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81098 | |
005 | 20210526092716 | |
007 | ta | |
008 | 210525s2021 ulka 00 cu kor | |
020 | ▼a 9791159055652 ▼g 03810 | |
035 | ▼a (KERIS)BIB000015768429 | |
040 | ▼a 248003 ▼c 248003 ▼d 211009 | |
082 | 0 4 | ▼a 895.709 ▼2 23 |
085 | ▼a 897.09 ▼2 DDCK | |
090 | ▼a 897.09 ▼b 2021z4 | |
100 | 1 | ▼a 김명인, ▼g 金明仁, ▼d 1958- |
245 | 1 0 | ▼a 폭력과 모독을 넘어서 = ▼x Beyond violence and insult : ▼b 김명인 비평집 / ▼d 김명인 지음 |
260 | ▼a 서울 : ▼b 소명출판, ▼c 2021 | |
300 | ▼a 370 p. : ▼b 삽화 ; ▼c 23 cm | |
650 | 8 | ▼a 한국 문학 평론[韓國文學評論] |
650 | 8 | ▼a 사회 비평[社會批評]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897.09 2021z4 | 등록번호 1513547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김명인 비평집. 한국 근현대사의 전 과정은 폭력과 모독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식민주의와 전쟁과 냉전체제와 군사독재와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그리고 편협한 민족주의와 완고한 가부장제는 한국사회 구성원들 대부분에게 돌이킬 수 없는 폭력을 저질렀고, 그 피해자의 인격과 존재에 역시 지속적인 모독을 가해왔다.
민족해방, 계급해방, 젠더해방, 생태해방 등 모든 해방적 기획의 최심부에는 모든 존재자들에게 가해지는 부당한 폭력과 모독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근원적 기제가 가로놓여 있다. 이 책에 실리는 글들이 쓰인 지난 15년여 동안 신자유주의 한국사회는 이러한 폭력과 모독이 강도는 낮을지라도 완고하게 전면화되고 일상화된 사회였다. 이 기간 동안 한국사회의 절대 다수 구성원들은 전쟁과 같은 특수한 상황도 아닌 평범한 나날의 일상 속에서 끝없이 이러한 폭력과 모독 속에 노출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나마 지난 10년 정도의 기간 동안은 사람들이 더 이상 이러한 폭력과 모독 아래서 견딜 수 없음을 자각했고, 그에 따라 행동을 시작했다. 촛불혁명과 정권교체, 그리고 페미니즘과 젠더전쟁의 대두는 그 명백하고 적극적인 결과물이었다.
저자의 글쓰기 역시 이러한 변화에 힘입어 죄의식과 부끄러움의 기록에서 점차 폭력과 모독의 대한 연대투쟁의 기록으로 바뀌어가는 중이며, 이 책은 그러한 변화의 기록이기도 하다.
한국 근현대사의 전 과정은 폭력과 모독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식민주의와 전쟁과 냉전체제와 군사독재와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그리고 편협한 민족주의와 완고한 가부장제는 한국사회 구성원들 대부분에게 돌이킬 수 없는 폭력을 저질렀고, 그 피해자의 인격과 존재에 역시 지속적인 모독을 가해왔다. 민족해방, 계급해방, 젠더해방, 생태해방 등 모든 해방적 기획의 최심부에는 모든 존재자들에게 가해지는 부당한 폭력과 모독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근원적 기제가 가로놓여 있다. 이 책에 실리는 글들이 쓰인 지난 15년여 동안 신자유주의 한국사회는 이러한 폭력과 모독이 강도는 낮을지라도 완고하게 전면화되고 일상화된 사회였다. 이 기간 동안 한국사회의 절대 다수 구성원들은 전쟁과 같은 특수한 상황도 아닌 평범한 나날의 일상 속에서 끝없이 이러한 폭력과 모독 속에 노출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나마 지난 10년 정도의 기간 동안은 사람들이 더 이상 이러한 폭력과 모독 아래서 견딜 수 없음을 자각했고, 그에 따라 행동을 시작했다. 촛불혁명과 정권교체, 그리고 페미니즘과 젠더전쟁의 대두는 그 명백하고 적극적인 결과물이었다. 나의 글쓰기 역시 이러한 변화에 힘입어 죄의식과 부끄러움의 기록에서 점차 폭력과 모독의 대한 연대투쟁의 기록으로 바뀌어가는 중이며, 이 책은 그러한 변화의 기록이기도 하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1장
여자들이 온다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 한국소설
당위의 문학에서 존재의 문학으로
죽은 시인의 사회
작가의 윤리와 도덕
유체이탈의 현상학
표절 사건과 세월호 참사는 무엇이 다른가
창비 비평의 활성화를 기대하며
특집 ‘한국 소설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는다’를 읽고
2장
‘세월호 문학’의 시작
기억과 애도의 문학, 혹은 정치학
한강의 <소년이 온다>가 묻는 것
어느 ‘시인-비평가’의 삶과 죽음을 돌아보며
박영근이 남긴 글들
후일담에서 다시 전일담으로
그가 나를 전태일이라 불렀다
부끄러움의 서사, 난쏘공
고통을 응시하기 위한 스물 네 개의 단장
김원일의 <푸른 혼>에 부쳐
3장
‘조국 사태’가 묻는 것
과연 한국사회는 새로운 계급투쟁을 시작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세월호와 함께 살아가기
다시 민중을 부른다
87년 체제를 넘어, 신자유주의 시장독재에 맞서서
1987, 그리고 그 이후
혁명과 반동, 공동체와 개인 사이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