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004
제1장 _ 인쇄 혁명과 대상세계의 확대
1 _ 파피루스의 권력·016
2 _ 종이의 발명과 서진·020
3 _ 인쇄형 인간의 출현·024
4 _ 인쇄문화의 600년 지배·027
5 _ 인쇄문화의 충격: 지식과 공간의 확장·030
6 _ 신대륙의 발견과 ‘제국 언어’의 탄생·033
제2장 _ 컴퓨터 기술의 발전: 인터넷과 웹의 출현
1 _ 세계를 누비는 컴퓨터 네트워크·040
2 _ 디지털 정보고속도로: 시간과 공간의 압축·042
(1) ‘거리의 죽음’과 이웃해 있는 ‘지구촌’
(2) 상호작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3 _ 인터넷의 세 단계 발전·046
(1) 컴퓨터의 발명과 PC의 보급
(2) 컴퓨터 네트워킹: 인터넷의 효시
(3) 웹의 발명: 거구적 네트워크를 촉진한 소프트웨어
제3장 _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들
1 _ 인간을 대신하는 혁신기술들·064
2 _ ‘만능의 그물’ 사물인터넷IoT·069
(1) IoT가 연출하는 놀라운 삶
(2) 사물인터넷의 특징과 장점
(3) 사물인터넷과 몸과의 관계는?
(4) 리프킨의 공유사회와 IoT
(5) 5G와 ‘달리는 스마트폰’
3 _ 인공지능AI·082
(1) 알파고, 바둑 9단을 꺾다
(2) ‘실용주의 혁명’: AI의 발전 약사
4 _ AI, 인간을 뛰어넘을 수 있을까?·094
(1) AI도 자율학습을 한다
(2) AI는 ‘감정 느낌이 없는 연산기계
(3) ‘범주 오류’에 빠지지 말라
5 _ 응용의 폭을 넓히는 AI와 지능로봇·105
(1) 의료보건·금융·사이버·정부 부문
(2) 회사에서 일하는 AI
(3) 예술을 창작하는 AI
‘6 _ 로봇 지능의 진화·114
(1) 로봇의 일곱 가지 기본 기능
(2) 계속 진화하는 로봇 지능
7 _ 빅데이터: 인간만사가 곧 데이터·126
(1) 데이터란 무엇인가?
(2) 디지털 데이터의 기하급수적 증가
(3) 빅데이터의 특징
(4) 빅데이터의 응용분야
제4장 _ 뉴미디어와 자아
1 _ 두 개의 ‘나’·146
2 _ 분열된 주체, 과정의 주체·148
3 _ 매개된 자아와 가상자아·164
4 _ 네트워크 사회와 네트워크 자아·170
(1) 네트워크 사회
(2) 네트워크 자아the Networked Self
5 _ 네트 사회와 아이덴티티·182
6 _ 이야기풀기·구술성 및 ‘메시지하는 자아’·189
(1) 이야기풀기와 자아
(2) 구술성: 각 시대의 우세한 소통 방식
(3) 메시지하는 인간
7 _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구성요소·201
제5장 _ 미디어 생태계의 변혁, 연결 저널리즘 및 디지털 쓰기·읽기
1 _ 전통미디어의 놀라운 변신·211
(1) 조선일보의 ‘디지털 혁명’
(2) NYT, 8년 만에 디지털 제국으로 우뚝
(3) 전통적 종이신문들의 퇴조
2 _ 신형태 언론의 등장과 연결 저널리즘의 출현·221
(1) 새로운 형태 언론의 등장
(2) 몬트리올 학파의 커뮤니케이션론과 연결 저널리즘
3 _ 사회 변화를 반영하는 언어기호들의 변화·241
(1) 워프 가설Whorfian hypothesis
(2) netlingo와 emoji(이모티콘)
(3) 일상어의 변화와 새로 만들어진 단어들
4 _ 뉴스의 생산-이용자·250
5 _ 인포데믹과 가짜뉴스·257
6 _ 플랫폼에서의 뉴스 보도·263
7 _ 하이퍼텍스트와 디지털 쓰기·읽기·272
(1) 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
(2) 글쓰기 기술의 변화와 발전
제6장 _ 몸·정보·기술과의 상호관계
- 디지털 사회에서의 「행위능력의 자유」
1 _ 파인만, ‘종이가 일을 한다’: 미디어와 인간 뇌의 상호작용·288
2 _ 클릭과 손끝에서 만나는 세상: ‘세계는 당신의 손끝에 있다’·291
3 _ 진화의 추동력은 메타인지적인 앎·294
4 _ 기계와 몸과의 관계: 정보의 기초는 물질성·300
(1) 가상성의 조건the Condition of Virtuality
(2) 분자생물학: 정보정형이 몸을 ‘표현’한다
5 _ 기술 생성의 개념: 환경 영향에 따른 인간의 후생적 변화·313
6 _ 수정 볼드윈 효과와 뇌의 가소성·318
(1) 수정 볼드윈 효과
(2) 뇌의 가소성, 자기 형성을 위한 가능성
(3) 〈가정적 틈새〉에 있는 행위능력의 자유
제7장 _ 인간-기술의 관계와 그 미래를 보는 관점
1 _ 엘률의 비관적 기술결정론·331
2 _ 사회적 기술형성론·339
3 _ 테크노문화technoculture 연구·343
4 _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