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동유럽 공산주의 역사

동유럽 공산주의 역사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Hart, Dennis, 저 김정환, 金正煥, 1968-, 저 홍석우, 洪錫佑, 1965-, 저 김상헌, 金相憲, 1969-, 저 엄태현, 嚴泰炫, 1971-, 저 김신규, 金信圭, 1969-, 저 김용덕, 金容德, 1962-, 저 이상동, 李相東, 1968-, 저
서명 / 저자사항
동유럽 공산주의 역사 = Eastern European communist history / 데니스 하트 [외]
발행사항
서울 :   인문과교양,   2021  
형태사항
436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동유럽발칸연구소 인문사회연구소사업단 총서 ;1
ISBN
9791185939780
일반주기
공저자: 김정환, 홍석우, 김상헌, 엄태현, 김신규, 김용덕, 이상동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80980
005 20210526092946
007 ta
008 210524s2021 ulka b 000c kor
020 ▼a 9791185939780 ▼g 0392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35.430947 ▼2 23
085 ▼a 335.430947 ▼2 DDCK
090 ▼a 335.430947 ▼b 2021
245 0 0 ▼a 동유럽 공산주의 역사 = ▼x Eastern European communist history / ▼d 데니스 하트 [외]
260 ▼a 서울 : ▼b 인문과교양, ▼c 2021
300 ▼a 436 p. : ▼b 삽화 ; ▼c 23 cm
490 1 0 ▼a 동유럽발칸연구소 인문사회연구소사업단 총서 ; ▼v 1
500 ▼a 공저자: 김정환, 홍석우, 김상헌, 엄태현, 김신규, 김용덕, 이상동
504 ▼a 참고문헌 수록
536 ▼a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지원을 받아 출판됨 ▼g (NRF-2019S1A5C2A02083167)
700 1 ▼a Hart, Dennis, ▼e
700 1 ▼a 김정환, ▼g 金正煥, ▼d 1968-, ▼e▼0 AUTH(211009)135079
700 1 ▼a 홍석우, ▼g 洪錫佑, ▼d 1965-, ▼e▼0 AUTH(211009)87885
700 1 ▼a 김상헌, ▼g 金相憲, ▼d 1969-, ▼e▼0 AUTH(211009)99029
700 1 ▼a 엄태현, ▼g 嚴泰炫, ▼d 1971-, ▼e▼0 AUTH(211009)134990
700 1 ▼a 김신규, ▼g 金信圭, ▼d 1969-, ▼e▼0 AUTH(211009)141467
700 1 ▼a 김용덕, ▼g 金容德, ▼d 1962-, ▼e▼0 AUTH(211009)96874
700 1 ▼a 이상동, ▼g 李相東, ▼d 1968-, ▼e
830 0 ▼a 동유럽발칸연구소 인문사회연구소사업단 총서 ; ▼v 1
900 1 0 ▼a 하트, 데니스,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430947 2021 등록번호 11184910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2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동유럽발칸연구소 인문사회연구소사업단 총서 1권. 저자들은 동유럽 개별 국가의 전문가들로서 공산주의 역사에 대해 포괄적으로 고찰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지금 이 시점에 동유럽 공산주의에 대한 책을 읽어야 할 당위성은 무엇인가?

공산주의는 전 지구적으로 거의 소멸되었고 이 책을 읽는 대부분의 독자들은 소련과 동유럽 공산정권이 무너진 후에 태어났을 것이다. 또한 동유럽은 한국에서 지리적으로도 멀어서 독자들 중에 동유럽에 가 본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지금은 동유럽에서의 체제 전환이 시작된 지 약 30년이 지난 시점으로 오늘날의 동유럽은 공산주의 동유럽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왜 동유럽의 공산주의 시대에 대해 공부해야 하는가?

이 책의 저자들은 동유럽 개별 국가의 전문가들로서 공산주의 역사에 대해 포괄적으로 고찰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지금 이 시점에 동유럽 공산주의에 대한 책을 읽어야 할 당위성은 무엇인가? 공산주의는 전 지구적으로 거의 소멸되었고 이 책을 읽는 대부분의 독자들은 소련과 동유럽 공산정권이 무너진 후에 태어났을 것이다. 또한 동유럽은 한국에서 지리적으로도 멀어서 독자들 중에 동유럽에 가 본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지금은 동유럽에서의 체제 전환이 시작된 지 약 30년이 지난 시점으로 오늘날의 동유럽은 공산주의 동유럽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왜 동유럽의 공산주의 시대에 대해 공부해야 하는가?
질문은 단순하지만 답변은 매우 복잡하다. 우선, 역사는 언제 어떤 사건이 일어났는지를 나열하는 연대기가 아니다. 역사는 인류의 과거를 연구함으로써 현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더 나아가 앞을 내다보는 혜안을 키우는 학문분야라 할 수 있다. 흔히 “역사는 되풀이된다.”라고들 하지만 과거의 성공과 실패를 공부함으로써 옳은 선택과 피해야 할 선택을 구별할 수 있게 되며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나라의 역사를 배움으로써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넓힐 수 있다. 즉, 역사를 공부함으로써 더 현명하고, 더 넓은 시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 책은 동유럽 공산주의에 관한 책이지만 동유럽과 공산주의 외에도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 외세가 한 나라를 점령하고 개혁하려 할 때 사람들이 어떻게 살아가는가, 점령 정부 치하에서 민족정체성을 어떻게 창조하고 유지하는가, 언어, 교육, 역사 쓰기, 국민들의 일상생활, 소망과 꿈에는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에 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또한 이 책은 국가들 간의 심오한 불평등이 존재하는 세상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어떤 나라는 많은 자원과 넓은 국토를 보유하고 있는 데 비해서 다른 나라는 가진 자원이 없을 때, 한 나라가 막강한 권력을 갖고 있고 다른 나라는 작고 빈약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보여 주기도 한다. 민족들이 각자의 역사를 만들어 가는 방법과 때로는 스스로 선택하지 않은 길을 어쩔 수 없이 가게 되는 모습도 배우게 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데니스 하트(지은이)

전) Associate Vice President, UTRGV Optimus International Education Consulting Founding CEO

김정환(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루마니아어과 교수

홍석우(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김상헌(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과 교수

엄태현(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전임연구원

김신규(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김용덕(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학대학 학장 폴란드 야기엘로니안대학교 역사학 박사 한국동유럽학회 회장 역임

이상동(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전임연구원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장 동유럽 공산주의 역사: 1848년에서 1989년까지
1 들어가는 말
2 국가적 기억으로서의 역사
3 동유럽의 정체성, 민족주의 그리고 다양성
4 위로부터의 공산주의: 스탈린주의와 소비에트의 이상
5 소비에트 연방과 동유럽

2장 루마니아 공산주의 역사
1 루마니아 공국의 통일과 왕정제
2 제1차 세계대전과 대루마니아의 탄생
3 양차 세계대전과 루마니아의 사회 · 문화
4 강요된 이념, 인민민주주의의 시작
5 공산주의 시대의 경제, 사회, 정치 그리고 저항
6 1989년 혁명과 독재의 말로

3장 우크라이나 공산주의 역사
1 공산주의 이전 19세기 우크라이나의 역사
2 제1차 세계대전 전후의 역사
3 제2차 세계대전 전후의 역사
4 전후 냉전 시기의 역사
5 우크라이나의 공산주의 해체 및 체제 전환의 의미와 과제

4장 유고슬라비아 지역 공산주의 역사
1 1918년 이전 근대 유고슬라비아 지역
2 1918~1945년의 유고슬라비아
3 1945~1992년 사회주의 체제하의 유고슬라비아

5장 몰도바 공산주의 역사
1 베사라비아 지역 분리의 시작과 근대
2 제1차 세계대전과 베사라비아 문제
3 제2차 세계대전 전후 베사라비아의 공산화 과정
4 MSSR 성립과 몰도바공화국으로의 독립

6장 체코슬로바키아 공산주의 역사
1 제2차 세계대전과 체코슬로바키아
2 1946년 총선과 공산화 과정: 왜 체코슬로바키아는 자발적으로 공산주의를 선택했나
3 스탈린주의와 ‘사회주의 소비주의’ 시기(1948~1967)
4 ‘프라하의 봄’과 ‘정상화’(1968~1988)
5 ‘거짓된 삶에서의 탈피’와 저항운동(1977~1988)
6 공산정권의 몰락과 ‘벨벳혁명’

7장 폴란드 공산주의 역사
1 19세기 노동 운동으로 시작한 폴란드 공산주의
2 1918년 독립과 함께 해체되는 폴란드 공산당
3 제2차 세계대전 발발과 함께 되살아나는 폴란드 공산당
4 전후 공산주의 시기와 자유 노조의 탄생 그리고 공산당의 몰락

8장 헝가리 공산주의 역사
1 19세기 중반 이후 근대 헝가리: 시민 사회로의 전환
2 제1차 세계대전 전후: 혁명의 시대
3 제2차 세계대전 전후: 사회주의 국가 시대
4 체제 전환과 헝가리 공화국 수립

미주
참고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