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言語와 人間 : 言語學的 人間學 序說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진우, 金鎭宇, 1933-
Title Statement
言語와 人間 : 言語學的 人間學 序說 / 金鎭宇 著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2021  
Physical Medium
518 p. ; 23 cm
ISBN
9791166850202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512-518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80035
005 20210514094937
007 ta
008 210512s2021 ulk b 000c kor
020 ▼a 9791166850202 ▼g 93700
035 ▼a (KERIS)BIB000015846820
040 ▼a 244009 ▼c 244009 ▼d 211009
082 0 4 ▼a 410 ▼2 23
085 ▼a 410 ▼2 DDCK
090 ▼a 410 ▼b 2021z2
100 1 ▼a 김진우, ▼g 金鎭宇, ▼d 1933- ▼0 AUTH(211009)18645
245 1 0 ▼a 言語와 人間 : ▼b 言語學的 人間學 序說 / ▼d 金鎭宇 著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1
300 ▼a 518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512-518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0 2021z2 Accession No. 11184864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근래에 이르러서의 언어학의 눈부신 발전에 대한 일종의 성찰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서 쓰인 책이다. 누구나 익히 알고 있듯이 Saussure의 구조주의 이론과 Chomsky의 변형문법이론의 등장과 함께 언어학은 그동안에 인문학 전체의 발전 방향을 주도하게 될 만큼 크게 발달했는데, 지금쯤에는 그렇다면 언어학의 앞으로의 더 많은 발전을 위해서라도 과연 언어학이 지금까지 인문학의 주요 학문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해왔는가에 대해서 성찰을 해보는 것이 마땅한 일일 텐데, 아쉽게도 아직까지는 이런 일에 특별히 관심을 두는 사람들은 별로 없었다. 그래서 지금쯤에는 언어학계에 새로운 각성을 불러일으키는 촉매제가 우선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 결과가 바로 이 책이었다.

이 책은 근래에 이르러서의 언어학의 눈부신 발전에 대한 일종의 성찰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서 쓰인 책이다. 누구나 익히 알고 있듯이 Saussure의 구조주의 이론과 Chomsky의 변형문법이론의 등장과 함께 언어학은 그동안에 인문학 전체의 발전 방향을 주도하게 될 만큼 크게 발달했는데, 지금쯤에는 그렇다면 언어학의 앞으로의 더 많은 발전을 위해서라도 과연 언어학이 지금까지 인문학의 주요 학문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해왔는가에 대해서 성찰을 해보는 것이 마땅한 일일 텐데, 아쉽게도 아직까지는 이런 일에 특별히 관심을 두는 사람들은 별로 없었다. 그래서 나에게는 지금쯤에는 언어학계에 새로운 각성을 불러일으키는 촉매제가 우선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 결과가 바로 이 책이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진우(지은이)

陸軍士官學校 卒業 서울大學校 文理大 英文學科 卒業 하와이大學校 大學院 碩士課程 卒業 陸軍士官學校 英語科 敎授歷任 전 中央大學校 文科大 英文學科 敎授(英語學) 주요 저서 英語敎育의 原理와 方法(裕豊出版社, 1983) 英語敎授法(共著, 新雅社, 1984) 現代言語學의 理解(翰信文化社, 1986) 言語와 心理(翰信文化社, 1988) 言語敎育과 心理學(中央大 出版部, 1990) 人間과 言語(集文堂, 1992) 言語와 意思疏通(翰信文化社, 1994) 言語와 文化(中央大 出版部, 1996) 詩와 言語(한국문화사, 1998) 認知言語學의 理解(한국문화사, 1999) 言語習得의 理論과 實相(한국문화사, 2001) 第二語 習得硏究(한국문화사, 2002) 言語와 認知(한국문화사, 2004) 隱喩의 理解(나라말, 2005) 言語의 起源(한국문화사, 2006) 言語와 思考(한국문화사, 2008) 言語와 修辭(한국문화사, 2010) 言語와 腦(한국문화사, 2011) 言語와 精神(한국문화사, 2012) 言語와 言語理論(한국문화사, 2014) 言語와 意味(한국문화사, 2016) 言語와 談話(한국문화사, 2017) 言語와 言語學(한국문화사, 2020)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 서문


제1장 인간성 탐구의 장

1.1 학문의 당위성
1) 인문학의 한계성
2) 언어학적 돌파구
3) 양방적 기여성
1.2 통합적 접근법
1) 내재성 대 학습성
2) 보편성 대 개별성
3) 언어능력 대 언어수행
4) 형식 대 기능
5) 문장 대 담화
6) 음성언어 대 문자언어
1.3 인간성의 여섯 가지 특성
1) 고도의 사회성 유지
2) 높은 수준의 문화 창출과 전수
3) 자유로운 상징력의 발휘
4) 탁월한 인지력의 구사
5) 창조적 은유력의 사용
6) 최고의 예술성의 표출
1.4 언어학적 인간학 연구의 한계성
1) 시안
2) 비교

제2장 고도의 사회성 유지

2.1 언어습득론에서의 연구결과
1) 엄마의 역할
2) 어린이의 노력
3) 5세 이후의 언어습득
2.2 화용론에서의 연구
1) 협력성의 이론
2) 정중성의 이론
3) 관련성의 이론
2.3 담화분석론에서의 연구
1) 회화분석
2) 이야기 분석
3) 비평적 담화분석
2.4 사회언어학에서의 연구
1) 사회적 방언에 대한 연구
2) 민족지학적 언어연구
3) 사회언어학적 이야기 분석

제3장 높은 수준의 문화의 창출과 전수

3.1 최고의 문화적 기구인 언어
1) 언어와 문화의 관계
2) 언어의 구조적 정교성
3.2 문화와 학문
1) 철학의 경우
2) 과학의 경우
3.3 언어와 사고의 관계
1) Humboldt의 세계관의 가설
2) Sapir-Whorf의 언어적 상대성의 가설
3) 보편성과 개별성
3.4 문화와 문자언어
1) 복수 기원설
2) 상보적 기능
3) 특수한 기능


제4장 자유로운 상징력의 발휘

4.1 기호와 상징
1) 도상성 대 지표성
2) 언어적 상징 대 비언어적 상징
4.2 상징적 집합체로서의 어휘조직
1) 일곱 가지 특징
2) 복합어
3) 관용어구
4) 약어
4.3 문법의 상징성
1) 어순
2) 품사
3) 준동사
4) 문법적 범주
4.4 수사법의 상징성
1) 은유법
2) 반복법
3) 반어법


제5장 탁월한 인지력의 구사

5.1 일반적 인지력과 문장 생성력 간의 관계
1) 인지력 연구의 역사
2) Chomsky의 문법이론
3) 연결주의 이론
5.2 언어산출의 체계성과 문법부의 중심성
1) 언어산출의 체계성
2) 문법부의 중심성
5.3 문법적 규칙의 정교성
1) 수동화 절차에 관한 규칙들
2) 흔적이론
3) 최소주의 이론
5.4 언어 수행과 인지작용
1) 개별문장의 문제성
2) 상황적 적절성
3) 회화적 규칙


제6장 창조적 은유력의 사용

6.1 은유의 편재성
1) 협의의 은유와 광의의 은유
2) 일상적인 은유사용
3) 유추력으로서의 은유력
4) 은유의 창조성
6.2 어휘적 다의성과 관용구
1) 명사
2) 동사
3) 형용사
4) 부사
6.3 인지력과의 상보적 관계
1) 인지적 절차의 재해석
2) 사실적인 근거
3) 비은유문과 은유문의 조화성
6.4 은유의 창조성
1) 창조성의 정의
2) 시적 은유


제7장 최고의 예술성의 표출

7.1 예술성 표출의 매체로서의 언어
1) 문학의 위상
2) 문학 발달의 역사
7.2 시의 예술성
1) 운율적 형식
2) 언어적 기법
3) 시적 상상력
4) 시적 지혜와 진리
7.3 희곡의 예술성
1) 연극이론의 발달
2) 희곡의 구조
7.4 소설의 예술성
1) 소설 발달의 두 동력
2) 문체의 예술성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