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80904 | |
005 | 20210525170105 | |
007 | ta | |
008 | 210524s2021 ulk b 001c kor | |
020 | ▼a 9791159301766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5752992 | |
040 | ▼a 244009 ▼c 244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70.1 ▼2 23 |
085 | ▼a 370.1 ▼2 DDCK | |
090 | ▼a 370.1 ▼b 2021z6 | |
100 | 1 | ▼a Garrison, James W., ▼d 1949- |
245 | 1 0 | ▼a 존 듀이와 교육 : ▼b 듀이 철학 입문과 이 시대를 위한 현대적 재구성 / ▼d 짐 개리슨, ▼e 슈테판 노이베르트, ▼e 케르스텐 라이히 지음 ; ▼e 김세희 [외]옮김 |
246 | 1 9 | ▼a John Dewey's philosophy of education : ▼b an introduction and recontextualization for our times |
260 | ▼a 서울 : ▼b 살림터, ▼c 2021 | |
300 | ▼a 364 p. ; ▼c 23 cm | |
500 | ▼a 공역자: 김언순, 김자운, 서용선, 심성보, 심임섭, 유성상, 이우진, 최현주 | |
504 | ▼a 참고문헌(p. 354-363)과 색인수록 | |
600 | 1 0 | ▼a Dewey, John, ▼d 1859-1952 ▼x Criticism and interpretation |
650 | 0 | ▼a Education ▼x Philosophy |
650 | 0 | ▼a Education ▼x Social aspects |
700 | 1 | ▼a Neubert, Stefan, ▼e 저 |
700 | 1 | ▼a Reich, Kersten, ▼e 저 |
700 | 1 | ▼a 김세희, ▼e 역 |
700 | 1 | ▼a 김언순, ▼e 역 |
700 | 1 | ▼a 김자운, ▼e 역 |
700 | 1 | ▼a 서용선, ▼e 역 |
700 | 1 | ▼a 심성보, ▼e 역 |
700 | 1 | ▼a 심임섭, ▼e 역 |
700 | 1 | ▼a 유성상, ▼e 역 |
700 | 1 | ▼a 이우진, ▼e 역 |
700 | 1 | ▼a 최현주, ▼e 역 |
900 | 1 0 | ▼a 개리슨, 짐, ▼e 저 |
900 | 1 0 | ▼a 노이베르트, 슈테판, ▼e 저 |
900 | 1 0 | ▼a 라이히, 케르스텐,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0.1 2021z6 | Accession No. 11184901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짐 개리슨(지은이)
미국 버지니아공대 교육학부 교수 슈테판 노이베르트Stefan Neubert 독일 쾰른대학교 교수 및 듀이연구소장 케르스텐 라이히Kersten Reich 독일 쾰른대학교 듀이연구소 명예교수
김세희(옮긴이)
고려대학교 강사
김언순(옮긴이)
청주교육대학교 강사
김자운(옮긴이)
공주대학교 강사
서용선(옮긴이)
전 경기도교육청 장학사, 국회의원 보좌관
심성보(옮긴이)
부산교육대학교 명예교수
심임섭(옮긴이)
복잡성교육학회 회장
유성상(옮긴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이우진(옮긴이)
공주교육대학교 교수 _ 저서로 ��Korean Education: Educational Thought, Systems and Content��(공저) ��사라진 스승: 다시 교사의 길을 묻다��(공저) ��일제강점기,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가들��(공저) 등이 있다.
최현주(옮긴이)
공주대학교 대학원에서 “존 듀이 학교론 연구”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전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공주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역서로는 『교육, 자율성, 그리고 비판적 사고』(공역)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자유와 권위에 대한 듀이의 관점과 그 교육적 의의 탐구, 듀이의 ‘반성적 사고’와 화이트헤드의 ‘리듬’ 단계에 함의된 교육인식론 연구, 존 듀이의 철학에 비추어 본 평생교육의 과제와 전망, 니체와 듀이의 삶 철학과 그 교육적 의미 외 다수가 있다.

Table of Contents
옮긴이의 말 존 듀이의 정치철학을 통해 본 그의 교육철학 다시 조망하기 책을 시작하며 1. 교육과 문화: 문화적 전환 자연과 문화 문화와 경험 교육과 사회적 삶 형식 교육과 비형식 교육 상호작용, 교호작용, 의사소통 핵심 텍스트 선정 2. 경험을 재구성하는 교육: 구성적 전환 경험과 교육: 생물학적 매트릭스 경험과 교육: 사회적 매트릭스 경험과 교육: 성장 반사궁 개념 습관, 충동 그리고 지성 탐구의 의미, 반성적 학습 구성과 재구성 그리고 해체 핵심 텍스트 선정 3. 교육, 의사소통, 민주주의: 의사소통적 전환 교육과 의사소통 학습과 공동 활동 민주적 비전 참여와 다양성 사회적 지성과 민주적 재건 핵심 텍스트 선정 4. 비판과 우려: 이 시대를 위한 듀이 사상의 재구성 상징적 재현 상상적 욕망 지그문트 바우만 미셸 푸코 피에르 부르디외 자크 데리다 에마뉘엘 레비나스 리처드 로티 참고 문헌 인명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