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81906 | |
005 | 20210604153627 | |
007 | ta | |
008 | 210603m20219999ulka 000c kor | |
020 | ▼a 9791166850318 (v.1) ▼g 037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a eng |
082 | 0 4 | ▼a 495.7824 ▼2 23 |
085 | ▼a 497.824 ▼2 DDCK | |
090 | ▼a 497.824 ▼b 2021 | |
100 | 1 | ▼a 이연정, ▼g 李姸定, ▼d 1976- ▼0 AUTH(211009)112709 |
245 | 2 0 | ▼a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사용 설명서 / ▼d 이연정 지음 |
246 | 1 1 | ▼a Korean user's manual for Korean learners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1- | |
300 | ▼a 책 : ▼b 천연색삽화 ; ▼c 23 cm | |
505 | 1 0 | ▼n 1. ▼t 교실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생생 한국어 50 = 50 live Korean not taught in classroom ▼g (182 p.) |
546 |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 |
740 | 2 | ▼a 50 live Korean not taught in classroom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824 2021 1 | 등록번호 11184951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어 학습자들이 자주 틀리고, 궁금해하는 한국어 문화·회화 표현을 엄선하여 엮은 ‘한국어 실용서’이다. 이 책에는 한국인들이 일상에서 빈번하게 사용하는 가장 한국적이고 실용적인 표현들, 한국 문화가 고스란히 녹아 있는 생생한 표현들, 사소한 듯하지만 틀리기 쉬운 핵심적인 표현들이 알차게 담겨 있다.
각각의 표현들마다 '대화문, 문법, 어휘·표현, 미니 강의, 퀴즈, 1분 말하기' 코너를 곁들임으로써 적은 시간을 투자하고도 가장 한국적인 문화와 표현을 익히고, 실생활에서 구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의 구성
1. 인트로
삽화를 보면서 대화의 내용을 상상해 보세요.
2. 문법 & 어휘·표현
대화에 사용된 문법과 어휘·표현을 정리해 보세요. 대화의 모든 문법과 어휘·표현은 토픽 초급+α 수준으로 구성되었습니다.
3. 대화
추측한 내용을 떠올리면서 연기하듯이 대화를 소리 내어 읽습니다. 친구들과 역할극도 해 보세요.
4. 미니 강의
미니 강의를 통해 핵심 표현에 대한 한국어 지식을 보충하세요. 미니 강의를 꼼꼼히 읽으면 한국어 문화와 표현에 대한 지식이 넓어질 거예요.
5. 1분 말하기
관련 주제를 가지고 1분 말하기를 해 보세요. 내가 말한 것을 녹음해보거나 친구들과 함께 스터디를 하면 더욱 좋겠지요?
6. 퀴즈
지금까지 익힌 내용을 체크하는 코너입니다. 100점 맞을 자신 있지요?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연정(지은이)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어 주어 교육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10여 년간 한국어와 글쓰기를 가르치고 있다. 현재 서원대학교 휴머니티교양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학 학부생을 대상으로 오랫동안 강의했으며, 외국인의 다양한 문법과 어휘 사용 오류에 관해서도 꾸준히 연구하고 가르쳐왔다. 그 과정에서 쌓은 풍부한 실전 사례를 토대로 <대학 신입생 글쓰기에 나타난 문장 오류 양상 분석>을 발표했으며, 논문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입소문을 타고 큰 화제가 되었다. 20대 글쓰기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이를 개선해 보고자 문장 층위의 오류를 범주별로 분석한 결과였다. 이후 SBS <스브스뉴스>와의 인터뷰로 관련 영상은 유튜브 조회수 200만을 기록 중이다. 한때는 자신도 논문 쓰기를 두려워했던 만큼 글쓰기를 어려워하는 사람들의 심정에 공감하며, 어른이 된 후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글쓰기 능력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는 《주어와 주어 교육》,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사용 설명서》, 《사고와 표현1, 2(공저)》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책, 이렇게 읽어 보세요! 1. 한국어 학습자들이 자주 틀리는 표현들 잘못 쓰면 뜻이 달라지는 ‘에’와 ‘에서’ 한 사람이 삼겹살 삼 인분을 먹었다고? 상수역 말고 성수역으로 가 주세요. ‘저’는 존댓말이라고요. 한국에는 ‘오빠’랑 ‘언니’가 한둘이 아니네. 바지는 입고, 시계는 차고, 안경은 쓰는 거라고! 필통에는 볼펜들, 연필들, 지우개들이 많아요. ‘안녕히 가세요’? ‘안녕히 계세요’! 쓸수록 헷갈리는 ‘여기/거기/저기’ 쓸수록 더 헷갈리는 ‘오다’와 ‘가다’ 2. 한국어 학습자들이 자주 쓰는 어색한 표현들 ‘내’ 엄마가 아니라 ‘우리’ 엄마라고 해야지! 한국에는 없는 ‘그’와 ‘그녀’ ‘제가’와 ‘저는’의 차이 선생님, 같이 점심 먹으러 갑시다!? ‘당신’은 ‘너’의 높임말일까? ‘고맙습니다’와 ‘고마워요’ 상대방도 알아야 쓸 수 있는 ‘잖아’ ‘알겠습니다’라고 말하는 이유 ‘아파’와 ‘아빠’ 사이 어머! 너 좀 여성스럽다! 3. 한국 사람들은 이렇게 말해요! 너무 바빠서 ‘정신이 없었어요’. 배가 고픈 건 아니고 그냥 ‘입이 심심해’. 외국인 앞에만 서면 입이 안 떨어져요. 빙빙 돌리지 말고 말해! 먹고 살기 힘들어요. 너 뒤끝 있구나! 한국어를 공부하기로 마음먹었어. 가방 끈이 길다고 다 성공하는 건 아니잖아요. 넌 정말 간이 크구나! 완전 파김치가 됐어. 4. 한국 문화로 한 발 더 들어가는 표현들 미역국 때문에 웃고 울고! 애교가 참 많으시네요. 나중에 밥 한번 먹자! 식사하셨어요? 소주 한 잔 할까? 왜 이렇게 눈치가 없어? 국물이 진짜 시원하다! 그동안 정이 많이 들었는데. 눈에 콩깍지가 씌어서 그래요. 어제 본 집이 계속 눈에 밟혀요. 5. 한국어 학습자들을 당황하게 하는 표현들 뭐? ‘계란’이 왔다고? 손님, 주문하신 아이스 아메리카노 한 잔 나오셨습니다! 넌 순두부? 난 비빔밥! 어떻게 오셨어요? 실례지만, 몇 년 생이세요? 아이고, 다리야! 아이고, 허리야! 그냥요. 어디 가? 하늘도 바다도 정말 푸르네요. 섭섭한 게 아니라 아쉬운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