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80028 | |
005 | 20210514090950 | |
007 | ta | |
008 | 210512s2021 ggka b 001c kor | |
020 | ▼a 9791165871444 ▼g 94300 | |
020 | 1 | ▼a 9791165871406 (세트) |
035 | ▼a (KERIS)BIB000015834731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82 | 0 4 | ▼a 303.482519 ▼2 23 |
085 | ▼a 303.48253 ▼2 DDCK | |
090 | ▼a 303.48253 ▼b 2021 | |
245 | 0 0 | ▼a 근대전환공간에서 만들어진 사회문화현상 : ▼b 서구와 동아시아의 조우 / ▼d 윤정란 외 지음 |
260 | ▼a 파주 : ▼b 보고사, ▼c 2021 | |
300 | ▼a 291 p. : ▼b 삽화 ; ▼c 24 cm | |
490 | 1 0 | ▼a 메타모포시스 인문학총서 ; ▼v 12 |
500 | ▼a 공저자: 세바스찬 김, 케네스 웰즈, 이철, 이성현, 허지향, 윤정란, 윤영실, 성주현 | |
504 | ▼a 참고문헌(p. [267]-284)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저서는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8S1A6A3A01042723) | |
700 | 1 | ▼a 윤정란, ▼g 尹貞蘭, ▼e 저 |
700 | 1 | ▼a 김세바스찬, ▼e 저 |
700 | 1 | ▼a Wells, Kenneth, ▼e 저 |
700 | 1 | ▼a 이철, ▼g 李哲, ▼e 저 |
700 | 1 | ▼a 이성현, ▼g 李成賢, ▼e 저 |
700 | 1 | ▼a 허지향, ▼g 許智香, ▼e 저 |
700 | 1 | ▼a 윤영실, ▼g 尹寧實, ▼e 저 |
700 | 1 | ▼a 성주현, ▼g 成周鉉, ▼e 저 |
830 | 0 | ▼a 메타모포시스 인문학총서 ; ▼v 12 |
900 | 1 0 | ▼a Youn, Jung-ran, ▼e 저 |
900 | 1 0 | ▼a Kim, Sebastian C. H., ▼e 저 |
900 | 1 0 | ▼a 웰즈, 케네스, ▼e 저 |
900 | 1 0 | ▼a Lee, Chul, ▼e 저 |
900 | 1 0 | ▼a Lee, Seong-hyun, ▼e 저 |
900 | 1 0 | ▼a Heo, Ji-hyang, ▼e 저 |
900 | 1 0 | ▼a Youn, Young-shil, ▼e 저 |
900 | 1 0 | ▼a Sung, Joo-hyun,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3.48253 2021 | 등록번호 11184863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윤정란(지은이)
숭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일제시대 한국기독교 여성운동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 근현대사에서의 여성, 종교(기독교), 항일운동, 한국전쟁 등에 관련된 연구를 오랫동안 수행해왔다. 현재 서강대학교 종교연구소 연구원,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한국전쟁연구국제사업단(Beyond the Korean War) 연구원이다. 주요 저서로 『한국 기독교 여성운동의 역사』(2003), 『19세기말 서양선교사와 한국사회』(공저, 2004), 『전쟁과 기억』(공저, 2005), 『종교계의 민족운동』(공저, 2008), 『서북을 호령한 여성독립운동가 조신성』(2009), 『혁명과 여성』(공저, 2010), 『왕비로 보는 조선왕조』(2015) 등이 있으며, 다수의 논문이 있다.

목차
간행사 머리말 제1부 근대전환기 기독교의 유입과 사회문화적 역할 근대전환기 기독교의 공적 역할에 대한 이해)_ 세바스찬 김 초기 한국 기독교 지도자들의 변혁 열망 속에서 나타난 문화적 갱신과 파괴의 긴장_ 케네스 웰즈 서구 근대 물질문화의 유입과 경험의 공간으로서 초기 선교사 사택_ 이철 제2부 서구 과학과 철학의 도입, 그리고 변형 기이한 근대: 『점석재화보』에 나타난 ''격치''의 시각적 재현_ 이성현 이노우에 데츠지로 외 2, 『철학자휘』에 관한 고찰 제3부 근대 주체로 등장한 여성과 백정 근대전환공간에서 새롭게 부상한 여성주체: 여권통무을 선언한 여성들_ 윤정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