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78374 | |
005 | 20210427140952 | |
007 | ta | |
008 | 210426s2021 ggk b 000c kor | |
020 | ▼a 9788908124660 ▼g 03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070.5095193 ▼2 23 |
085 | ▼a 070.509539 ▼2 DDCK | |
090 | ▼a 070.509539 ▼b 2021 | |
245 | 2 0 | ▼a (연변대 연구팀이 조사 연구한) 북한 출판 실태와 현황 / ▼d 리봉우 [외]지음 |
260 | ▼a 파주 : ▼b 범우사, ▼c 2021 | |
300 | ▼a 412 p. ; ▼c 23 cm | |
490 | 1 0 | ▼a 범우출판문화재단 연구총서 ; ▼v 2 |
500 | ▼a 공저자: 최향단, 박문봉, 려문호 | |
500 | ▼a 부록: 2000~2015년 조선문 일반 도서목록(연변교육출판사), 2000~2015년 조선문 일반 도서목록(연변인민출판사), 2000~2015년 조선문 일반 도서목록(연변대학출판사) 외 | |
700 | 1 | ▼a 리봉우, ▼e 저 |
700 | 1 | ▼a 최향단, ▼e 저 |
700 | 1 | ▼a 박문봉, ▼e 저 |
700 | 1 | ▼a 려문호, ▼e 저 |
830 | 0 | ▼a 범우출판문화재단 연구총서 ; ▼v 2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509539 2021 | 등록번호 11184793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2015년 중국 연변대학에서 한국측 출판 관계자들과 연변대 조선한국학학원 교수들이 함께 했던 남북한 출판 교류를 위한 과제와 전망 학술세미나를 시작으로, 이후 북한의 실상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중국 연변대학 연구팀에 북한 출판 실태와 현황 조사 연구를 의뢰하여 진행한 연구결과 보고서이다.
제1장 연구 목적, 범위와 방법을 밝힌 서론과 제2장 북한 출판보도 사상의 기본 이론, 제3장 북한 도서의 일반적 이해와 주요 도서 출판기구, 제4장 2000년 이후 북한 출판물의 현황, 제5장 남북한 및 중국 조선문(한글) 출판교류 실태, 제6장 중국의 조선문 출판 실태, 제7장 남북 및 중국 조선문 출판교류의 활성화 제언 그리고 북한의 출판사상 연구가 추가원고로 수록되어 있다. 부록으로는 연변교육출판사·연변인민출판사·연변대학출판사의 일반 도서목록과 조선출판물수출입사의 조선 출판물 목록, 서울도서전시회와 평양도서전시회 참가 도서목록을 담았다.
연변대 연구팀이 조사 연구한 북한 출판 실태와 현황
이 책은 2015년 중국 연변대학에서 한국측 출판 관계자들과 연변대 조선한국학학원 교수들이 함께 했던 〈남북한 출판 교류를 위한 과제와 전망〉 학술세미나를 시작으로, 이후 북한의 실상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중국 연변대학 연구팀에 〈북한 출판 실태와 현황〉 조사 연구를 의뢰하여 진행한 연구결과 보고서이다.
제1장 연구 목적, 범위와 방법을 밝힌 서론과 제2장 북한 출판보도 사상의 기본 이론, 제3장 북한 도서의 일반적 이해와 주요 도서 출판기구, 제4장 2000년 이후 북한 출판물의 현황, 제5장 남북한 및 중국 조선문(한글) 출판교류 실태, 제6장 중국의 조선문 출판 실태, 제7장 남북 및 중국 조선문 출판교류의 활성화 제언 그리고 북한의 출판사상 연구가 추가원고로 수록되어 있다. 부록으로는 연변교육출판사·연변인민출판사·연변대학출판사의 일반 도서목록과 조선출판물수출입사의 조선 출판물 목록, 서울도서전시회와 평양도서전시회 참가 도서목록을 담았다.
이 책에 담긴 연구 결과를 통해 남북한 출판 교류는 물론 교착 상태에 빠진 남북관계를 해소하는 데 다소간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범우재단은 통일을 대비한 출판 교류와 출판 정책 개발에 대한 노력을 계속해나갈 것이다.
간행사
범우출판문화재단은 출판문화발전에 기여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생, 대학원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해오고 있으며, 관련 사업으로 국내외에서 학술세미나 개최와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출간하게 된 《북한 출판 실태와 현황》은 연구개발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중국 연변대학교 조선한국학학원(연변대 단과대학) 연구팀에 의뢰했던 연구결과보고서를 단행본으로 출판한 것입니다.
북한 출판의 부분적인 연구나 북한 언론에 대해 간간이 소개한 적은 있지만, 북한 출판 전반에 대해 조사 연구하여 단행본으로 출판한 것은 처음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동안 국내외 출판학자나 출판 관계자들이 북한 출판의 실상에 대해 매우 궁금해 하면서도 북한 출판기관이나 관계자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아, 북한 출판 실태에 대해 깜깜한 상태였습니다.
저희 범우문화재단은 2015년 7월 중국 연변대학교에서 〈남북한 출판교류를 위한 과제와 전망〉이라는 주제로 연변대 조선한국학학원 교수들과 한국 출판학자와 관계자들이 만나 공동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이 세미나의 주제 발표나 토론에 참여했던 조선학국학학원 교수들은 대부분 북한을 자주 왕래하거나 북한 대학에서 공부한 분들이어서 우리가 남북한 출판 교류 사업을 추진하는데 연변대 조선한국학학원이 가교역할을 해줄 수 있겠구나 하는 믿음을 갖게 되었고, 연장선상에서 조선학국학학원 교수들에게 이 연구 프로젝트를 의뢰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연구비를 지급했던 당시(2016년), 연구팀의 계획은 북한 현지를 방문하여 실태 조사를 진행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북한으로부터 이 프로젝트를 위한 연구팀의 북한 방문이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연구기간을 연장하면서까지 시도했으나, 끝내 이루어지지 못했습니다. 연구팀도 북한의 현실 상황을 간과했던 것 같습니다.
다행히 중국에서 북한 출판물을 수입해서 보급하고 있는 큰 규모의 조선출판물수출입사를 비롯, 북한 출판물을 자원으로 해서 출발한 조선문(한글) 출판사들이 있었고 연변대 도서관을 비롯해 여러 큰 도서관에 북한 출판자료가 대부분 갖추어져 있었으며, 조선문 출판사에 근무하는 경영자나 편집자들이 북한의 출판사나 출판기관을 수시로 왕래한 분들이어서 심층면담을 통해 북한 출판 실태와 상황을 소상하게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중국 내 북한 출판자료를 바탕으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
북한 출판의 역사와 사상, 북한 출판사와 출판기관 현황, 출판체계, 도서의 종류, 도서 유통 현황, 2000년 이후의 북한 출판 도서목록 등 북한 출판 전반에 대해 상세하게 정리되어 있습니다.
범우출판문화재단은 통일 후 다가올 남북한 출판 통합을 대비해서 오래전부터 분단 상황에 있거나 분단 경험이 있는 독일·베트남·타이완·중국 등에서 그 나라의 출판학자와 전문가들을 만나 세미나를 가지면서 선진 출판 통합 사례를 조사 연구했습니다. 국내에서도 세미나와 연구를 통해 남북한 출판 교류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왔습니다. 잘 풀려갈 듯하던 남북 관계가 여러 가지 대외적인 여건으로 인해 다시 경색되고 있지만 경색 국면을 해소하기 위한 현 정권의 의지가 강하고 다방면에서 남북한 교류를 추진하고 있는 여러 민간단체들이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에 머지않아 남북 관계가 화해무드로 돌아오리라 믿습니다.
저희 재단은 경색된 남북 관계가 해소되면 그동안 준비했던 출판 교류 활성화 방안을 바탕으로 남북한 출판 교류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습니다. 이번에 출판하게 된 《북한 출판 실태와 현황》 연구보고서도 이 의지의 일환입니다. 남북한 출판 교류가 활성화되면 출판인 교류, 출판물 교환 나아가 남북한 공동 출판은 물론 분단 이후 북한에서 출판된 도서와 남한에서 출판된 수십만 종의 출판물이 서로 보급되어 남북한의 우리 민족이 읽을 수 있다면 생각만 해도 가슴이 벅찹니다. 《북한 출판 실태와 현황》 보고서가 앞으로 남북한 출판 교류 사업에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연변대에서 이번 연구를 주도해준 연구책임자 리봉우 교수와 함께 연구에 참여해주신 려문호 교수와 최향단 교수, 박문봉 흑룡강신문사 경제부장님께 그동안의 고심과 노력에 대해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연구결과보고서 접수 후 중국식 단어나 문장을 바로잡으면서 원고 전체를 감수해주신 인천대 이문학 교수님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끝으로 이 책을 출간하면서 같은 민족, 같은 역사, 같은 언어와 같은 글을 쓰는 남북의 통일이 하루 속히 이룩되기를 기원하는 바입니다.
— 2021년 3월 범우출판문화재단 이사장 윤형두
정보제공 :

저자소개
박문봉(지은이)
중국 연변대학교 조문학부 졸업, 한국 서강대학교 언론학대학원 신문출판 전공 졸업. 흑룡강신문사 문예부 차장, 경제부 부장, 국가 민족출판사 조문편집실 부주임, 주임편심으로 근무. 2000년대부터 10여 종 도서의 저자, 편자, 역자, 주필 등을 맡아 참여. 주요 저서로 《중국 조선족 출판사》 《중국 항일전쟁 조선족 인문록》 등이 있음.
리봉우(지은이)
중국 연변대학교 조문학부 졸업, 한국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 졸업, 현재 중국 연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중국 조선족 언론출판 문화 연구》 등 저서 및 역서 8권 출판, 국가 및 성급 프로젝트 3개 완성, 2008년 9월~2010년 2월까지 한국 배재대학교 외국인 교수로 〈북한 문화의 이해〉 등 과목 강의. 중국 교육부 신문전파학 교학지도위원, 중국 소수민족언론사연구회 상무이사.
최향단(지은이)
중국 길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한국 조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 졸업, 현재 중국 연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주임교수. 《SNS미디어 인식과 이용자 특성이 온라인 관계형성에 미치는 영향》 등 저서 및 연구논문 10여 편 발표. 현재 길림성 편집출판학과 부회장, 중국 소수민족언론사연구회 이사.
려문호(지은이)
중국 연변대학교 정치학부 졸업, 북한 조선사회과학원 박사 졸업, 현재 중국 연변대학교 한국어학부 교수. 《조선말 속담의 언어문화적 특징 연구》 등의 저서 출판.

목차
간행사 · 11 제1장 서론 ·15 - 제1절 연구 목적·17 -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19 제2장 북한 출판보도 사상의 기본이론 ·23 - 제1절 북한 출판보도 사상·25 - 제2절 북한 출판보도물의 성격, 사명, 기본 임무·29 1. 출판보도물의 성격 2. 출판보도물의 사명과 기본 임무 - 제3절 주체 출판보도물의 기능과 역할, 활동 원칙·33 1. 출판보도물의 기능과 역할 2. 북한 출판보도물의 활동 원칙 제3장 북한 도서의 일반적 이해와 주요 도서 출판기구 ·41 - 제1절 북한의 도서 구분·43 1. 저작집 2. 교양 도서 3. 사회과학 도서 4. 자연과학 및 기술 도서 5. 교육 도서 6. 문학예술 도서 7. 단행본 8. 사전 9. 편람 10. 민족 고전 11. 지도첩 - 제2절 도서의 편집과정·52 1. 편집안과 집필 요강 작성 2. 집필 의뢰와 집필 지도 3. 원고의 사회 심사 4. 원고의 교열 5. 기술 편성 6. 교정지 검토 - 제3절 북한 도서출판의 역사적 구분·57 1. 항일 혁명 투쟁 시기 2. 새 조국 건설 시기 3. 조국 해방전쟁 시기 4. 전후 인민 경제 복구 건설과 사회주의 기초 건설 시기 5. 사회주의 전면적 건설 시기 6. 온 사회의 주체사상화를 위한 시기 7. 우리식 사회주의를 옹호 고수하며 강성대국 건설을 위한 시기 - 제4절 북한의 주요한 출판 기관·72 1. 조선노동당출판사 2. 금성청년출판사 3. 근로단체출판사 4. 외국문출판사 5. 문학예술출판사 6. 과학백과사전출판사 7. 공업출판사 8. 농업출판사 9. 중앙과학기술통보사 10. 고등교육도서출판사 11. 교육도서출판사 12. 외국문도서출판사 13. 2·16예술교육출판사 14. 철도출판사 15. 인민보건사 제4장 2000년 이후 북한 출판물의 현황 ·81 - 제1절 조선출판물수출입사의 〈조선출판물목록〉·83 - 제2절 2000년~2009년 북한 출판물 상황·87 1. 김일성, 김정일 노작 2. 사회과학 도서 3. 과학기술 도서 4. 문학예술 도서 5. 연감 및 사전 6. 신문과 잡지 7. 영화편집물 - 제3절 2010년~2015년 북한 출판물 상황·99 1.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노작 2. 사회정치도서 3. 역사도서, 법률도서와 총서 4. 언어학 및 문학, 음악 도서, 아동도서 5. 기타 - 제4절 도서의 보급과 접근·110 제5장 남북한 및 중국 조선문 출판 교류 실태 ·115 - 제1절 조선족 출판인들의 출판인식·117 인터뷰 ① 박문봉(전 민족출판사 조문편집실 주임) 인터뷰 ② 이성권(연변인민출판사 전임 사장) 인터뷰 ③ 김창진(연변교육출판사 부사장) 인터뷰 ④ 김재호(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부총편) 인터뷰 ⑤ 채영춘(원 연변조선족자치주 출판국장, 자치주당위선전부 부부장) - 제2절 남북한 및 중국 조선문 출판 교류 현황·175 1. 중국과 북한 ■ 연변인민출판사의 경우 1) 저작권 양도 계약 도서 2) 《조선말대사전》(1·2·3권)의 공동출판 3) 공동출판에 합의한 도서 4) 공동출판사무소 설립과 《사해》의 공동번역 ■ 동북조선족 교육출판사의 경우 ■ 흑룡강출판사의 경우 1) 공동출판 2) 판권 구입으로 출판한 도서들 3) 북한 인원 번역 의뢰 도서 2. 중국과 한국 3. 남한과 북한 제6장 중국의 조선문 출판 실태 ·187 - 제1절 연변인민출판사의 도서출판·191 1. 도급제 시기 2. 공익성 출판 개혁 시기 1) 시장경제 단계 2) 공익성 사업 단위로 전환 3) 도서출판의 개관 - 제2절 연변교육출판사의 도서출판·199 1. 도급제 시기 1) ‘1사 2개 제도’ 실시 2) 교과서의 출판 3) 종합도서의 출판 2. 공익성 출판 개혁 시기 1) ‘부서 목표 책임제’의 실시 2) 교과서의 출판 3) 종합도서의 출판 - 제3절 연변대학교 출판사의 도서출판·206 1. 도급제 시기 2. 공익성 출판 개혁 시기 - 제4절 흑룡강조선민족 출판사의 도서출판·211 1. 도급제 시기 2. 공익성 출판 개혁 시기 - 제5절 민족출판사의 조선문 편집실의 도서출판·217 1. 도급제 시기 2. 공익성 출판 개혁 시기 1) 도급책임제에서 목표 관리제로 전환 2) 도서출판물의 개관 3) 저작권 무역 상황 - 제6절 요녕민족출판사 조선문 편집실의 도서출판·227 1. 도급제 시기 2. 공익성 출판 개혁 시기 제7장 남북 및 중국 조선문 출판 교류의 활성화 제언 ·235 - 제1절 남북 간 출판 교류 실태의 문제점·237 - 제2절 남북 출판 교류의 활성화 관련 제언·240 추가 원고 ·245 북한의 출판 사상 연구 | 이문학 부록 ·271 2000~2015년 조선문 일반 도서목록(연변교육출판사)·273 2000~2015년 조선문 일반 도서목록(연변인민출판사)·285 2000~2015년 조선문 일반 도서목록(연변대학출판사)·354 2018년 서울국제도서전시회 참가 도서목록·359 2018년 평양도서전시회 참가 도서목록·368 2000~2009년 조선출판물수출입사 조선출판물 도서목록·373