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82540 | |
005 | 20210615142634 | |
007 | ta | |
008 | 210611s2021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9967933 ▼g 9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401/.41 ▼2 23 |
085 | ▼a 401.41 ▼2 DDCK | |
090 | ▼a 401.41 ▼b 2021z1 | |
245 | 0 0 | ▼a 비판적 담화 연구의 방법들 / ▼d 워닥, ▼e 메이어 엮음 ; ▼e 김현강 [외]옮김 |
246 | 1 9 | ▼a Methods of critical discourse studies ▼g (3rd ed.) |
260 | ▼a 서울 : ▼b 경진출판, ▼c 2021 | |
300 | ▼a 477 p. : ▼b 삽화 ; ▼c 24 cm | |
490 | 1 0 | ▼a 거시언어학 ; ▼v 12 - 담화·텍스트·화용 연구 |
500 | ▼a 공저자: 신유리, 유희재, 김주성, 심주희, 공나형, 박지현, 이주희, 진산산, 당기, 조태린 | |
504 | ▼a 참고문헌(p. 447-461)과 색인수록 | |
650 | 0 | ▼a Discourse analysis ▼x Methodology |
700 | 1 | ▼a Wodak, Ruth, ▼d 1950-, ▼e 편 |
700 | 1 | ▼a Meyer, Michael, ▼d 1964-, ▼e 편 |
700 | 1 | ▼a 김현강, ▼g 金賢康, ▼d 1970-, ▼e 역 ▼0 AUTH(211009)10002 |
700 | 1 | ▼a 신유리, ▼e 역 ▼0 AUTH(211009)135399 |
700 | 1 | ▼a 유희재, ▼g 兪希在, ▼e 역 |
700 | 1 | ▼a 김주성, ▼g 金柱星, ▼e 역 |
700 | 1 | ▼a 심주희, ▼g 沈珠熙, ▼e 역 |
700 | 1 | ▼a 공나형, ▼g 孔那馨, ▼e 역 |
700 | 1 | ▼a 박지현, ▼g 朴智賢, ▼e 역 |
700 | 1 | ▼a 이주희, ▼g 李周禧, ▼e 역 |
700 | 1 | ▼a 陳珊珊, ▼e 역 |
700 | 1 | ▼a 唐琪, ▼e 역 |
700 | 1 | ▼a 조태린, ▼g 趙兌麟, ▼e 역 |
830 | 0 | ▼a 거시언어학 ; ▼v 12 - 담화·텍스트·화용 연구 |
900 | 0 0 | ▼a 워닥, ▼e 편 |
900 | 0 0 | ▼a 메이어, ▼e 편 |
900 | 1 0 | ▼a Kim, Hyun-gang, ▼e 역 |
900 | 1 0 | ▼a Shin, Yu-ri, ▼e 역 |
900 | 1 0 | ▼a Yu, Hui-jae, ▼e 역 |
900 | 1 0 | ▼a Kim, Joo-sung, ▼e 역 |
900 | 1 0 | ▼a Sim, Ju-hui, ▼e 역 |
900 | 1 0 | ▼a Kong, Na-hyung, ▼e 역 |
900 | 1 0 | ▼a Park, Ji-hyun, ▼e 역 |
900 | 1 0 | ▼a Lee, Ju-hee, ▼e 역 |
900 | 1 0 | ▼a Chen, Shanshan, ▼e 역 |
900 | 1 0 | ▼a Tang, Qi, ▼e 역 |
900 | 1 0 | ▼a Cho, Tae-rin, ▼e 역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41 2021z1 | 등록번호 1118499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41 2021z1 | 등록번호 511054111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25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401.41 2021z1 | 등록번호 5210068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41 2021z1 | 등록번호 1118499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41 2021z1 | 등록번호 511054111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25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401.41 2021z1 | 등록번호 5210068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무엇보다도 비판적 담화 연구의 역사와 발전 과정, 그리고 목적과 지향점을 잘 정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해당 연구가 무엇이고, 그것을 왜 하는지를 잘 이해하게 할 것이다. 또한, 이 책은 비판적 담화 연구의 최신 이론과 방법론을 이해하기 쉽게 제시하고 충분히 연습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해당 연구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친절하게 안내해 줄 것이다.
비판적 담화 연구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이 책은 Ruth Wodak과 Michael Meyer가 함께 엮은
이 책은 비판적 담화 연구의 역사, 의제, 이론, 방법론 등에 대한 비판적 성찰에서 출발하고 있는데, 1장에서는 담화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는 것은 단지 하나의 단일한 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이론, 방법, 분석, 적용, 기타 실행 등을 포함하는 연구의 관점과 태도를 표명하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다음 장부터는 비판적 담화 연구의 대표적 연구 방법론을 하나씩 소개하고 있는데, 가장 먼저 2장에서는 담화-역사적 접근법의 주요 원리와 분석 도구에 대해 논의한다. 이 접근법은 학제적 연구를 지향하고 연구 대상에 대해 다각적으로 접근하면서 담화적 변화에 대한 통시적 재구성과 설명에 초점을 둘 수 있게 하는 역사적 분석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그 연구 결과를 해방적이고 민주적인 목적을 위해 실천적으로 활용하는 데에도 관심이 많다.
3장은 담화, 인지, 사회 등의 세 가지 요소에 대한 다각적 접근을 통합하는 사회인지적 접근법에 대해 논의한다. 이 접근법은 이데올로기의 양극화되고 범주화된 구조는 사회적 태도를 특징지으며, 이 태도는 결국 개인의 정신 모형과 의견에 영향을 주고, 최종적으로는 담화에 의해 표현되고 재생산됨을 보여준다. 담화와 사회의 인지적 접점을 상세히 분석하는 것은 많은 담화 구조들을 분석하는 방법론적 기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어떻게 담화가 사회 속에서 지배의 재생산과 저항에 관여하게 되는지도 설명해 준다.
4장은 비판적 담화 연구의 가장 고전적인 방법론 중 하나인 변증법적-관계적 접근번에 대해 논의한다. 이 접근법에서는 기호현상과 다른 사회적 요소 사이의 관계는 변증법적인 특징을 가진다고 보며 그러한 기호현상 자체보다는 이들 사이의 관계에 방법론적인 초점을 둔다. 초학제걱 연구를 통해 다양한 사회 이론과 연구의 관점과 연구 논리를 활용하여 변증법적-관계적 접근법을 발전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 이론이나 연구들에서는 연구 대상으로 종종 도외시되어 왔던 기호학적 차원을 다룬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5장은 미셀 푸코의 이론적 통찰에 기반하는 담화와 장치 분석의 방법론에 대해 논의한다. 여기서 ‘장치’는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지식의 합성을 의미하는데, 이때의 지식은 언어적으로 수행된 실행만이 아니라 비언어적으로 수행된 실행과 자연물과 생산물을 포함하는 물질화에도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접근법은 특정한 시간과 공간에서 유효한 지식이란 무엇이고, 그것이 어떻게 발생하고 전해지는지, 어떤 기능을 하는지,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등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통해 특히 담화가 권력과 맺는 관계와 방식에 많은 관심을 보인다.
6장은 담화를 사회적 실행의 재맥락화로 바라보는 사회적 실행(또는 행위자) 접근법에 대해 논의한다. 이 접근법에서는 담화가 궁극적으로 사회적 실행을 본떠 만들어진 것이라고 주장하고, 서로 다른 담화들, 즉 현실의 동일한 양상을 이해하는 서로 다른 방식들은 서로 다른 것들을 포함하거나 배제하며, 이로써 서로 다른 이익에 이바지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어떻게 텍스트 분석을 사용하여 담화를 종합하고 사회적 실행과 연결시킬지, 그리고 사회적 실행이 담화가 되면서 일어나는 변형 또는 재맥락화의 과정을 어떻게 분석할지 보여준다.
이어지는 장들은 이 책의 제3판에서 새롭게 추가된 내용들인데, 비판적 담화 연구의 대상과 방법론을 확장하는 논의들이라고 할 수 있다. 대규모의 다양한 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양적 연구 방법론의 발전과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을 반영하여 코퍼스언어학(7장), 시각 자료를 포함하는 다중 모드 분석(8장), 미디어 환경의 변화를 선도하는 소셜미디어 분석(9장) 등이 비판적 담화 연구에 어떻게 활용되고 기여할 수 있는지를 제시하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노먼 페어클럽(지은이)
런던대학(학사와 석사)을 졸업하고, 랭커스터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랭커스터 대학 언어학과에서 가르치다가 2004년 퇴직하였고, 현재 그곳의 명예교수이다. 1980년대에 언어 교육이 곧 ‘언어 사용에 대한 자각’임을 깨닫고, 비판적 언어 분석으로부터 시작하여, 비판적 담화 분석의 흐름을 이끌어오고 있다. 1992년 ≪비판적 언어 자각≫(롱먼출판사) 1995년 ≪대중매체 담화 분석≫(이원표 뒤침, 2004, 한국문화사) 1999년 ≪후기 근대성 속에서의 담화≫(슐리아롸키와 공저, 에딘부뤄 대학 출판부) 2001년 ≪언어와 권력≫(김지홍 뒤침, 2011, 도서출판 경진) 2003년 ≪담화 분석 방법≫(김지홍 뒤침, 2012, 도서출판 경진) 2006년 ≪언어 및 세계화≫(롸우틀리쥐) 2011년 ≪비판적 담화 분석≫(개정판, 롱먼출판사) 2012년 ≪정치 담화 분석≫(김현강 외 뒤침, 2015, 박이정)
Michael Meyer(지은이)
오스트리아 비엔나경제경영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Theo Van Leeuwen(지은이)
호주 시드니공과대학교의 명에 교수, 덴마크남부대학교 언어와 커뮤니케이션 전공 교수
Renate Meyer(지은이)
오스트리아 비엔나경제경영대학교 조직 연구 전공 교수, 덴마크 코펜하겐경영대학원 조직학과의 종신 객원 교수
Martin Reisigl(지은이)
응용언어학 박사를 취득하고 현재 스위스 베른대학교 독일학연구소 사회언어학 전공 조교수
Florentine Maier(지은이)
오스트리아 비엔나경제경영대학교 조교수
Gerlinde Mautner(지은이)
오스트리아 비엔나경제경영대학교 영어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전공 교수, 영국 런던시립대학교 카스경영대학원 명예 객원 교수
Markus Hollerer(지은이)
오스트리아 비엔나경제경영대학교 공공 관리 전공 교수,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 경영대학원의 조직 이론 전공 선임 연구원
Siegfried Jager(지은이)
1972년부터 독일 뒤스부르크-에센대학교 독일어 전공 교수, 1987년부터는 뒤스부르크 언어와 사회 연구소 소장
Johann W. Unger(지은이)
영국 랭카스터대학교 언어학 및 영어학과의 강사
Dennis Jancsary(지은이)
오스트리아 비엔나경제경영대학교 조직연구소와 덴마크 코펜하겐경영대학원 조직학과 박사 후 연구원
루트 보닥(지은이)
영국 랭카스터대학교 담화 연구 전공 석좌 교수
Majid Khosravinik(지은이)
영국 뉴캐슬대학교 미디어와 담화 연구 전공 강사
Teun A. van Dijk(지은이)
1999년부터 스페인 바르셀로나 폼페우파브라대학교에서, 그리고 2004년까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학교에서 담화 연구 전공 교수
김현강(옮긴이)
홍익대학교 교양교육원 초빙교수다. 연세대학교에서 사회언어학을 공부했으며 대화, 담화 연구를 주로 해왔다. 특히 매체와 정치 언어에 관심을 갖고 라디오, 정치 광고, 신문 등 다양한 영역과 미디어에 나타나는 언어 문제, 대화, 담론 현상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제스처(2017), 매체 인터뷰의 담화 전략(2009), 역서로 제스처(2012, 공역), 정치담화분석(2015, 공역)이 있다. “50, 60년대 신문의 언론자유 논증에 대한 담화 연구”(2018), “언론의 공정성 개념”(2016), “정치광고의 내러티브 이면에 있는 논증 분석”(2014), “신문 사설에 나타난 다문화주의의 담론적 양상”(2015), “고개 끄덕임의 대화 내 상호작용 연구”(2012)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조태린(옮긴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학(사회언어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프랑스 파리10대학교 언어과학과에서 사회언어학(언어정책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와 학예연구관, 대구대학교 국제한국어교육과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이다. 저서로 『한국어의 규범성과 다양성』(2008, 공저),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2014, 공저), 『우리말 연구의 첫걸음』(2015, 공저), 『언어순수주의의 발전과 전개』(2019, 공저),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2020, 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언어 제국주의란 무엇인가』(2005, 공역), 『비판적 담화 연구의 방법들』(2021, 공역) 등이 있다. 주요 연구 주제는 한국어의 사회적 변이 양상과 언어와 이데올로기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과 언어 사용 및 정책의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신유리(옮긴이)
연세대학교-용운장학재단 국어학 박사후연구원
유희재(옮긴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수료
김주성(옮긴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심주희(옮긴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공나형(옮긴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박지현(옮긴이)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강사
이주희(옮긴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진산산(옮긴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당기(옮긴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수료

목차
일러두기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장 비판적 담화 연구: 역사, 의제, 이론, 방법론 (Ruth Wodak & Michael Meyer) 1. CDS: 무엇에 관한 것인가? 1.1. ‘연구 그룹’의 간략한 역사 1.2. 공통 기반: 담화, 비판, 권력, 이데올로기 1.3. 담화라는 개념 1.4. 비판적 원동력 1.5. 이데올로기와 권력: 만화경과 같은 관점 2. 연구 의제와 도전 과제 3. 방법론적 문제: 이론, 방법, 분석, 해석 3.1. 이론적 기반과 목적 3.2. CDS의 주요 접근법들 3.3. 데이터 수집 4. 요약 제2장 담화-역사적 접근법(DHA) (Martin Reisigl & Ruth Wodak) 1. 주요 개념과 용어 소개 1.1. ‘비판’, ‘이데올로기’, ‘권력’ 1.2. ‘담화’, ‘텍스트’, ‘맥락’ 2. DHA의 몇 가지 원리와 분석 도구 3. ‘기후 변화 담화’에 대한 분석 3.1. 8단계의 DHA 3.2. 기후 변화에 대한 온라인 뉴스 보도의 파일럿 연구 4. 요약 더 읽을거리 과제 부록(원문): 24개의 댓글 부록(번역): 24개의 댓글 제3장 비판적 담화 연구: 사회인지적 접근법 (Teun A. van Dijk) 1. 용어와 정의 2. 담화-인지-사회의 삼각형 2.1. 사례: 2014년 유럽 의회 선거의 인종주의 프로파간다 3. 인지적 요소 3.1. 담화 처리 과정 3.2. 지식 3.3. 태도와 이데올로기 3.4. 인지적 요소의 관련성 4. 사회적 요소 4.1. 권력과 지배 5. 담화적 요소 5.1. 담화의 구조 5.2. 담화의 이데올로기적 구조 6. 요소들의 통합 7. 저항의 담화: 브라질의 반인종주의 담화 7.1. 인종주의 7.2. 반인종주의 7.3. 반인종주의 이론 7.4. 브라질에서의 인종주의 7.5. 브라질의 반인종주의 담화 7.6. 인종 평등 법안에 대한 논쟁 7.7. 반인종주의 담화 분석 8. 요약 더 읽을거리 과제 제4장 사회 연구에서의 비판적 담화 분석: 변증법적-관계적 접근법 (Norman Fairclough) 1. 이론과 개념 2. 적용 분야 3. 방법론 4. 예시: 정치 담화 분석 5. 실례: 정치 텍스트 분석하기 6. 요약 더 읽을거리 부록 1: 지식 기반 경제 건설(영국 총리의 서문) 부록 2: Brown & Coates(1996)의 발췌문 제5장 담화와 장치 분석하기: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푸코식 접근법 (Siegfried J?ger & Florentine Maier) 1. 들어가기 2. 담화와 장치 분석의 이론적 토대 2.1. 담화의 개념 2.2. 담화와 현실 2.3. 장치 2.4. 담화와 권력 2.5. 비판, 그리고 비판적 담화 분석의 목적 3. 담화와 장치를 분석하는 방법 3.1. 담화와 장치의 구조 3.2. 담화 분석의 완결성에 대하여 3.3. 담화 분석을 위한 작은 도구상자 3.4. 장치 분석에 대한 몇 가지 생각 4. 요약 더 읽을거리 과제 제6장 사회적 실행의 재맥락화로서의 담화-입문 (Theo van Leeuwen) 1. 들어가기 2. 이론적 배경 3. 담화와 사회적 실행 3.1. 행위 3.2. 수행 양식 3.3. 행위자 3.4. 표현 방식 3.5. 시간 3.6. 공간 3.7. 자원 3.8. 자격 3.9. 삭제 3.10. 대치 3.11. 추가 4. 사회적 행위 4.1. 행위와 반응 4.2. 물질적, 기호적 행위 4.3. 대상화와 묘사화 4.4. 탈행위주화 4.5. 일반화와 추상화 4.6. 과잉결정 5. 요약 더 읽을거리 제7장 견제와 균형: 어떻게 코퍼스언어학은 비판적 담화 분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인가 (Gerlinde Mautner) 1. 들어가기 2. 주요 개념과 작업 사례 2.1. 색인 소프트웨어 2.2. 코퍼스 설계의 이슈 2.3. 코퍼스의 유형과 데이터 획득 3. 해석을 돕기 위한 참조 코퍼스의 사용: 두 번째 작업 사례 4. 비판 4.1. 기술 격차 및 표준화의 부족 4.2. 제도적 장벽 4.3. 자료 수집에서의 유혹 이겨내기 4.4. 탈맥락화된 텍스트 4.5. 언어 혁신 4.6. 인식론적 이슈 5. 요약 감사의 말 더 읽을거리 과제 제8장 시각 자료와 다중모드 텍스트의 비판적 분석 (Dennis Jancsary, Markus A. H?llerer & Renate E. Meyer) 1. 들어가기 2. 다중모드 담화란 무엇인가? 3. 비판적 담화 분석과 다중모드성의 관련성 3.1. ‘비판적’이라는 의미에 대한 주안점 3.2. 다중모드성이 비판적 담화 분석에 기여한 것 4. 선행연구와 연구 사례 4.1. 다중모드에서 권력과 이익을 ‘폭로하기’ 4.2. 소외된 주체에게 목소리를 주기 위한 다중모드 담화의 사용 5. 분석 절차에 대한 간단한 시연 5.1. 다중모드 분석 방법에 대한 일반적 언급 5.2. 방법/방법론 소개 5.3. 두 개의 다중모드 텍스트 사례 분석 5.4. 대형 표본 분석으로의 확장 6. 요약 더 읽을거리 과제 감사의 글 제9장 비판적 담화 연구와 소셜미디어: 변화하는 미디어 생태계에서의 권력과 저항, 그리고 비판 (Majid KhosraviNik & Johann W. Unger) 1. 들어가기 2. 비판적 담화 연구의 원리와 소셜미디어 3. 의사소통 권력과 소셜미디어 4. 소셜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담화 접근법의 최신 경향 5. 사례 연구 1: 정치적 저항에 대한 페이스북 ‘표적 집단’ 연구 6. 사례 연구 2: 디지털 매개 시위에서 과학기술과 다언어 사용의 역할 7. 요약 더 읽을거리 과제 용어 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 지은이 소개 옮긴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