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81009 | |
005 | 20210525180157 | |
007 | ta | |
008 | 210524s2021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9728176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5847060 | |
040 | ▼a 211032 ▼d 211032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658.4038 ▼2 23 |
085 | ▼a 658.4038 ▼2 DDCK | |
090 | ▼a 658.4038 ▼b 2021z9 | |
100 | 1 | ▼a 권오병, ▼g 權五炳, ▼d 1965- ▼0 AUTH(211009)53308 |
245 | 1 0 | ▼a 4차산업혁명과 지속가능사회 = ▼x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sustainable society / ▼d 권오병, ▼e 김관영 |
246 | 3 1 | ▼a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sustainable society |
260 | ▼a 서울 : ▼b 청람, ▼c 2021 | |
300 | ▼a xviii, 454 p. : ▼b 천연색삽화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김관영,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58.4038 2021z9 | Accession No. 11184913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30 지속가능발전의제는 인간, 지구, 번영, 평화, 파트너십 등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30년까지 빈곤과 기아 종식, 국내와 국가 간 불평등 해소, 평화롭고 공정하며 포용적인 사회 건설, 인권보호 및 성평등 촉진, 지구와 천연자원의 영구적 보호 보장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것(Leave no one behind)’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UN의 17가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하나하나 살펴보고 현황과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존의 노력들 그리고 인공지능, 빅데이터, XR, 드론, 로봇, 디지털트윈 등 4차산업혁명기술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들에 대해서 살펴보는 책이다.
2030 지속가능발전의제는 인간, 지구, 번영, 평화, 파트너십(People, Planet, Prosperity, Peace, Partnership) 등 5개 영역(5P)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30년까지 빈곤과 기아 종식, 국내와 국가 간 불평등 해소, 평화롭고 공정하며 포용적인 사회 건설, 인권보호 및 성평등 촉진, 지구와 천연자원의 영구적 보호 보장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것(Leave no one behind)’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UN의 17가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하나하나 살펴보고 현황과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존의 노력들 그리고 인공지능, 빅데이터, XR, 드론, 로봇, 디지털트윈 등 4차산업혁명기술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들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머리말
지속가능사회(A Sustainable Society)란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이 구조화된 사회’라 정의할 수 있다. 사회 각 분야별로 총체적인 차원에서 지속 가능성이 실현된 상태를 의미한다. 공간적으로 한 지역일 수도 있고, 국가일 수도 있고, 지구 전체일 수도 있다.
“On Spaceship Earth There Are No Passengers, Only Crews.” 버크민스터 풀러(Buckminster Fuller)의 말이다. 지구의 지속가능성에 대해서 지구인은 모두 책임이 있으며, 이를 위해 우리는 이제 자본주의사회에서 지속 가능 자본주의사회로 나아가야 한다. 지속가능한 발전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1970년 이후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하여 2000년대에 들어서는 각국에서 제도화의 단계에 들어서고 있다.
일찍이 지속가능성은 경제, 사회, 지구(환경)의 Triple Bottom Lines으로 나뉘어 고려되어 왔다. 이 세 가지 개념은 처음에는 별개의 것으로 받아들여졌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로 세 가지 요소가 서로 통합되어야 진정한 의미의 지속가능 지구를 건설할 수 있다는 사실에 동의해 가고 있다. 국가의 공공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서도 이 세 가지 개념이 모두 등장하고 있다.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논의는 197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72년 로마 클럽이 발간한 <성장의 한계(The Limits to Growth)>는 인구증가와 경제성장이 지속될 경우 앞으로 100년 안에 자원, 식량, 환경이 파괴될 것이라고 지구적 차원에서 경고하였으며, 지구 환경보전이 세계 공통의 과제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1972년 6월 유엔은 스톡홀름에서 유엔인간환경회의(UN Conference on the Human Environment)를 개최하고 인간환경선언(스톡홀름선언)을 선포하였으며, 12월 유엔환경계획(UNEP: UN Environmental Programme)을 발족한 바 있다.
이후 1987년 발간된 <우리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 보고서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공식적인 용어가 처음으로 널리 알려지면서 브룬트란트 보고서에서 지속가능발전을 ‘미래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현재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개발’로 정의하였다.
그 후 1992년 리우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는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ESSD: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개념을 주창하여 지속가능발전 개념을 전 세계로 확산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2002년 지속가능발전 세계정상회의(WSSD)는 지속가능발전의 세 가지 요소인 경제개발, 사회발전, 환경보호의 통합을 강조하였다.
한편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제55차 유엔총회에서는 2015년까지 빈곤의 감소, 보건, 교육의 개선, 환경보호 관련 8가지 목표를 담고 있는 ‘새천년개발목표(MDG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를 의제로 채택하였다.
2012년 리우+20 정상회의(UNCSD)에서는 빈곤퇴치 및 지속가능발전 이행 수단으로 ‘녹색경제’를 주요 의제로 채택하고 새천년개발목표(MDGs)를 대체할 새로운 목표인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설정의 필요성 및 절차에 합의하였다. 2015년 제70차 유엔총회에서 각국은 2016~ 2030년까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이행하는 데 결의하였다.
2030 지속가능발전의제는 인간, 지구, 번영, 평화, 파트너십(People, Planet, Prosperity, Peace, Partnership) 등 5개 영역(5P)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30년까지 빈곤과 기아 종식, 국내와 국가 간 불평등 해소, 평화롭고 공정하며 포용적인 사회 건설, 인권보호 및 성평등 촉진, 지구와 천연자원의 영구적 보호 보장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것(Leave no one behind)’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는 빈곤퇴치를 추구하던 새천년개발목표(MDGs)에서 더 나아가 사회적 불평등, 환경 및 기후변화 문제,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목표이행수단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글로벌하고 보편적으로 적용가능한 17가지 목표 및 169가지 세부목표로 구성되어 있다.
목표 1~16은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목표 17은 16가지 목표를 이행하기 위한 수단에 해당한다. 국가 단위에서는 사회, 경제, 환경분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통합적인 접근을 위한 목표 수립을 강조하고 있으며, 글로벌 수준의 목표에 부합하는 동시에 국가정책 및 우선 과제를 반영하여 설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는 지속가능발전 관련 정책, 법제도 정비 등 산학연관민이 통합 적으로 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을 위하여 세계 굴지의 기업들과 단체들이 SDGs의 일부 혹은 전체를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이제 지속 가능발전(SDGs) 개념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업가치 달성의 중요한 부분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17가지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는 다음과 같다.
•Goal 1: No Poverty(빈곤퇴치) •Goal 2: Zero Hunger(기아종식) •Goal 3: Good Health and Well-Being(건강과 웰빙) •Goal 4: Quality Education(양질의 교육) •Goal 5: Gender Equality(성평등) •Goal 6: Clean Water and Sanitation(물과 위생) •Goal 7: Affordable and Clean Energy(깨끗한 에너지) •Goal 8: Decent Work and Economic Growth(양질의 일자리와 경제 성장) •Goal 9: Industry, Innovation and Infrastructure(산업, 혁신과 사회기 반시설) •Goal 10: Reduced Inequalities(불평등 완화) •Goal 11: 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지속가능한 도시와 공동체) •Goal 12: Responsi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책임감 있는 소비와 생산) •Goal 13: Climate Action(기후변화 대응) •Goal 14: Life Below Water(해양생태계) •Goal 15: Life On Land(육상생태계) •Goal 16: Peace, Justice and Strong Institutions(평화, 정의와 제도) •Goal 17: Partnerships for the Goals(SDGs를 위한 파트너십)
이제 본서에서는 UN의 17가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하나하나 살펴보고 현황과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존의 노력들 그리고 인공지능, 빅데이터, XR, 드론, 로봇, 디지털트윈 등 4차산업혁명기술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들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물론 4차산업혁명기술의 개발과 활용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역효과는 다시 17가지 지속가능발전 목표(SDGs)의 도전이 되기도 하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도 다룸으로써 SDGs 관점에서의 정보기술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견지하려고 노력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권오병(지은이)
현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학장, 경영학과 및 빅데이터응용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근 출판한 주요 도서로는 『4차산업혁명과 지속가능사회』(청람, 2021), 『AI 비즈니스』(범한, 2020), 『4차산업혁명시대의 정보기술과 경영정보시스템』(청람, 2019), 『빅데이터 비즈니스 성공 지도』(에이콘출판사, 2014) 등이 있으며, IT와 경영을 주제로 한 100여 편의 논문을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전(前)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고, 현(現)한국연구재단 SSK 4차산업혁명연구단 단장, 경희대학교 차세대정보기술연구센터 센터장을 비롯해 정부부처 심사 및 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기업 및 정부부처의 IT 과제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김관영(지은이)
한동대학교 경영경제학부 경영학사, 경제학사(2000) 한국과학기술원 기술경영학부 석사(2002), 박사(2015) 몽골 후레정보통신대학교 컴퓨터응용학과장(2002~2003)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경영대학 방문연구원(2010~2011) 베트남 남딩기술교육대학교 경제학부 방문연구원(2012) 사우디아라비아 알야마마대학교 경영대학 초빙교수(2014) 한국발명진흥회 국제개발협력실 국제개발사업팀장(2015~20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설 녹색기술센터 선임연구원(2019~현재) 인도네시아 글로벌문제해결거점센터장(2019~현재)

Table of Contents
|CHAPTER 01| SDGs1 빈곤층 감소와 사회안전망 강화 |CHAPTER 02| SDGs2 식량안보와 지속가능농업 |CHAPTER 03| SDGs3 건강과 행복 |CHAPTER 04| SDGs4 양질의 교육 |CHAPTER 05| SDGs5 성평등 |CHAPTER 06| SDGs6 물과 위생 |CHAPTER 07| SDGs7 에너지와 환경 |CHAPTER 08| SDGs8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 |CHAPTER 09| SDGs9 산업, 혁신과 사회기반시설 |CHAPTER 10| SDGs10 모든 종류의 불평등 완화 |CHAPTER 11| SDGs11 지속가능도시와 주거지 |CHAPTER 12| SDGs12 지속가능생산과 소비 |CHAPTER 13| SDGs13 기후변화 대응 |CHAPTER 14| SDGs14 해양생태계 보호 |CHAPTER 15| SDGs15 육상생태계 보호 |CHAPTER 16| SDGs16 인권, 정의, 평화 |CHAPTER 17| SDGs17 지구촌 협력 확대, 글로벌 파트너 |CHAPTER 18| SDGs Compass, 지속가능발전목표에 관한 기업행동지침 |CHAPTER 19| 특수 논제: AI와 산업의 융합적 공진화방안과 SW정책 책 속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