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9455 | |
005 | 20210511092251 | |
007 | ta | |
008 | 210507s2021 kjk b 001c kor | |
020 | ▼a 9788968497926 ▼g 93360 | |
035 | ▼a (KERIS)BIB000015834154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42.240858 ▼2 23 |
085 | ▼a 342.240858 ▼2 DDCK | |
090 | ▼a 342.240858 ▼b 2021 | |
110 | ▼a European Union. ▼b Agency for Fundamental Rights | |
245 | 1 0 | ▼a 유럽데이터보호법 / ▼d [유럽연합기본권청, ▼e 유럽평의회, ▼e 유럽인권재판소 저] ; ▼e 함인선 역 |
246 | 1 9 | ▼a Handbook on European data protection law |
260 | ▼a 광주 : ▼b Maronie, ▼c 2021 | |
300 | ▼a 479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449-456)과 색인수록 | |
650 | 0 | ▼a Data protection ▼v Handbooks, manuals, etc. |
650 | 0 | ▼a Computer security ▼x Management ▼v Handbooks, manuals, etc. |
650 | 0 | ▼a Data protection ▼x Law and legislation ▼z Europe |
650 | 0 | ▼a Privacy, Right of ▼z Europe |
650 | 0 | ▼a Computers ▼x Law and legislation |
700 | 1 | ▼a 함인선, ▼d 1959-, ▼e 역 ▼0 AUTH(211009)64691 |
710 | ▼a Council of Europe, ▼e 저 | |
710 | ▼a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e 저 | |
900 | 1 0 | ▼a Ham, In-seon, ▼e 역 |
910 | 0 | ▼a 유럽연합. ▼b 기본권청, ▼e 저 |
910 | 0 | ▼a 유럽평의회, ▼e 저 |
910 | 0 | ▼a 유럽인권재판소,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 Call Number 342.240858 2021 | Accession No. 11184839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CoE와 EU의 데이터 보호 관련 조직 및 그 구성원인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집필한
이 책은 CoE와 EU의 데이터 보호 관련 조직 및 그 구성원인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집필한 “Handbook on European data protection law (2018 edition)”을 번역한 것이다. 최초 출판인 2014년판과 크게 다른 점은 공동 집필진에 기존의 유럽연합기본권청(European Union Agency for Fundamental Rights ; FRA), 유럽평의회(CoE) 및 유럽인권재판소(ECtHR) 이외에 유럽데이터보호감독관(European Data Protection Supervisor ; EDPS)이 참여하였다는 점과 책의 분량이 거의 2배가 늘어났다는 점이다. 여기에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책은 유럽데이터보호법과 관련한 실무 전문가들이 관련법제 및 관련판례를 잘 아울러서 펴낸 대표적인 전문도서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보호문제와 관련이 있는 업무의 종사자들은 물론, 이에 관심이 있는 일반 독자들에게도 일독을 권하는 바이다.
이 책의 번역에는 적지 아니한 시간과 노력이 투자되었다. 그 과정에서 유럽데이터보호법에 대한 이해가 약간은 더 깊어졌음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이러한 지적 호기심의 충족이 번역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던 중요한 요인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내 자신의 소소한 수고가 관련 연구의 축적과 공유에 다소라도 보탬이 될 수 있다면 망외의 행복이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함인선(옮긴이)
ㆍ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및 대학원 법학과 졸업 ㆍ일본 와세다(早稻田)대학 법학연구과 수료(법학박사) ㆍ현)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저서 ㆍ주민소송론(2022) ㆍEU개인정보판례(개정판, 2018) ㆍEU개인정보보호법(2016) ㆍ정보사회와 법(개정판, 2013) ㆍ주민소송(개정판, 2012) 역서 ㆍ유럽데이터보호법(2021), EU 인공지능(AI)(2019), ㆍ원전사고로부터의 부흥과 주민참가(2019), ㆍ후쿠시마원전사고와 법정책(2017), ㆍ유럽정보보호법(2015), EU법 입문(2014)

Table of Contents
역자서문 / 5 서문 / 7 약어 및 두문자어 / 15 본서의 이용법 / 18 제1장 유럽데이터보호법의 문맥 및 배경 / 21 1.1. 개인데이터보호권 / 23 1.2. 개인데이터보호권에 대한 제한 / 45 1.3. 다른 권리와 정당한 이익과의 상호작용 / 66 제2장 데이터 보호 용어 / 101 2.1. 개인데이터 / 103 2.2. 데이터 처리 / 122 2.3. 개인데이터의 이용자 / 126 2.4. 동의 / 139 제3장 유럽데이터보호법의 주요 원칙 / 143 3.1. 처리의 적법성, 공정성 및 투명성 원칙 / 145 3.2. 목적 제한 원칙 / 151 3.3. 데이터 최소화 원칙 / 155 3.4. 데이터 정확성 원칙 / 157 3.5. 저장 제한 원칙 / 159 3.6. 데이터 보안 원칙 / 162 3.7. 책임 원칙 / 166 제4장 유럽데이터보호법의 제 규정 / 171 4.1. 적법한 처리에 관한 규정 / 173 4.2. 처리의 보안에 관한 규정 / 202 4.3. 책임 및 준수 촉진에 관한 규정 / 212 4.4. 디자인 및 디폴트에 의한 데이터 보호 / 224 제5장 독립적 감독 / 227 5.1. 독립성 / 232 5.2. 법적 권한 / 235 5.3. 협력 / 239 5.4. 유럽데이터보호회의 / 241 5.5. GDPR 일관성메카니즘 / 243 제6장 데이터주체의 권리와 그 행사 / 245 6.1. 데이터주체의 권리 / 249 6.2. 구제, 책임, 처벌 및 배상 / 285 제7장 국제적 데이터 이전과 개인데이터의 유통 / 301 7.1. 개인데이터 이전의 성질 / 302 7.2. 회원국 또는 체약 당사국 간의 개인데이터의 자유로운 이동/유통 / 303 7.3. 제3국/비당사국 또는 국제기구로의 개인데이터의 이전 / 305 제8장 경찰 및 형사사법 맥락에서의 데이터 보호 / 327 8.1. 데이터 보호 및 국가안보, 경찰 및 형사사법 문제에 관한 CoE법 / 329 8.2. 경찰 및 형사사법 문제에서의 데이터 보호에 관한 EU법 / 338 8.3. 법집행 문제에서의 데이터 보호에 관한 기타 특별법규 / 350 제9장 특정한 유형의 데이터와 관련 데이터보호법 / 393 9.1. 전자통신 / 394 9.2. 고용데이터 / 399 9.3. 건강데이터 / 404 9.4. 연구 및 통계 목적의 데이터 처리 / 410 9.5. 금융데이터 / 414 제10장 개인데이터 보호의 현대적 과제 / 419 10.1. 빅데이터, 알고리즘 및 인공지능 / 422 10.2. 웹 2.0 및 3.0 : 소셜 네트워크와 사물인터넷 / 436 참고문헌 / 449 판례 / 457 유럽인권재판소 판례선 / 457 EU사법재판소 판례선 / 464 색인 / 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