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영화는 무엇이 될 것인가? : 영화의 미래를 상상하는 62인의 생각들 (Loan 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Corporate Author
전주국제영화제
Title Statement
영화는 무엇이 될 것인가? : 영화의 미래를 상상하는 62인의 생각들 / [전주국제영화제 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프로파간다,   2021  
Physical Medium
230 p. : 천연색삽화 ; 18cm
ISBN
9788998143732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80033
005 20210514094022
007 ta
008 210512s2021 ulka 000c kor
020 ▼a 9788998143732
035 ▼a (KERIS)BIB000015846822
040 ▼a 244009 ▼c 244009 ▼d 211009
082 0 4 ▼a 791.43 ▼2 23
085 ▼a 791.43 ▼2 DDCK
090 ▼a 791.43 ▼b 2021
110 ▼a 전주국제영화제
245 1 0 ▼a 영화는 무엇이 될 것인가? : ▼b 영화의 미래를 상상하는 62인의 생각들 / ▼d [전주국제영화제 편]
260 ▼a 서울 : ▼b 프로파간다, ▼c 2021
300 ▼a 230 p. : ▼b 천연색삽화 ; ▼c 18cm
536 ▼a 이 책은 Instituto Nacional de Cine y Artes Audiovisuales(INCAA)의 지원으로 개최되는 Mar del Plata International Film Festival과 전주국제영화제 간의 협력을 통해 제작되었음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 2021 Accession No. 11184864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21년 전주국제영화제가 편집한 ‘영화의 미래’를 말하는 62인의 에세이 모음집. 2020년 아르헨티나 마르델플라타국제영화제가 출간한 동명의 책을 2021년 전주국제영화제가 이어 쓰는 형식으로 편집한 것으로, 원서에 수록된 글 외에 전주국제영화제가 섭외한 국내외 필자의 글을 묶어 일종의 영화의 미래에 관한 ‘생각의 조각집’ 같은 책이 되었다.

2021년 전주국제영화제가 편집한 ‘영화의 미래’를 말하는 62인의 에세이 모음집. 2020년 아르헨티나 마르델플라타국제영화제가 출간한 동명의 책을 2021년 전주국제영화제가 이어 쓰는 형식으로 편집한 것으로, 원서에 수록된 글 외에 전주국제영화제가 섭외한 국내외 필자의 글을 묶어 일종의 영화의 미래에 관한 ‘생각의 조각집’ 같은 책이 되었다.
에세이, 편지, 일기, 시(詩) 등 자유로운 형식에 담긴 62인 필자의 글은 대체로 코로나 팬데믹 사태에 점점 희미해지는 영화의 존재 이유를 되새기는 것으로, 코로나 시대를 통과하고 있는 영화팬이라면 절절히 공감할 언구로 가득 차 있다.
영화 기자 김혜리, 소설가 정지돈, 영화 감독 전고운, 아티스트 임흥순을 비롯한 한국 필자 28명과 아르헨티나 영화 평론가 마르셀로 알데레테, 영화 감독 퀘이 형제 등 해외 필자 34인의 글을 수록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전주국제영화제(엮은이)

전주국제영화제는 영화예술의 대안적 흐름과 독립 · 실험 영화의 최전선에 있는 작품들을 소개하고자 2000년에 출범했다. 영화 상영뿐만 아니라 전주시네마프로젝트(JCP)를 통한 제작 지원, 지역영화 지원사업 등을 통해 미래 영화의 주역이 될 재능 있는 영화인을 발굴하고, 전 세계 영화작가들이 만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영화는 무엇이 될 것인가》(2021), 《발리우드 너머의 영화들》(2013), 《한국단편영화의 쟁점들》(2007) 등 발간사업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www.jeonjufest.kr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13 영화 일기 / 김혜리(영화 기자)
15 미래는 이미 과거다 / 마르셀로 알데레테(영화 평론가)
19 타인의 삶이 아직 거기 있다 / 김옥영(영화 제작자)
22 나의, 계속될 영화 / 장우진(영화감독)
28 20세기 영화의 호흡이 지속된다면 / 김영진(영화 평론가)
31 Stayin’ Alive(살아 있다) / 안드레아 피카드(영화 평론가)
36 영화에 대한 것은 아닌 / 정지돈(소설가)
39 이미, 거기 있었던 영화 / 강유정(영화 평론가)
42 영화 일기(2020년 4월~9월) / 안드레스 디텔라(영화감독)
51 우리의 영화는 무엇이 될 것인가? / 정종화(영화 연구가)
54 낙원의 길에서 / 제임스 베닝(영화감독)
56 지속하는 시간, 지속하는 영화 / 장병원(영화 평론가
58 공포의 맛 / 퀸틴(영화 평론가)
62 무제 / 아피찻퐁 위라세타꾼(영화감독)
63 필요한 건 오직 시간뿐 / 장건재(영화감독)
65 영화되기 / 김진아(영화감독)
70 영화의 역사 / 마리아노 지나스(영화감독)
79 항해가 계속되는 한 / 퀘이 형제(영화감독)
82 다섯 개의 미래 / 니콜 브르네(영화 이론가)
88 같이 영화를 봤을 너에게 / 전고운(영화감독)
91 어둠 속에서 영화를 보았다 / 심재명(영화 제작자)
94 축복받은 패배자 / 김보라(영화감독)
97 ‘영화는 어떻게 될 것인가?’ 이유는 몰라도 필요해 / 호나스 트루에바(영화감독)
101 지금 영화는 어떻게 되고 있는가 / 아도 아리에타(영화감독)
102 포옹 / 김민경(영화 제작자)
104 때때로 우리는 길 잃은 느낌에 휩싸인다 / 클레어 애서턴(영화 편집 감독)
107 알베르티나, 그건 핀란드잖아! / 알베르티나 카리(영화감독)
112 영화 보기 / 마티아스 피녜이로(영화감독)
113 메일 필름 아트 / 에이드리언 마틴(영화 평론가)
116 친애하는 동료 여러분께 / 마리 로지에(영화감독)
118 흐른다, 사이로 / 정지혜(영화 평론가)
121 우리가 함께 영화를 만들던 시간 / 예르반트 자니키안+안젤라 리치 루키(영화감독)
122 징후와 세기: 존 포드의 팬데믹 시네마 / 조던 크롱크(영화 평론가)
127 영화는 여행이다 / 김순모(영화 제작자)
130 유령/꿈 / 존 토레스(영화감독)
131 라 플로르 혹은 피어나는 끝없는 이야기 / 이상용(영화 평론가)
135 조난자와 영화 / 수르소 치로(영화감독)
140 2021 / 김초희(영화감독)
143 영화만의 ‘시간’을 통과하기 / 김희정(영화감독)
146 이상한 포옹 / 임흥순(영화감독)
150 불확실성을 걷다 / 나르시사 히르슈(영화감독)
151 우리의 영화 같은 나날들 / 에런 커틀러(영화 평론가)
156 극장이 사라지는 세상의 영화 / 강유가람(영화감독)
160 영화를 좋아한다고 말하는 것은 / 달시 파켓(영화 평론가)
162 해마 / 프란시스코 알가린 나바로(영화 평론가)
168 영화적인 것을 그리워하며 / 주진숙(영화 연구가)
170 영화 발굴하기, 호흡을 다시 배우기 / 빅토르 기마랑이스(영화 평론가)
175 숨결 / 민규동(영화감독)
179 시네마에게 / 발레리 마사디앙(영화감독)
183 스크린 앞에서 / 이창재(영화감독)
186 함께 / 올라프 묄러(영화 평론가)
193 인간은 무엇이 될 것인가 / 정다희(영화감독)
196 나는 영화를 까맣게 잊고 있었다 / F.J. 오상(영화감독)
199 이미지의 힘을 여전히 믿는다 / 강상우(영화감독)
200 이 길은 어디인가 / 주앙 페드루 호드리게스+주앙 후이 게하 다마타(영화감독)
203 영화가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만족합니다. 하지만 / 마르틴 파울리(영화 평론가)
207 다시 시작해 보는 용기 / 장영엽(?씨네21 편집장)
209 마법 / 헬레나 비트만(영화감독)
215 어떤 연설과 낡은 전쟁 / 손희정(문화 평론가)
218 역병의 일기(2020년 3월~10월) / 루카스 그라네로(영화 평론가)
223 새로운 시대로 / 쥐안치(영화감독)
230 에필로그 / 히타 아제베두 고메스(영화감독)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정서경 (2023)
이도훈 (2023)
한국영화학회 (2022)
宇野常寛 (2022)
프로파간다 (2022)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영화와의사소통연구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