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신라의 통일전쟁 : 백제 멸망에서 고구려 멸망까지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상훈, 李相勳, 1976-
서명 / 저자사항
신라의 통일전쟁 : 백제 멸망에서 고구려 멸망까지 / 이상훈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21  
형태사항
311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
민속원 아르케북스 = Minsokwon archebooks ;187
기타표제
신라의 통일전쟁을 군사적 관점에서 살피다
ISBN
9788928515943 9788928503599 (Set)
서지주기
참고문헌(p. 295-307)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Historical geography
주제명(지명)
Silla (Kingdom) --History, Military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82505
005 20220809135028
007 ta
008 210611s2021 ulka b 001c kor
020 ▼a 9788928515943 ▼g 94380
020 1 ▼a 9788928503599 (Set)
035 ▼a (KERIS)BIB000015862550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82 0 4 ▼a 951.901 ▼2 23
085 ▼a 953.035 ▼2 DDCK
090 ▼a 953.035 ▼b 2021
100 1 ▼a 이상훈, ▼g 李相勳, ▼d 1976- ▼0 AUTH(211009)42876
245 1 0 ▼a 신라의 통일전쟁 : ▼b 백제 멸망에서 고구려 멸망까지 / ▼d 이상훈
246 0 3 ▼a 신라의 통일전쟁을 군사적 관점에서 살피다
246 1 1 ▼a The unification war of Shilla
246 3 1 ▼a Unification war of Shilla
260 ▼a 서울 : ▼b 민속원, ▼c 2021
300 ▼a 311 p. : ▼b 삽화 ; ▼c 24 cm
490 1 0 ▼a 민속원 아르케북스 = ▼a Minsokwon archebooks ; ▼v 187
504 ▼a 참고문헌(p. 295-307)과 색인수록
650 0 ▼a Historical geography
651 0 ▼a Silla (Kingdom) ▼x History, Military
651 4 ▼a 신라 (Kingdom) ▼x History, Military
651 0 ▼a Paekche (Kingdom) ▼x History, Military
651 4 ▼a 백제 (Kingdom) ▼x History, Military
651 0 ▼a Koguryŏ (Kingdom) ▼x History, Military
651 4 ▼a 고구려 (Kingdom) ▼x History, Military
651 0 ▼a Korea ▼x History, Military ▼y To 935
830 0 ▼a 민속원 아르케북스 ; ▼v 187
830 0 ▼a Minsokwon archebooks ; ▼v 187
900 1 0 ▼a Yi, Sang-hun,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35 2021 등록번호 1118498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35 2021 등록번호 5110536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953.035 2021 등록번호 5210069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35 2021 등록번호 1118498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35 2021 등록번호 5110536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953.035 2021 등록번호 5210069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660년 백제 멸망에서 668년 고구려 멸망까지 상황을 신라의 입장에서 접근하는 책이다. 수백 년간 지속된 삼국시대는 백제 멸망과 고구려 멸망으로 통일신라시대로 전환되었다. 격동의 과정 속에서 신라는 어떠한 방식으로 전쟁을 수행하였는지 구체적으로 정리하였다. 백제 멸망기 나당연합군의 군사전략, 신라 수군의 역할, 황산벌 전투의 실상, 백제 부흥기 주류성의 위치, 북한산성 전투의 해석, 옹산성 전투의 의미, 김유신의 군량 수송작전, 고구려 멸망기 마읍산의 위상, 신라군 선발대의 진군로, 나당연합군의 진군로, 신라군의 사수 전투와 평양성 전투 등을 다루고 있다.

신라의 통일전쟁을 군사적 관점에서 살피다

이 책은 660년 백제 멸망에서 668년 고구려 멸망까지 상황을 신라의 입장에서 접근하고 있다. 수백 년간 지속된 삼국시대는 백제 멸망과 고구려 멸망으로 통일신라시대로 전환되었다. 격동의 과정 속에서 신라는 어떠한 방식으로 전쟁을 수행하였는지 구체적으로 정리하였다. 백제 멸망기 나당연합군의 군사전략, 신라 수군의 역할, 황산벌 전투의 실상, 백제 부흥기 주류성의 위치, 북한산성 전투의 해석, 옹산성 전투의 의미, 김유신의 군량 수송작전, 고구려 멸망기 마읍산의 위상, 신라군 선발대의 진군로, 나당연합군의 진군로, 신라군의 사수 전투와 평양성 전투 등을 다루고 있다. 이를 통해 삼국통일의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리라 믿는다.

신라가 외세를 끌어들여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점은 분명하다. 또한 영토적으로 대동강 이남에 한정된 점은 안타까운 사실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현대인들의 사고다. 신라가 장기간 전쟁 이후 다시 북진해 당을 자극하는 것은 득보다 실이 많았다. 짧은 시간 내에 가장 많은 영토와 인구 변화를 가져온 것은 신라다. 완전히 다른 3국을 만족할 수는 없을지라도 하나의 공동체 단위로 만든 것만은 인정해야 한다. 고려는 통일신라에서 분리된 3국을 다시 통합한 것이며, 조선은 고려에서 영토를 좀더 확장한 것뿐이다. 현재의 시각으로 당시 신라의 입장을 판단해서는 곤란하다. 과거 당대인들의 고민과 노력을 배우고, 과오가 있다면 반성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상훈(지은이)

우리나라 전쟁사를 전문으로 연구하는 역사학자다. 현재 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관생도들에게 한국사와 군사사를 강의하고 있다. 학군(ROTC) 37기로 1사단에서 군 복무를 했으며, 경북대학교에서 『나당전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가쿠슈인대학과 중국 베이징사범대학에서 수학했으며,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전임연구원과 영남문화연구원 연구교수 등을 역임했다. KBS 「한국사기」, 「민족영웅 홍범도」와 EBS 「다큐프라임」 등에 자문 및 출연했으며, 현재 『아시아경제』에 「이상훈의 한국유사」 전쟁사 칼럼을 연재 중이다. 한국군사사학회 기획이사, 한국군사학논집 편집위원, 한국고대사탐구학회 기획연구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개인 저서로 『나당전쟁 연구』(2013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전략전술의 한국사』(2015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신라는 어떻게 살아남았는가』(2016년 세종도서 교양부문), 『전쟁 이후의 한국사』(2018)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 『군인수지』(2020)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을 펴내며

총론
삼국통일전쟁과 ‘7세기 중후반 동북아시아전쟁’
고려의 통일이 진정한 통일인가
신라는 백제만 통합하려 하였을까
신라의 통일전쟁-백제 멸망에서 고구려 멸망까지

제1부 백제 멸망기

제1장 나당연합군의 군사전략과 백제 멸망
1. 머리말
2. 나당연합군의 출병과 백제군의 대응
3. 나당연합군의 공격계획과 백제군의 배치
4. 나당연합군의 기만전략과 백제의 멸망
5. 맺음말

제2장 신라 수군의 성격과 역할
1. 머리말
2. 당 수군과 신라 수군의 규모
3. 당군의 행군 편성과 신라 수군의 성격
4. 맺음말

제3장 황산벌의 위치와 전투의 재구성
1. 머리말
2. 황산벌과 백제군 3영의 이해
3. 백제군의 전투방식과 성격
4. 신라군의 진군과 황산벌 현장
5. 맺음말

제2부 백제 부흥기

제4장 백제부흥운동과 주류성의 위치
1. 머리말
2. 백제부흥군의 군사활동
3. 백제부흥전쟁 주체세력의 행적
4. 백제부흥운동의 근거지
5. 맺음말

제5장 북한산성 전투와 김유신의 대응
1. 머리말
2. 고구려ㆍ말갈 연합군의 북한산성 포위
3. 천재지변과 고구려ㆍ말갈 연합군의 철수
4. 신라군의 북한산성 구원과 김유신
5. 맺음말

제6장 백제부흥군의 옹산성 주둔과 신라군의 대응
1. 머리말
2. 옹산성의 전략적 가치
3. 옹산성 전투의 진행과정
4. 신라의 행군 운용과 의도
5. 맺음말

제7장 김유신의 군량 수송작전
1. 머리말
2. 군량 수송부대 분석
3. 적성 - 수안간 수송로
4. 수안 - 평양간 수송로
5. 군량 수송지와 철수
6. 맺음말

제3부 고구려 멸망기

제8장 고구려 마읍산의 위치와 군사적 위상
1. 머리말
2. 마읍산의 입지 조건
3. 마읍산의 위치 비정
4. 마읍산과 대동강 수로
5. 맺음말

제9장 신라군 선발대의 진군로와 그 의미
1. 머리말
2. 신라의 행군편성과 선발대
3. 선발대와 당군의 합류지점
4. 선발대의 진군로와 역할
5. 맺음말

제10장 고구려 영류산의 위치와 나당연합군의 진군로
1. 머리말
2. 대성산과 영류산의 관계
3. 당군의 남하와 욕이성의 위치
4. 안주-평양 교통로와 나당연합군의 남하
5. 평양 이북의 교통로와 영류산의 위치
6. 맺음말

제11장 신라군의 사수 전투와 평양성 전투
1. 머리말
2. 신라군의 규모와 전후 포상
3. 사수의 위치와 전투의 의미
4. 사수와 평양성 전투의 복원
5.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갑동 (2022)
정만조 (2022)
서울역사박물관 (2022)
三品彰英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