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9410 | |
005 | 20210510094214 | |
007 | ta | |
008 | 210507s2021 ulka 000c kor | |
020 | ▼a 9791196453381 ▼g 94340 | |
020 | 1 | ▼a 9791196453367 (세트) |
035 | ▼a (KERIS)BIB000015843873 | |
040 | ▼a 211028 ▼c 211028 ▼d 211009 | |
082 | 0 4 | ▼a 327.519505193 ▼2 23 |
085 | ▼a 327.530539 ▼2 DDCK | |
090 | ▼a 327.530539 ▼b 2021z2 | |
245 | 0 0 | ▼a 남북 교류협력 새로운 길을 찾다 : ▼b 전환기 한반도 패러다임 변화 속 '남북공영' 해법제시 / ▼d 이강범 [외] ; ▼e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엮음 |
260 | ▼a 서울 : ▼b PNAWorld, ▼c 2021 | |
300 | ▼a 388 p. : ▼b 삽화 ; ▼c 24 cm | |
490 | 1 0 | ▼a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학술연구 & 실용편서 ; ▼v 2 |
500 | ▼a 공저자: 정유석, 조진희, 주노종, 이근영, 민경태, 김상태, 추원서, 김은종, 김영희, 강미진, 권은민 | |
700 | 1 | ▼a 이강범, ▼e 저 |
700 | 1 | ▼a 정유석, ▼e 저 |
700 | 1 | ▼a 조진희, ▼e 저 |
700 | 1 | ▼a 주노종, ▼e 저 |
700 | 1 | ▼a 이근영, ▼e 저 |
700 | 1 | ▼a 민경태, ▼e 저 |
700 | 1 | ▼a 김상태, ▼e 저 |
700 | 1 | ▼a 추원서, ▼e 저 |
700 | 1 | ▼a 김은종, ▼e 저 |
700 | 1 | ▼a 김영희, ▼e 저 |
700 | 1 | ▼a 강미진, ▼e 저 |
700 | 1 | ▼a 권은민, ▼e 저 |
710 | ▼a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e 편 | |
830 | 0 | ▼a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학술연구 & 실용편서 ; ▼v 2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530539 2021z2 | 등록번호 11184828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7.530539 2021z2 | 등록번호 15135477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530539 2021z2 | 등록번호 11184828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7.530539 2021z2 | 등록번호 15135477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전환기에 들어서고 있는 한반도에서의 ‘남북공영’ 해법을 제시하는 각 분야 전문가들의 연구결과물을 일반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비주얼 편집을 가미해 재구성하였으며, 특히 마지막 장에선 ‘통일’을 조금이라도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통일 전후 일상에서 접하게 될 ‘남북의 닮은꼴’ 현실을 에세이 형식을 빌려 담았다.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의 회원(각 분야 전문가)들의 논문 등을 실용교양서 타입으로 재편한 것으로, 올 1월에 펴낸 시리즈 1탄 ‘통일한반도 주춧돌을 놓다’에 이어 2탄이다. 본 시리즈물이 허리 꺾인 한반도의 시름을 덜고, 남과 북이 한몸으로 ‘통일한반도’를 향해 나아가는 데 있어 한 옴큼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다시 한번 소망해 본다.
“한 치 앞도 가늠키 어려운 전환기 속 한반도 미래, 그래도 준비는 미리미리 해야 한다!”
북한이 지난 3월 25일 탄도미사일 2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 이는 지난해 3월 29일 강원도 원산에서의 초대형 방사포‘ 발사 주장이후 1년 만이다. 그리고 미 현지시간 동월 25일 기자회견서 바이든 미 대통령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 대해 “북한이 긴장고조를 택한다면 상응한 대응이 있을 것”라며 취임이후 북한을 향해 첫 공개경고 일성(一聲)을 날렸다.
미국의 새 정부 출범 때마다 ‘떠보기’식 北의 도발로 의미를 축소할 수도 있지만, 바이든 행정부의 새로운 대북전략 수립 마무리단계라는 타이밍과 맞물려 ‘트럼프 때의 대응과 무엇이 어떻게 다를지’ 주목된다. 또한 올 1월 제8차 노동당대회에서 국방력 강화를 선언한 북한이 이후의 미국 측 대응수위에 따라 무력시위 강도를 어떻게 조절해 나갈지도 그 귀추가 주목된다.
이처럼 엉켜있는 실타래처럼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는, 더 정확히 말하면 긴장감마저 느껴지는 안개 속 북미관계에서 ‘남북공영’을 언급하는 게 당치도 않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래도 미리 준비해야 한다.
이 책은 전환기에 들어서고 있는 한반도에서의 ‘남북공영’ 해법을 제시하는 각 분야 전문가들의 연구결과물을 일반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비주얼 편집을 가미해 재구성하였으며, 특히 마지막 장에선 ‘통일’을 조금이라도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통일 전후 일상에서 접하게 될 ‘남북의 닮은꼴’ 현실을 에세이 형식을 빌려 담았다.
이 책은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의 회원(각 분야 전문가)들의 논문 등을 실용교양서 타입으로 재편한 것으로, 올 1월에 펴낸 시리즈 1탄 ‘통일한반도 주춧돌을 놓다’에 이어 2탄이다. 본 시리즈물이 허리 꺾인 한반도의 시름을 덜고, 남과 북이 한몸으로 ‘통일한반도’를 향해 나아가는 데 있어 한 옴큼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다시 한번 소망해 본다.
출판사 리뷰
미국의 새 정부 출범 때마다 연례적이었던 ‘떠보기’식 北의 도발로 의미를 축소할 수 있지만, 지난 3월 25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는 국제사회는 물론이고 특히 새로운 대북전략 수립 마무리단계에 있는 바이든 미 행정부의 앞으로의 대북 대응수위를 더욱 눈여겨보게 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남북공영’을 논한다는 게 어불성설이라고 핀잔을 줘도 일리가 있기에 달게 받겠다. 하지만 그래도 준비는 해야 한다. (우리가 하지 않으면 아무도 대신 해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반도 미래를 위해 준비를 함에 있어서 바이든 미 행정부의 출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국제정세 속 ‘전환기 한반도’의 패러다임은 어떻게 변할 것이며, 이를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이고 또 리드를 어떻게 해 나가야 할까.
이에 대해 ‘남북공영’ 키워드를 통해 그 해법을 제시하는 각 분야 전문가들의 연구결과물과 통일 전후 한반도 일상에서 접하게 될 ‘남북의 닮은꼴’ 소재 에세이를, 지난 1월 시리즈 1탄에 이은 시리즈 2탄 컨텐츠로 담아냈다.
끝으로 1탄 때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통일관련 책들의 딱딱하고 어려운 문장체 일변도 편집에서 벗어나 그림책을 보듯 누구나 ‘보면 이해가 되는’ 쉽고 편안한 본문 흐름에다 비주얼 레이아웃을 더함으로써 친근하고 쉬운 ‘통일’, 함께 하면 술술 풀리는 ‘남북관계’를 소원하는 간절함이 녹아 든 게 특징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정유석(지은이)
최종학력 : 고려대 대학원 북한학 박사 현, 한국수출입은행 북한·동북아센터 책임연구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자문위원 전,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 연구교수 고양시정연구원 연구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 주무관 <저서> • 『김정은식 경제특구 정책 평가와 남북협력』, 한국수출입은행, 2020 • 『대한민국 미래를 여는 혁신리포트』, 윤성사, 2019 • 『통일시대를 대비한 접경지역 거점도시 전략』, 북인북, 2017 • 『개방과 폐쇄의 딜레마, 북한의 이중적 경제』, 산림출판사, 2012 <연구 및 논문> • 「신한반도체제 구현을 위한 평화경제 단계별 추진방안」, 『수은북한경제』, 2019 • 「남북경협 합의서 주요내용과 개선과제」, 『수은북한경제』, 2019 • 「북한의 관광산업」, 『수은북한경제』, 2018 • 「2000년 이후 북한 사회복지법제 동향」, 『현대북한연구』, 2016 • 「김정은의 현지지도와 관광정책」, 『통일문제연구』, 2016 • 「김정은 현지지도에 나타난 북한의 상징정치」, 『현대북한연구』, 2015 외 다수
추원서(지은이)
최종학력 : 고려대 대학원 정치학 박사 현,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원장 전, 경기대 국제관계학과 교수 (재)평화재단 이사 (사)남북물류포럼 수석부회장 경기대 국제통상학과 초빙교수 중앙대 대학원(북한개발협력학과) 및 강남대 국제지역학부 강사 (사)한반도개발협력연구소 소장 중국 요녕성 사회과학원 객원연구원 산업은행 동북아연구센터장, 상하이지점장, 산업분석단장 미국 미시건 주립대(MSU) 객원연구원 전국금융노조 위원장 <저서> ·『新 북한의 산업』(공저), 한국산업은행, 2005 ·『라진 선봉지역 물류분야 남북협력방안 연구』(공저), 통일연구원, 2010 ·『통일경제』(공저), 통일경제연구회 엮음, 피엔에이월드, 2020 <주요 연구 및 논문> ·「통일재원 조달, 어떻게 할 것인가」, 『이제는 통일이다』, 헤럴드경제?한반도 개발협력연구네트 워크, 2014 ·「한반도 비핵화, 솔로몬식 해법은 없는가」, 『한국의 논점 2017』, 북바이북, 2016 외 다수
이강범(지은이)
연세대 중문학과 졸업, 국립대만대학교 석사와 연세대 대학원 박사학위 취득. 중앙대 아시아문화학부 교수로 재직하다 2022년말 정년퇴임 후 중앙대 명예교수 및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원장으로 활동 중. EBS 중국어 강좌의 유명 진행자이기도 했던 저자는 현재 공자, 사마천, 조조, 두보 등의 중국고전 인물과 동북군벌, 서안사변, 문화대혁명 등의 사건을 주제로 한 각종 외부강연에 열심이며, 중국 관련 대중적 ‘글쓰기’와 함께 ‘아카데미’ 운영구상을 기획, 진행 중이다.
조진희(지은이)
삼정KPMG 대북비즈니스지원센터 이사(고려대 대학원 북한학 박사 수료)
주노종(지은이)
(사)한국정부조달연구원 대표이사 겸 원장(일본 九州大學 대학원 경제학 박사)
이근영(지은이)
중국사회과학원 아태와세계전략연구원 방문학자(고려대 대학원 북한학 박사)
민경태(지은이)
국립통일교육원 교수(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 박사)
김상태(지은이)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초빙석좌연구위원(경기대 대학원 관광학 박사)
김은종(지은이)
북한도시연구소 대표(한양대 대학원 공학 박사)
김영희(지은이)
한국산업은행 KDB미래전략연구소 선임연구위원 동국대학교 북한학 박사 통일부 정책책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주요 저작 : 『당신의 꽃은 어데서 피었습니까』(2016), “김정은의 경제개발, 오래된 미래”(2018) 등
강미진(지은이)
NK투자개발 대표(북한대학원대학교 경제IT 석사과정)
권은민(지은이)
변호사이자 북한박 박사. 20년 이상 북한법을 연구하고 있다. 통일부, 법무부, 법제처, 대법원 등의 북한법연구위원회에 참여하고 있으며, 북한대학원 대학교 겸임교수로 북한외국인투자법제, 북한부동산제도, 남북한분쟁사례연구, 남북경협과 법제도, 통일한국의 법제도 과목을 강의한다. 기존의 남북한 법제를 현실에 맞게 재정비하는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북한의 법제변화를 지속적으로 연구한다. 저서로는 「북한을 보는 새로운 시선」(박영사, 2022)이 있다.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엮은이)

목차
추천의 글 “담대한 희망을 품고 미래로!” (추규호) 책을 내며 모든 사람에 앞서 걱정하고, 모든 사람이 즐거운 뒤에 비로소 즐거워하는… (이강범) Part Ⅰ 전환기 남북협력의 다양한 시각과 패러다임 변화 Chapter 01 중국의 사례로 읽는 민족융합을 위한 문화의 힘 (이강범) “멸렬의 毒이냐, 융성의 藥이냐?”는 남과 북이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Chapter 02 평화경제와 한반도경제공동체 (정유석) 한반도 평화정착 견인효과에 경제 동반성장까지 ‘일석이조’ Chapter 03 남북경협, ‘지속가능발전’에서 길을 찾자 (조진희) “감염병ㆍ기후변화ㆍ친환경ㆍ신재생에너지 등 글로벌 아젠다에서 상생협력 구상을” Chapter 04 남북이 하나가 되는 협력과 교류방안 (주노종) ‘한민족공동체사회로의 통합’이 곧 남북공동 번영의 길 Chapter 05 非전통안보 이슈와 동북아 협력방안(코로나19를 중심으로) (이근영) “팬데믹 위기극복 공동과제 직면, 인간안보 등에 연대와 협력강화를” Part Ⅱ 남북경제협력의 분야별 방향과 전략 Chapter 06 포스트 코로나 패러다임과 미래의 남북경협 (민경태) 의료ㆍ교통ㆍIT 인프라 구축으로 남북이 함께하는 ‘한반도뉴딜’ Chapter 07 남북관광협력의 필요성과 전략방향 (김상태) “왜 ‘남북관광’이 대규모 경협1호가 됐고, 지금은 ‘교착국면’을 푸는 열쇠일까?” Chapter 08 북한 제조업 정상화를 위한 남북협력 방안 (추원서) ‘한국경험’ 전면이식이 아닌, 순리ㆍ순차적 협력 ‘노크’로 Chapter 09 북한지역 산업단지 개발, 어떻게 할 것인가 (김은종) 한반도 평화정착 등 전제로 단계별 ‘거점개발 방식’ 도입 Chapter 10 북한금융의 현주소와 남북 금융협력 (추원서ㆍ김영희) ‘사금융’ 확산 등으로 北금융개혁 절실, 남북협력은 단계별ㆍ점진적 접근이 주효 Part Ⅲ 북한 일상의 단면들 “이래서 우린 닮은꼴” Chapter 11 북한사회의 패션 등장과 남북 패션의류 협력 (김영희) ‘南 디자인기술ㆍ설비+北 노동력ㆍ생산지’ 경협모델로 해외시장 진출을 Chapter 12 서울깍쟁이와 평양놀새의 서울ㆍ평양 나들이 (강미진) 가벼워진 서울깍쟁이 지갑만큼 평양놀새 궁금증 주머니는 ‘홀쭉’ Chapter 13 평양에서 재판하는 날 (권은민) 교류 정상화 이후 잦아질 생활 속 ‘법률 다툼’ 남ㆍ북한 주민 ‘생각 차이’ 고려 등 숙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