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K-OS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준영, 저 윤원화, 저 최보련, 저 황재민, 저 Mackay, Robin, 저
단체저자명
SISU, 저
서명 / 저자사항
K-OS / 박준영 [외]글씀
발행사항
서울 :   미디어버스,   2020  
형태사항
252 p. : 삽화 ; 16 cm
ISBN
9791190434119
일반주기
공저자: 윤원화, 최보련, 황재민, 로빈 맥케이, SISU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44-245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78595
005 20220915120014
007 ta
008 210429s2020 ulka b 000c kor
020 ▼a 9791190434119 ▼g 90600
035 ▼a (KERIS)BIB000015745944
040 ▼a 211046 ▼c 211046 ▼d 211009
082 0 4 ▼a 700.2 ▼2 23
085 ▼a 700.2 ▼2 DDCK
090 ▼a 700.2 ▼b 2020z5
245 0 0 ▼a K-OS / ▼d 박준영 [외]글씀
260 ▼a 서울 : ▼b 미디어버스, ▼c 2020
300 ▼a 252 p. : ▼b 삽화 ; ▼c 16 cm
500 ▼a 공저자: 윤원화, 최보련, 황재민, 로빈 맥케이, SISU
504 ▼a 참고문헌: p. 244-245
700 1 ▼a 박준영, ▼e▼0 AUTH(211009)146656
700 1 ▼a 윤원화, ▼e
700 1 ▼a 최보련, ▼e
700 1 ▼a 황재민, ▼e
700 1 ▼a Mackay, Robin, ▼e
710 ▼a SISU, ▼e
900 1 0 ▼a 맥케이, 로빈,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2 2020z5 등록번호 111847968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2-06-13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모순의 심화를 통한 모순의 극복 가능성을 모의 실험하는 가속주의의 과격한 테제는 인터넷 밈에서 펄프 이론으로, 때로는 좌파 가속주의에 이르는 다양한 영역에 걸쳐 소구된다. 이 책의 제목인 K-OS는 1990년대에서 2000년대 초반 사이 활동했던 사이버네틱스 연구집단 CCRU(Cybernetic Culture Research Unit)의 용어집에서 가져온 것이다. H.P. 러브크래프트를 비롯한 다수 SF 작가들의 세계관을 연구 대상이 아닌 방법론으로 전유한 이들의 텍스트는 레자 네가레스타니의 <사이클로노피디아>와 라보리아 큐보닉스의 <제노페미니즘> 선언문에 영향을 주었다.

어느 곳에도 편입되기를 거부하는 인식론적 탈주학으로써 가속주의를 작동시키는 주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로써 주로 허구적 실천, 즉 하이퍼스티션(Hyperstition)이 지목된다. 에 실린 글들은 이 실천을 낙관적 펑크로, 지각의 연속 환상으로, 인간 형상에 대한 모독으로, 그리고 차별 기계의 거름망으로 번안한다. 더불어 신유물론의 테제에 입각하여 혁명의 전제 조건으로 가속성을 요청하는 정치 철학과 가속주의의 담론적 궤적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사이클로노피디아>의 국내 역자 후기가 실려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윤원화(지은이)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시각문화 연구자, 비평가, 번역자다. 전시 공간을 실험실처럼 사용하여 몸과 이미지의 상호작용 속에서 생성되는 시간성을 탐구하고 그것을 통해 현재 작동 중인 역사의 모양을 고쳐 그리는 데 관심이 있다. 저서로 『그림 창문 거울 : 미술 전시장의 사진들』, 『1002 번째 밤 : 2010 년대 서울의 미술들』 등이 있으며, 역서로 『사이클로노피디아』, 『기록시스템 1800/1900 』 등이 있다. 아카이브 전시 《다음 문장을 읽으시오》를 공동 기획했고,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2018 에서 〈부드러운 지점들〉을 공동 제작했다.

박준영(지은이)

〈수유너머 104〉 연구원. 현대철학 연구자. 서강대, 상지대, 서울과학기술대 등에서 강의하였으며, 현재는 성신여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학부(동국대)에서 불교철학을, 대학원(서강대)에서 석박사 모두 프랑스철학을 연구하였다. 주로 들뢰즈와 리쾨르의 철학을 종합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근에는 신유물론에 관심을 두고 번역과 연구를 하고 있다. 육후이(Yuk Hui)의 기술철학, 그리고 불교철학과 현대서양철학의 관계도 연구 대상이다. 논문은 「들뢰즈에게서 ‘철학’과 ‘철학자’」, 「신유물론의 이론적 지형」 등을 썼다. 번역서로는 『신유물론-인터뷰와 지도제작』, 『해석에 대하여-프로이트에 관한 시론』(공역)이 있다. 공저로 『신유물론-몸과 물질의 행위성』, 『K-OS』, 『욕망, 고전으로 생각하다』, 『사랑, 고전으로 생각하다』 등이 있다.

황재민(지은이)

미술평론가. 옛 미디어로서의 미술에 관심이 있다. 『호버링 텍스트』(2019)의 편집에 참여했으며 한국의 젊은 회화 작가 20인을 인터뷰한 온라인 기획 《Painters by Painters ‘18》(2018)을 진행했다.

로빈 맥케이(지은이)

영국 출판사 어바노믹(Urbanomic)의 대표로, 철학과 현대미술에 대해 폭넓게 집필했으며, 여러 예술가들과 협업 프로젝트를 선동했다. 또한 알랭 바디우의 『수와 수들』, 퀑탱 메이야수의 『수와 사이렌』, 프랑수아 라뤼엘의 『비사진의 개념』, 에릭 알리츠의 『뇌의 눈』과 『이미지 허물기』를 포함한 프랑스 철학의 중요한 저작을 다수 번역했다.

최보련(지은이)

시각예술가. 단체전 'If not, not'(keepintouch, 2018)과 '구부러진 안팎'(탈영역 우정국, 2018)등에 참여했다. 매체연합을 통해 증폭된 정념이 고해상도의 소음으로 드러나는 순간을 관찰한다. 노뉴워크의 동료들과 『재-관람차』(2019)를 함께 썼다.

SISU(지은이)

2018년 ■■■■■■■■■■■■■■■■■■■■■를 목적으로 ■■■, ■■■, ■■■, ■■■ 로 결성되어■■■■■■■■■■■■■■■■■■■■■■■■■■■■■■■■■■■■■■■■■■■, ■■■■■■■■■■■■■■■■■■■■■■■■■■■■■■■■■■■■■■■■하고 있다.

김혜림(옮긴이)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과 졸업. 영화평론가. 오큘로, 마테리알, 액트(ACT!) 등에 기고했다. 영화에서 나타나는 풍경과 신체에 관심을 두고 있다. 현재 비평플랫폼 콜리그를 공동운영하고 있으며 외부/내부 세계에서 이뤄지는 외재/내재적 관계를 조망하는 책을 공동으로 집필하고 있다.

강덕구(옮긴이)

작가. 비평공유플랫폼 ‘콜리그’ 운영진. 영화이론과 영화사를 전공하고 영화평론가로 활동했다. 닉 랜드의 「멜트다운」, 로빈 맥케이의 「합성적 청취자」를 번역했고, 다양한 매체에 글을 기고했다. 가속주의, 문화비평, 아마추어리즘에 관심을 갖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들어가며 - 최보련
가짜 미래와 지연의 지연 또는 매일 변하는 정원의 기쁨 - 황재민
합성적 청취자 - 로빈 맥케이
막힌 도넛 삽화 - 최보련
구멍으로부터의 소용돌이, 또는 레자 네가레스타니의 『사이클로노피디아』에 관한 역자 노트 - 윤원화
SISU(Systematic Irregularity Study Unit) 사용자 안내서 - SISU
신유물론?가속주의의 존재론 - 박준영
저자 및 역자 소개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