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81817 | |
005 | 20210604140737 | |
007 | ta | |
008 | 210603s2021 ulkad b AK 001c kor | |
020 | ▼a 9788952129628 ▼g 9318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150 ▼2 23 |
085 | ▼a 150 ▼2 DDCK | |
090 | ▼a 150 ▼b 2021z2 | |
245 | 0 0 | ▼a 심리학개론 / ▼d 박주용 외 |
246 | 1 1 | ▼a Psychology |
246 | 0 3 | ▼a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진이 개발한 심리학 개론서 |
260 | ▼a 서울 : ▼b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c 2021 | |
300 | ▼a 512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500 | ▼a 공저자: 곽금주, 권석만, 김청택, 오성주, 이훈진, 한소원 | |
504 | ▼a 참고문헌(p. 473-502)과 색인수록 | |
700 | 1 | ▼a 박주용, ▼g 朴注勇, ▼d 1961-, ▼e 저 ▼0 AUTH(211009)100340 |
700 | 1 | ▼a 곽금주, ▼g 郭錦珠, ▼d 1959-, ▼e 저 ▼0 AUTH(211009)75222 |
700 | 1 | ▼a 권석만, ▼g 權錫萬, ▼d 1958-, ▼e 저 ▼0 AUTH(211009)144188 |
700 | 1 | ▼a 김청택, ▼e 저 |
700 | 1 | ▼a 오성주, ▼g 吳星住, ▼d 1971-, ▼e 저 ▼0 AUTH(211009)49923 |
700 | 1 | ▼a 이훈진, ▼g 李訓振, ▼d 1965-, ▼e 저 ▼0 AUTH(211009)131032 |
700 | 1 | ▼a 한소원,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0 2021z2 | Accession No. 11184950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심리학 연구 내용과 방법에서부터 심리치료까지 심리학에 대한 모든 것을 담은 심리학 개론서다. 심리학은 그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마음의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사람들은,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의 마음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든 자신과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고 행동을 예측하려고 한다. 심리학은 이와 같은 마음의 현상을 과학적 방법으로 연구하고 설명한다.
신경과학, 감각과 지각, 학습, 사고와 문제해결, 언어와 지능, 동기와 정서, 성격, 발달심리학, 사회심리학, 스트레스와 건강, 이상행동과 정신장애, 심리치료 등으로 구분하여 사람의 마음과 행동에 관련된 다양한 질문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책이다.
심리학 연구 내용과 방법에서부터 심리치료까지
심리학에 대한 모든 것을 담은 심리학 개론서
심리학(心理學, psychology)은 그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마음(心, psyche)의 원리(理, logos)를 연구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사람들은,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의 마음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든 자신과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고 행동을 예측하려고 한다. 심리학은 이와 같은 마음의 현상을 과학적 방법으로 연구하고 설명한다. 이 책에서는 신경과학, 감각과 지각, 학습, 사고와 문제해결, 언어와 지능, 동기와 정서, 성격, 발달심리학, 사회심리학, 스트레스와 건강, 이상행동과 정신장애, 심리치료 등으로 구분하여 사람의 마음과 행동에 관련된 다양한 질문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진이 개발한
『심리학개론』 출간 !
심리학은 그 이름만으로도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의 말과 행동이 마음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사람들은,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알기 위해 끊임없이 질문을 던진다.
이 책에서는 사람의 마음과 행동에 관련된 질문들을 살펴보고 이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한국이라는 환경을 고려하면서 최신 연구 결과를 담는 한편, 심리학 내 여러 하위 영역 간의 소통을 활성화하고자 하였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의 7명의 교수가 전공 영역별로 총 13개의 장으로 나누어 쓴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심리학에 대한 호기심을 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문적 엄밀성과 실용성도 함께 맛볼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권석만(지은이)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및 석사(임상심리학 전공)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연수원 과정 수료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철학박사(임상심리학 전공)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1993~현재)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장 역임 사단법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장 역임 한국임상심리학회장 역임 임상심리전문가(한국심리학회)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보건복지부)
곽금주(지은이)
서울대학교에서 아동학으로 학사, 심리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은 후 조지워싱턴대학교 교육학 Ed.S, 연세대학교에서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심리학회 부회장, 한국발달심리학회 회장, 한국인간발달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현대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마음에 박힌 못 하나』 『도대체, 사랑』 『습관의 심리학』 『20대 심리학』 등이 있다.
이훈진(지은이)
서울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임상심리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병원에서 임상심리 레지던트 과정을 수료하였으며, 임상심리전문가 및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 자격을 취득하였다.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학생상담센터장을 역임하였으며, 2012년 현재는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와 역서로 『정신분열증』, 『편집성 성격장애』, 『심리장애의 인지행동적 접근』(이상 공저), 『인지 구성주의의 선구자:조지 켈리』(역), 『긍정심리치료』, 『약 없이 우울증과 싸우는 50가지 방법』, 『임상심리학』(2008, 시그마프레스), 『MMPI-2:성격 및 정신병리 평가』(2007, 시그마프레스), 『우울증의 인지치료』(이상 공역) 등이 있다.
오성주(지은이)
2011년 이후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지각심리학, 예술심리학, 로봇심리학 등을 가르치고 있고, 최근에 주식 투자와 관련한 수업인 주식심리학을 개설했다. 착시와 게슈탈트 심리학 연구에 관심이 있다. 전북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뉴저지 주립대학교(Rutgers-Newark) 심리학과에서 지각심리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에 오기 전에는 경남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전임강사로, 전북대학교에서 연구교수로 근무했다.
박주용(지은이)
서울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UCLA에서 인지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림대 심리학과, 세종대 교육학과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있다. 공부란 일방적인 배움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을 발전시켜나가는 지적 활동’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2010년대 초반부터 서울대에서 글쓰기와 토론을 중심으로 한 수업을 주도해왔다. 교수의 목소리만 들리는 다른 일반적인 강의들과 달리 그의 글쓰기 강의에서는 학생들이 각자 써온 글을 놓고 삼삼오오 모여서 토론하는 목소리가 더 많이 들린다. “비판적으로 읽고, 생산적으로 토론하고, 생각을 글로 쓴다”는 원칙하에 이루어지는 그의 글쓰기 수업은 어렵고 힘든 과정임에도 학생들 사이에서 성취감과 만족도가 높은 강의로 정평이 나 있다. 글쓰기와 토론이 우리나라의 입시 중심 교육과 대학의 강의 중심 교육에 변화를 가져다줄 돌파구라고 생각하며,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세바시) 강연 “배운 만큼 생각하게 하는 교육”으로 대중에게 큰 공감을 얻은 바 있다. 2020년 현재 서울대학교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수 모임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창의성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생각은 어떻게 글이 되는가》, 《생각 중심 교육》, 《창의 혁명》(공저), 《문제 해결》이 있다.
김청택(지은이)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계량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및 인지과학협동과정 교수로 재직 중이며, 조사연구학회 회장,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한소원(지은이)
인지심리학자. 서울대학교 심리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에서 인지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오클라호마주립대학 심리학 교수를 지냈다. 뇌가소성, 심리학과 인공지능, 인간-로봇 상호작용을 연구해왔으며 지은 책으로 《변화하는 뇌》 《나이를 이기는 심리학》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머리말 1장 심리학 연구 내용과 방법 1. 심리학이란? 2. 심리학 연구 방법 3. 마음에 대한 측정 4. 심리학의 역사 5. 심리학의 역할과 영향 6. 뇌과학과 심리학의 관계 2장 신경과학 1. 신경계와 행동 2. 신경전달물질과 행동 3. 뇌와 행동 4. 좌뇌와 우뇌 5. 뇌와 신체의 상호작용 6. 뇌의 발달 7. 유전과 행동 3장 감각과 지각 1. 자극과 감각 2. 조직화와 재인 3. 감각의 통합 4. 지각과 동작 5. 지각과 자기 4장 학습 1. 우리는 어떻게 학습하는가? 2. 예측된 연합을 어떻게 학습할 수 있나? 3. 공포증과 중독에 미치는 학습의 영향 4. 조작적 조건형성 5. 조작적 조건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 관찰학습 5장 사고와 문제해결 1. 주어진 정보를 넘어서는 과정으로서의 생각 2. 생각의 요소들 3. 규범적 사고 4. 귀납적 사고 5. 문제해결 6. 창의성 6장 언어와 지능의 이해 1. 언어의 이해와 산출 2. 언어와 사고 3. 심리 측정 4. 지능 7장 동기와 정서 1. 동기는 어디에서 비롯되나? 2. 생물학적 동기의 활성화 3. 심리적 동기는 어떻게 작동하나? 4. 외적 동기는 내적 동기에 어떻게 영향을 주나? 5. 정서가 사람에게 정말 필요한가? 6. 심리학에서 정서란? 7. 정서의 생리적 요인 8. 정서와 의사결정 9. 감정의 표현과 조절 8장 성격의 이해 1. 성격이란 무엇인가? 2. 성격의 특질 이론 3. 성격은 어떻게 측정하나? 4. 성격은 어떻게 결정되나? 5. 성격은 어떤 심리적 구조와 역동으로 작동되나? 6. 성격은 개인의 삶에어떤 영향을 미치나? 9장 발달심리학 1. 발달심리학이란?: 전 생애 발달심리학 2. 감각 및 지각 발달 3. 인지발달 4. 사회인지 및 사회성 발달 5. 도덕성 발달 6. 발달심리학 관련 직업 및 활동 10장 사회심리학 1. 사회인지: 반영인가, 구성인가? 2. 태도와 행동은 서로 어떻게 영향을 주나? 3. 우리 행동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어떻게 영향을 받나? 4. 사회적 관계 11장 스트레스와 건강 1.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2. 스트레스는 어디서 오나? 3. 스트레스를 받으면 어떻게 되나? 4.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5. 건강과 심리학 6. 맺음말 12장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의 이해 1. 이상행동과 정신장애는어떻게 판단하나? 2. 정신장애는 어떻게 분류하나? 3.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의 원인 4. 불안과 관련된 심리적 장애 5. 기분과 관련된 심리적 장애 6. 사고와 관련된 심리적 장애 7. 성격과 관련된 심리적 장애 8. 그 밖의 다양한 심리적 장애 13장 심리치료 1. 심리치료란 무엇인가? 2. 심리치료는 누가 하나? 3. 심리치료의 목표와 과정 4. 주요 치료적 접근 5. 심리치료의 최근 동향 6. 심리치료는 효과적인가? 7.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