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月印千江之曲』의 국어학적 분석

『月印千江之曲』의 국어학적 분석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성환갑, 成煥甲, 1946- 조재형, 趙宰亨, 1974-, 저
서명 / 저자사항
『月印千江之曲』의 국어학적 분석 / 成煥甲, 趙宰亨 공저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형태사항
540 p. ; 27 cm
ISBN
9788968497827
서지주기
참고문헌: p. 533-540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79458
005 20210510155626
007 ta
008 210507s2021 kjk b QB 000c kor
020 ▼a 9788968497827 ▼g 93700
035 ▼a (KERIS)BIB000015808749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495.77 ▼2 23
085 ▼a 497.702 ▼2 DDCK
090 ▼a 497.702 ▼b 2021
100 1 ▼a 성환갑, ▼g 成煥甲, ▼d 1946-
245 1 0 ▼a 『月印千江之曲』의 국어학적 분석 / ▼d 成煥甲, ▼e 趙宰亨 공저
260 ▼a 광주 : ▼b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c 2021
300 ▼a 540 p. ; ▼c 27 cm
504 ▼a 참고문헌: p. 533-540
700 1 ▼a 조재형, ▼g 趙宰亨, ▼d 1974-,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702 2021 등록번호 1118483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15세기 중엽 효령대군에 의해 전북 부안 실상사 불복장되었는데, 1894년 동학 농민들에 의해 불상이 파괴되면서 발견이 되었다. 불복장 안에 있던 고서 중에서 부안 내소사의 백학명 스님에 의해 『月印千江之曲』이 발견되고, 이를 1918년 10월, 국묵담 스님이 당시의 실상사 주지 김성연 스님에게서 인수하였고, 이를 다시 1961년 당시 광주체신청장이었던 진지홍 씨가 인수하였다.

그동안 『月印千江之曲』을 국어학적으로 다룬 서적은 그리 많지 않으며, 대부분이 출판한지 약 40년이 지났다. 이러한 점이 사실상 이번에 새롭게 『月印千江之曲』에 대한 원고를 쓰게 된 동기라 해도 무방할 것이다.

『月印千江之曲』은 15세기 중엽 효령대군에 의해 전북 부안 실상사(實相寺) 불복장(佛腹藏)되었는데, 1894년 동학 농민들에 의해 불상이 파괴되면서 발견이 되었다. 불복장 안에 있던 고서 중에서 부안 내소사(來蘇寺)의 백학명(白鶴鳴) 스님에 의해 『月印千江之曲』이 발견되고, 이를 1918년 10월, 국묵담(鞠黙潭) 스님이 당시의 실상사 주지 김성연(金性連) 스님에게서 인수하였고, 이를 다시 1961년 당시 광주체신청장이었던 진지홍(陳錤洪) 씨가 인수하였다. 이때 전남대학교에서 『月印千江之曲』을 등사판으로 원형대로 복사하여 학계에 공개한 바가 있다. 어찌 보면 『月印千江之曲』을 학계에 최초로 공개하여 이 책에 대한 연구를 촉발시킨 것은 전남대학교의 업적이라 할 수 있는데, 이번에 전남대학교에서 근무하는 제자와 함께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에서 ‘『月印千江之曲』의 국어학적 분석’을 출판하게 된 것은 정말 뜻깊은 일이라 생각한다. 그동안 『月印千江之曲』을 국어학적으로 다룬 서적은 그리 많지 않으며, 대부분이 출판한지 약 40년이 지났다. 이러한 점이 사실상 이번에 새롭게 『月印千江之曲』에 대한 원고를 쓰게 된 동기라 해도 무방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조재형(지은이)

1974년 인천 출생으로 1993년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였고, 이후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사(2000), 문학 석사(2005), 문학 박사(2009) 학위를 받았다. 2014년부터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현재 ‘중세국어 문법의 이해’, ‘국어학 문헌 강독’, ‘국어사’ 등을 학부에서, ‘고대국어연구’, ‘차자표기연구’, ‘중세국어연구’, ‘국어문법사연구 등을 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다. 앞으로 국어문법사 연구를 중심으로, 국어 개념사 연구, 국어 시상 연구 체계의 통시적 변천 등의 장기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학계에 발표한 대표 논문과 저서는 다음과 같다. 1) 논문 소위 複合格助詞 ‘엣’의 通時的 考察(2008) 古代國語時期의 借字表記 ‘良’의 讀音 考察(2009) 古代國語時期의 ‘衣’의 讀音에 관하여(2009) ‘이어긔, 그어긔, 뎌어긔’에 대한 考察(2010) 부사격조사 ‘-矣/-衣’, ‘-希’, ‘-未’의 비교 고찰(2011) ‘-에게’形의 변천과정에 대한 통시적 고찰(2011) 소위 특이처격조사의 통시적 변천 고찰(2013) ‘-에’와 ‘-에서’의 기본의미 비교 고찰(2014) 中世·近代國語 副詞格助詞 硏究의 爭點과 課題(2016) 민족 개념과 국어 개념의 형성 관계에 대한 고찰(2018) 2) 저서 용비어천가의 국어학적 분석과 현대역(2018, 공저) 고조선의 언어계통 연구, 동북아역사재단(2018, 공저)

성환갑(지은이)

1946년 경남 진양군(현재 진주시) 출생으로 1965년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였고, 이후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사(1969), 문학 석사(1972), 문학 박사(1983) 학위를 받았다. 1979년부터 2011년까지 중앙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재직 중에 ‘국어사’, ‘국어학강독’, ‘국어음운론’ 등을 학부에서, ‘국어사특수연구’, ‘중세국어연구’, ‘근대국어연구’, ‘국어의미변화론’, ‘한국한자어연구’ 등을 대학원에서 강의하였다. 중앙대 대학원장(2007. 02. ~ 2009. 01.), 국어학회 회장(2007. 03. ~ 2009. 0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회장(2010. 03. ~ 2014 .02.), 한국어문회 이사장(2016. 03. ~ 2020. 02.) 등을 역임하였다. 지금까지 국어사 분야와 관련하여 국어 문법사, 국어 의미 변화사, 한국 한자어 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해왔다. 1) 논문 中世國語 格助詞 硏究(1977) 固有語의 漢字語化 過程(1987) 意味의 具象化와 抽象化(1988) 國語史의 對照的 樣相(上)(1989) 音韻의 脫落과 添加(1990) 音의 硬化와 弱化(1990) 國語史의 對照的 樣相(下)(1990) 意味의 縮小와 擴大(1991) 意味의 向上과 卑下(1991) 類義字 結合에 의한 漢字語 形成(1998) 反義字 結合 漢字語 연구(Ⅰ)(2001) 反義字 結合 漢字語 연구(Ⅱ)(2002) 字順倒置 漢字語 硏究(2005) 『瘡疹方撮要』 해제(2005) 蘭汀 南廣祐 博士의 學問 世界(2008) 固有語와 漢字語의 調和(2010) 2) 저서 月印千江之曲 譯註 (1978, 공저) 國語學散考(2006)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일러두기〉/ 14

1. 『月印千江之曲』 해제(解題) / 17
2. 『月印千江之曲』 주해(註解) / 21

〈상세 문법 설명〉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성조와 방점 / 22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종결형 문장에서의 ‘-니’, ‘-리’에 대한 논의들 / 25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관형격조사/ 29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의 형태 / 32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부사격조사 / 33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소위 특이처격조사인 부사격조사 ‘?/의’ / 34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주격조사 / 39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사동 접사 / 46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시-’의 기능 / 48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니??다’, ‘-니???가/-니???고’의 형태소 분석 / 49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ㄴ???, -ㅭ???’ / 51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서법과 시제 / 54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보격조사 / 59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의 기능 / 60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거-’의 기능 / 63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목적격조사 / 66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거-’의 이형태 / 68
※ 후기중세국어 시기 어미에서의 ‘ㄷ → ㄹ’ 교체 현상 / 74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시-’의 형태 / 85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시-’의 통합순서 / 87
※ 15세기의 관형사형 어미 ‘-ㄹ’ 또는 ‘-ㅭ’과 후행요소의 결합 형태 / 93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거???/-거늘’, ‘-어???/-어늘’의 분석 / 99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선어말어미 ‘-오-/-우-’ / 111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피동 접사 / 117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르’ 불규칙 / 121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리??다’, ‘-리???가/-리???고’의 형태소 분석 / 165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서술격조사 / 185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사잇소리 / 191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에’의 ‘에셔’ 기능 / 215
※ 후기중세국어 시기 ‘에게’의 형성 / 223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의 쓰임 / 268
※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호격조사 / 525

〈참고 문헌〉 / 53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