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80902 | |
005 | 20210525165417 | |
007 | ta | |
008 | 210524m20192020ulk 001c kor | |
020 | ▼a 9791195603442 (v.1) ▼g 04160 | |
020 | ▼a 9791195603459 (v.2) ▼g 04160 | |
020 | 1 | ▼a 9791195603435 (세트) |
035 | ▼a (KERIS)BIB000015614366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02 ▼2 23 |
085 | ▼a 302 ▼2 DDCK | |
090 | ▼a 302 ▼b 2019z13 | |
100 | 1 | ▼a Dewey, John, ▼d 1859-1952 ▼0 AUTH(211009)54439 |
245 | 1 0 | ▼a 인간 본성과 행위 : ▼b 사회심리 서론 : ▼b 행위로 만들어지는 인간 본성 / ▼d 존 듀이 지음 ; ▼e 최용철 옮김 |
246 | 1 9 | ▼a Human nature and conduct : ▼b an introduction to social psychology |
260 | ▼a 서울 : ▼b 봄, ▼c 2019-2020 | |
300 | ▼a 2책 ; ▼c 23 cm | |
500 | ▼a 색인과 부록수록 | |
505 | 0 0 | ▼n 1. ▼t 습관과 충동 ▼g (259 p.) -- ▼n 2. ▼t 지성과 질성 ▼g (258 p.) |
650 | 0 | ▼a Social psychology |
650 | 0 | ▼a Habit |
700 | 1 | ▼a 최용철, ▼g 崔容哲, ▼d 1956-, ▼e 역 ▼0 AUTH(211009)100286 |
900 | 1 0 | ▼a 듀이, 존,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 2019z13 1 | 등록번호 11184900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 2019z13 2 | 등록번호 1118490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인간은 자연 속에서 이미 완성된 존재로 태어나지 않는다. 인간은 자연 속 경험으로서 행동과정을 거쳐 자기를 만들어가는 존재이다. 곧 자연 속에서 이미 완성된 어떤 존재로 태어나지 않은 인간은, 자연 속에서 자기 행동으로 다르게 바뀌어가는 중이다. 인간이 만들어낸 온갖 제도 역시 자연 속 경험인 만큼 결코 완결된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대개 온갖 제도에 사로잡혀 그것이 바뀔 수 있는 것을 미처 모르고 살아간다. 이것이 속박이고 압박이며 불행이다.
듀이에게 사람이 불행한 것은 자기가 어떤 제도에 사로잡혀 살고 있는지를 미처 깨닫지 못하는 탓이다. 그러한 깨달음은 ‘해방’이며, 그것도 ‘위대한 해방’이다. 위대한 해방을 맞이하여, 사람들은 자기들이 살아갈 새로운 사회를 재구성해야 한다. 새롭게 재구성되는 사회는 민주주의이어야 한다. 민주주의는 사람들 사이에 어떤 차별과 구분이 없다는 평등주의 이념이다. 이러한 이념은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그것이 언제 실현될지도 모른다. 확실한 건 그것은 우리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야 할 공동체 이념이라는 것이다. 듀이의 이러한 사상은 미국의 프래그머티즘Pragmatism 전반에 걸쳐, 특히 현대 정치철학에도 깊게 드리워진다.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행위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인간 본성!
인간은 자연 속에서 이미 완성된 존재로 태어나지 않는다. 인간은 자연 속 경험으로서 행동과정을 거쳐 자기를 만들어가는 존재이다. 곧 자연 속에서 이미 완성된 어떤 존재로 태어나지 않은 인간은, 자연 속에서 자기 행동으로 다르게 바뀌어가는 중이다. 인간이 만들어낸 온갖 제도 역시 자연 속 경험인 만큼 결코 완결된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대개 온갖 제도에 사로잡혀 그것이 바뀔 수 있는 것을 미처 모르고 살아간다. 이것이 속박이고 압박이며 불행이다.
듀이에게 사람이 불행한 것은 자기가 어떤 제도에 사로잡혀 살고 있는지를 미처 깨닫지 못하는 탓이다. 그러한 깨달음은 ‘해방’이며, 그것도 ‘위대한 해방’이다. 위대한 해방을 맞이하여, 사람들은 자기들이 살아갈 새로운 사회를 재구성해야 한다. 새롭게 재구성되는 사회는 민주주의이어야 한다. 민주주의는 사람들 사이에 어떤 차별과 구분이 없다는 평등주의 이념이다. 이러한 이념은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그것이 언제 실현될지도 모른다. 확실한 건 그것은 우리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야 할 공동체 이념이라는 것이다. 듀이의 이러한 사상은 미국의 프래그머티즘Pragmatism 전반에 걸쳐, 특히 현대 정치철학에도 깊게 드리워진다(역자 해제 중 ‘만들어지는 공동체’ 부분 참조).
이러한 사상을 듀이는 『민주주의와 교육Democracy and Education』(1916), 『철학의 재구성Reconstruction in Philosophy』(1920), 『경험과 자연Expe?rience and Nature』(1925), 『경험으로서 예술Art as Experience』(1933) 등등에서 펼친다.
존 듀이의 자연주의와 경험철학
이 책을 읽을 때 무엇보다 먼저 염두에 둘 것은, 듀이의 자연주의와 경험철학이다. 그의 자연주의에 따르면, 우리는 무한히 뻗어가는 자연 속에서 살아간다. 우리는 이 자연 속에서 무한히 펼쳐지는 무수한 사건의 어떤 에피소드일 따름이다. 자연 속에서 사건은, 사람이기도 하고, 사물이기도 하고, 역사이기도 하다. 사물, 사람, 역사는 자연 속 경험이다(여기서 경험은 철학사에 나오는 경험론의 감각경험과는 판이하다: 역자 해제 참조). 자연을 넘어서는 어떤 초월적인 정신이나 영혼이란 없다. 자연주의에 따르면, 자연을 초월하는 세계를 끌어들이는 것은 오류이며, 허구이며, 기만이다.
듀이에 따르면, 사람들은 이제껏 경험을 초월하는 세계를 끌어들여 그것을 경험과 대비시키는 이분법에 사로잡혀 살아왔다. 이분법은 오류, 허구, 기만이며, 그 원흉은 플라톤Platon이다. 플라톤은 육체로 살아가는 저급한 현실 세계와 고상한 정신이 머무는 이상 세계를 구분 지었다. 그러나 자연 속 그 누구도 육체와 정신을 분리해서 살 수 없다. 당연히 정신을 육체보다 우위에 두는 것도 잘못이다. 그 어떤 고결한 정신이라고 한들 한낱 자연 속 경험일 따름이다. 정신은 육체를 결코 벗어날 수 없다. 그럼에도 한탄스럽게도 여전히 사람들이 정신과 육체가 서로 분리될 수 있을까 한 점 의심 없이 그렇다고 믿고 살아간다. 듀이는 자연을 초월하는 것이 도저히 불가능하다고 폭로한다. 이러한 폭로로 말미암은 결론이 바로 자연주의다.
도덕(법칙, 원리)을 오로지 순수한 정신의 발로로 여기는 것이 자연주의를 거부하는 대표 사례다. 칸트Kant는 도덕행위를 순수한 선의지의 발로라고 했던가. 그러나 도덕 역시 경험을 결코 넘어서지 못한다. 경험을 넘어선다는 것은 단순한 상상일 따름이다. 단순한 상상으로 육체를 벗어나서 고결한 정신과 영혼으로 살 수 있다는 생각은 오로지 자기만은 경험을 초월할 수 있다는 자기기만이다. 예언자 혹은 구세주 아니면 깨달음을 얻은 자로 자처하는 자들과 이들을 따르는 무리들이 마찬가지다. 오로지 마음 하나로 얼마든지 세상을 움직일 수 있다고 장담하면서도 그들은 아직까지도 세상을 마음대로 바꾸지 못했다. 그래서 그들은 밤낮없이 경험세계가 바꾸어지기를 오로지 마음만으로 소망한다. 마음만으로 세상이 바꾸어진다는 이 신비스러움이여, 이 허망한 정열이여, 듀이는 한탄한다.
‘도덕’은 본래적 인간 본성, 사회관습과 사회체제라는 이 두 가지 힘들이 상호작용하는 관계 맺기의 과정이다.
이전 사상가들은 인간 본성(에 관한 어떤 지식)이 모든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열쇠이며 따라서 경제, 정치, 종교적 믿음 등등 사회생활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공통된 본성의 구조와 작용이 어떤 역할을 한다고 믿었다.
이러한 견해에 대해서 사회체제와 사회조건의 작용(인간 본성이 드러나는)을 미처 간과하고 있다고 본 듀이는 인간 본성은 사회생활에 큰 영향을 받으며 또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받아 인간 본성은 신축적으로 바뀔 수 있다고 보았다. 예를 들면 (흄도 습관과 관습을 강조했지만,) 습관과 관습에서, 삶과 연관되는 핵심 사실로서 관습은 개인의 습관 형성에 지배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이러한 사회조건과 사회체제의 다양성이 작용함으로써 근본적으로 똑같은 인간 본성의 요인이라도 서로 다른 태도와 경향을 산출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렇게 보면 한쪽은 원초적이고 본래적인 인간 본성을 강조하고, 다른 한쪽은 사회 환경의 영향력을 강조한다. 인류학에서 보면 사회적 현상에서 문화의 전파과정을 떠올리는 사람들은, 공통의 신념과 사회체제가 이 세계의 서로 다른 지역에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할 때마다 서로 다른 지역들이 그 전부터 서로 접촉했었고 상호 교류가 있었다는 것을 전제한다. 반면 그 반대쪽은 어떤 시대 어떤 지역에서든 인간 본성이 일치한다고 생각해서 문화 현상을 인간 본성의 이러한 내재적 통일성으로 해석하려한다. 인간 본성은 사회로부터 어떤 영향도 받지 않으며, 사회현상을 ‘본능’이라고 불리는 원초적 본성의 특질을 끌어들여 설명하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후 경향은 후자보다는 전자 곧 문화의 중요성이 그 이전보다 더 주목받고 있다.
본래적 인간 본성, 사회관습과 사회체제! 어떻게 보면 넓은 의미에서 이 두 가지 힘들이 상호작용하는 관계 맺기의 과정이 ‘도덕’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존 듀이(지은이)
저자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는 미국의 저명한 철학자, 교육학자이자 사회사상가로, 포스트모더니즘과 더불어 오늘날 더욱 각광받고 있다. 포스트-포스트모더니스트라 불리기도 하는 그는 여러 분야에 걸쳐 수많은 저작을 남겼는데, 철학분야의 주저로는 「경험과 자연」(1925) 「확실함의 열망」(1929) 「경험으로서의 예술」(1934) 등이 있고, 교육분야의 주저로는 「민주주의와 교육」(1916) 등이 있다.
최용철(옮긴이)
철학박사 전북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저*역서: 『이기주의론』, 『사피엔스 에티쿠스: 윤리란 무엇인가 묻고 생각하다』, 『철학, 물음이 답이다』, 『윤리학, 그 흐름과 쟁점들』, 『왜? 왜라고 묻는가?』, 『책 읽어주는 책』,『인간 행위론』Human Conduct,『인간 본성에 관한 철학적 논쟁』Ideas of Human Nature,『자유의지에 관한 철학적 논쟁』Free Will,『인간 본성과 행위 Ⅰ, II』Human Nature and Conduct

목차
[v.1] 일러두기 ■이 책을 펴내면서 머리말 1 장 행위과정에서 습관의 역할 1. 사회적 관계 맺기로서 습관 2. 습관과 의지 3. 성품과 행위과정 4. 관습과 습관 5. 관습과 도덕 6. 습관과 사회심리 2장 행위과정에서 충동의 역할 7. 충동과 습관변화 8. 충동의 신축성 9. 변화하는 인간 본성 10. 충동과 습관의 충돌 11. 본능의 분류방식 12. 배타적이지 않은 본능 13. 충동과 사유 존 듀이의 서론 ■ 역자 해제 ■ 찾아보기 [v.2] ? 『인간 본성과 행위 Ⅱ』을 펴내며 5 3장 행위과정에서 지성의 역할 14. 습관과 지성 15. 사유 심리 16. 숙고의 본성 17. 숙고와 계산 18. 좋음의 유니크함 19. 목적의 본성 20. 원리의 본성 21. 욕구와 지성 22. 미래와 현재 4장 결론: 도덕은 사회적이다 23. 행위의 좋음 24. 인문적 도덕 25. 무엇이 자유인가? 26. 도덕은 사회적이다 질성적 사유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