해 독창적인 해석과 분석을 도출하여 고대한일관계사가 전면적으로 수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역설하기도 했다. 또한 일본 국보인 인물화상경에 나온 남제왕은 무령왕의 동생인 동성왕이라는 주장으로 언론에 화제가 되기도 했다. 역사가 몇몇 학자들만의 전유물이 아닌 대중과 호흡하는 학문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처럼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고, 한일관계사의 균형적인 관점이 보편화되길 원하기 때문에 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교류에 작은 몫이라도 기여하는 역사가이자 실천가가 되기를 희망한다. 그 30년간의 열정과 땀의 결과물이 《일본은 왜 한국역사에 집착하는가》에 오롯이 담겨있다.

Table of Contents
책을 펴내면서 서장 제Ⅰ편 『日本書紀』 神功, 應神紀 韓半島 관련 기사 분석 제1장 石上神宮 七支刀에 대한 一考察 제1절 머리말 제2절 七支刀 銘文의 판독 제3절 七支刀 銘文의 해석 제4절 七支刀 제작 당시의 韓日關係 제5절 맺음말 제2장 『日本書紀』 應神紀 東韓之地에 대한 고찰 제1절 머리말 제2절 東韓之地 관련 기사 제3절 廣開土王碑文에 나타난 전투의 실상 제4절 東韓之地 등의 지명 비정 제5절 맺음말 제3장 七支刀와 谷那鐵山 제1절 머리말 제2절 七支刀 제작 당시의 국제관계 제3절 谷那鐵山의 위치 제4절 谷那鐵山의 의미 제5절 맺음말 제4장 廣開土王碑文을 통한 『日本書紀』 神功, 應神紀의 분석 제1절 머리말 제2절 高句麗와 百濟의 전투 제3절 『日本書紀』 神功, 應神紀에 나타난 전투의 실상 제4절 神功紀 삼한정벌의 의미 제5절 맺음말 제Ⅱ편 5세기대 백제와 왜의 관계 제1장 5세기 百濟의 정국변동과 倭 5王의 작호 제1절 머리말 제2절 5세기초 百濟와 倭의 관계 제3절 倭 5王의 작호 요청 제4절 毗有王의 즉위와 국제관계 제5절 昆支의 渡倭와 외교활동 제6절 맺음말 제2장 熊津時代 百濟의 王位繼承과 對倭關係 제1절 머리말 제2절 무령왕의 出自 문제 제3절 문주왕과 삼근왕의 계보 제4절 동성왕과 무령왕의 즉위 제5절 백제의 왕위계승과 왜 제6절 맺음말 제3장 古代 榮山江 流域 勢力에 대한 검토 제1절 머리말 제2절 百濟와 馬韓 제3절 倭系 유물, 유적의 분석 제4절 倭의 개입 여부 문제 제5절 영산강 유역 세력의 실상 제6절 맺음말 제4장 5세기대 木氏를 중심으로 한 百濟와 倭의 고찰 제1절 머리말 제2절 木(?)滿致의 활동 제3절 5세기 紀氏의 활동 제4절 맺음말 제Ⅲ편 『日本書紀』를 통한 6세기 한일관계 분석 제1장 己汶, 帶沙 지명 비정에 대한 일고찰 제1절 머리말 제2절 百濟와 伴跛의 전쟁 제3절 己汶의 위치 비정 제4절 백제의 남부 지역 진출 제5절 맺음말 제2장 『日本書紀』 소위 ‘任那 4縣 할양’ 기사에 대한 고찰 제1절 머리말 제2절 任那 4縣 기사의 사료적 검토 제3절 任那 4縣의 위치 비정 제4절 고고학적 분석과 지리적 위치 제5절 맺음말 제3장 『日本書紀』한반도 관계기사에 보이는 吉備氏에 대하여 제1절 머리말 제2절 『日本書紀』 吉備氏의 한반도 관계기사 제3절 吉備氏의 계보 제4절 吉備 지역의 百濟系 渡倭人 제5절 맺음말 제4장 任那日本府에 대한 고찰 - 『日本書紀』 任那日本府 관련 인물을 중심으로 - 제1절 머리말 제2절 任那日本府 관련 諸說의 문제점 제3절 任那日本府의 용례와 倭人의 역할 제4절 任那日本府 관련 인물에 대하여 제5절 百濟의 加耶 진출과 任那日本府 제6절 맺음말 제Ⅳ편 古代 韓半島와 日本 列島의 관계 제1장 4~6세기 百濟와 倭의 관계 - 『日本書紀』 내 倭의 韓半島 파병과 百濟?倭의 인적교류 기사를 중심으로 - 제1절 머리말 제2절 倭의 韓半島 파병 기사 분석 제3절 百濟에서 倭로의 인적 교류 기사 분석 제4절 百濟와 야마토 왕권의 관계 제5절 맺음말 제2장 『日本書紀』 繼體?欽明紀에 보이는 新羅와 倭의 관계 제1절 머리말 제2절 新羅의 가야 진출과 磐井의 亂 제3절 近江毛野臣의 파견과 新羅 제4절 欽明紀 新羅와 倭의 관계 제5절 맺음말 종장 初出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